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6~7월경(줄기가 목질화되어 단단하게 굵어졌을 때) |
키 | 100~120cm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산기슭의 양지, 들 | 성미 | 따뜻하며, 쓰다. |
분류 | 낙엽 활엽 관목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분근ㆍ씨 | 1회사용량 | 10~15g |
약효 | 온포기 | 사용범위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더위지기ㆍ털산쑥의 온포기 |
잎
어긋나는데 뿌리잎은 달걀꼴로서 2회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선형을 이룬다. 줄기잎은 댓잎피침형이다. 처음에는 양면에 거미줄 같은 털이 나 있다. 표면은 녹색이고 잔털과 오목한 점이 있으며 뒷면에는 흰 털이 촘촘히 난다. 가장자리에 대개 톱니가 있다. 잎자루의 길이는 2~3cm이다.
꽃
7~8월에 흰 두상화가 반구형으로 잎겨드랑이에서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차례받침 조각은 2~3줄로 배열되며 털이 있거나 없다. 꽃부리는 종 모양의 원통형이며 겉에 샘점이 있다.
열매
9~10월에 수과가 달려 익는다.
특징 및 사용
쑥과 더불어 산과 들에 무성하게 자라는 식물 중의 하나이다. 새싹이 움트는 힘이 강하다. 줄기는 아래에서 뭉쳐나며 밑 부분이 단단하게 목질화되어 있고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유사종인 더위지기에 비해 잎 뒷면에 흰 털이 촘촘하게 나는 점이 다르다. 온포기를 말린 것을 인진호 또는 한인진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고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간 질환과 비장 질환을 다스리며, 소화기 질환에 효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