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구(白豆蔲) / 백두구

 동의보감에서 "백두구(白豆蔲) / 백두구"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백두구(白豆蔲) / 백두구
라틴명 Amomi Rotundus Fructus
약재의 효능 화습(化濕)  (방향성(芳香性)을 가진 거습약으로 습사(濕邪)를 없애는 방법을 말함)
소비(消痞)  (치법의 하나. 비적(痞積), 비만(痞滿)을 치료하는 방법임.)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난위(暖胃)  (온위산한(溫胃散寒)이라고도 부르며 성질이 따뜻하거나 더운 약으로 위한증(胃寒證)을 치료하는 치법임.)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산체(散滯)  (체한 것을 푸는 효능임)
관격(寬膈)  (흉격(胸膈)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보폐기(補肺氣)
개발중초(開發中焦)  (중초(中焦)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해주독(解酒毒)  (술을 과하게 마셔 그 후유증으로 생긴 독(毒)을 풀어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 폐(肺)
성미 신(辛) , 온(溫)
약전기재 중국약전
약재사용처방 가감박하전원(加減薄荷煎元) /  풍열인후통(風熱咽喉痛)
가감익기탕(加減益氣湯) /  구리(久痢)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1] /  기담(氣痰)매핵기(梅核氣)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3] /  매핵기(梅核氣)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2] /  매핵기(梅核氣)기담(氣痰)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4] /  매핵기(梅核氣)
가미향련환(加味香連丸)[2] /  이질(痢疾)
갈화해정탕(葛花解컲湯) /  주상(酒傷)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  식상(食傷)
고장환(固腸丸)[1] /  설사(泄瀉)
난향음자(蘭香飮子) /  소갈(消渴)
내고청심산(內固淸心散) /  악창(惡瘡)옹저(癰疽)심옹(心癰)
당관음자(撞關飮子) /  창만(脹滿)
두구귤홍산(豆蔲橘紅散) /  식상(食傷)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안화(眼花)
목향균기산(木香均氣散) /  기울(氣鬱)
백두구(白豆蔲)[1] /  기역(氣逆)
백두구(白豆蔲)[2] /  비위허한(脾胃虛寒)
백배환(百杯丸) /  징벽(癥癖)상주(傷酒)
보기사영탕(補氣瀉榮湯) /  대풍창(大風瘡)
삼출산(蔘朮散) /  심위통(心胃痛)
삼향산(三香散) /  위랭(胃冷)
생위단(生胃丹) /  불사식(不思食)비위허약(脾胃虛弱)
소고탕(消蠱湯) /  고창(蠱脹)
식분환(息賁丸) /  폐적(肺積)
신법반하탕(新法半夏湯) /  한담(寒痰)
십전단(十全丹) /  정해감(丁奚疳)무고감(無辜疳)
안중조기환(安中調氣丸) /  반위(反胃)
억청명목탕(抑靑明目湯) /  임신안병(妊娠眼病)
오격관중산(五膈寬中散) /  오격(五膈)
오향백출산(五香白朮散) /  폐옹(肺癰)
온위탕(溫胃湯)[2] /  위완통(胃脘痛)
용뇌고(龍腦膏)[3] /  단유아(單乳蛾)후비(喉痺)쌍유아(雙乳蛾)
용뇌천궁환(龍腦川芎丸) /  인후폐쇄(咽喉閉鎖)
이향산(二香散)[2] /  옹저(癰疽)
자침환(紫沈丸) /  열격(噎膈)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  열격(噎膈)
조강탕(調降湯) /  기천(氣喘)
조기산(調氣散) /  기요통(氣腰痛)
조위고(助胃膏) /  소아토사(小兒吐瀉)
조중순기환(調中順氣丸) /  담음협통(痰飮脇痛)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5] /  폐적(肺積)오적(五積)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  담음(痰飮)식적(食積)주적(酒積)
칠향원(七香元) /  식체(食滯)
침향마비산(沈香磨脾散) /  한복통(寒腹痛)
태창환(太倉丸) /  반위(反胃)열격(噎膈)
태화환(太和丸) /  비위허약(脾胃虛弱)
통기방풍탕(通氣防風湯) /  배통철심(背痛徹心)견통(肩痛)
투격탕(透膈湯) /  탄산(呑酸)
필징가원(蓽澄茄元) /  곡창(穀脹)기창(氣脹)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1] /  흉비통(胸痞痛)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2] /  위한(胃寒)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2] /  비허(脾虛)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