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과

 동의보감에서 "초과(草果)/초과 열매"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초과인(草果仁)/초과 씨"로 처방에 사용됨
초과(草果) / 초과 열매
라틴명 Amomi Fructus
약재의 효능 조습온중(燥濕溫中)  (습진 것을 말리고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해주는 치료 방법임.)
파기(破氣)  (기기(氣機)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울결, 적체된 기(氣)를 풀어주는 치법.)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화적(化積)  (적취(積聚)를 삭히는 효능임)
절학(截瘧)  (학질(瘧疾) 치료 방법의 하나임.)
선창중초기(宣暢中焦氣)
투표청리(透表淸裏)
화해삼초(和解三焦)  (삼초(三焦)의 기능을 조화롭게 만드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성미 신(辛) , 온(溫)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약재사용처방 가감청비탕(加減淸脾湯) /  해학(痎瘧)
가자산(訶子散)[3] /  심비통(心脾痛)
과부탕(果附湯) /  비한(脾寒)학질(瘧疾)
구사탕(驅邪湯)[2] /  자학(子瘧)
구학탕(驅瘧湯) /  해학(痎瘧)구학(久瘧)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  구학(久瘧)
노숙탕(露宿湯) /  풍리(風痢)
노학음(老瘧飮) /  학모(瘧母)
노학환(老瘧丸) /  해학(痎瘧)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  식적(食積)
만병무우산(萬病無憂散) /  중서(中暑)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종창(腫脹)기통(氣痛)
별갑음자(鱉甲飮子) /  학모(瘧母)
보비익진탕(補脾益眞湯) /  만비풍(慢脾風)
보비탕(補脾湯)[1] /  비허(脾虛)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분기음(分氣飮) /  천급(喘急)수종(水腫)
비방청비환(秘方淸脾丸) /  십일학(十日瘧)삼일학(三日瘧)
비전강기탕(秘傳降氣湯) /  기역(氣逆)
사수음(四獸飮) /  구학(久瘧)
상산음(常山飮) /  노학(勞瘧)
소청비탕(小淸脾湯) /  위학(胃瘧)
수념산(手拈散) /  구종심통(九種心痛)
승금환(勝金丸) /  학질(瘧疾)
신법반하탕(新法半夏湯) /  한담(寒痰)
실비산(實脾散) /  수종(水腫)
십장군환(十將軍丸) /  학모(瘧母)구학(久瘧)
양위단(養胃丹) /  구학(久瘧)
영출탕(苓朮湯)[1] /  납매(納呆)손설(飱泄)
오매모과탕(烏梅木瓜湯) /  주갈(酒渴)
온비산(溫脾散) /  구설(久泄)
육화탕(六和湯)[2] /  구학(久瘧)
이간단하탕(易簡斷下湯) /  이질(痢疾)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인삼절학음(人蔘截瘧飮) /  허인학질(虛人瘧疾)
절학상산음(截瘧常山飮) /  학질(瘧疾)
절학칠보음(截瘧七寶飮) /  학질(瘧疾)
정기탕(正氣湯)[2] /  풍학(風瘧)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  열격(噎膈)
제생자소자탕(濟生紫蘇子湯) /  복창(腹脹)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제호탕(醍湖湯) /  서열번갈(暑熱煩渴)
청비음(淸脾飮) /  식학(食瘧)
청비탕(淸脾湯) /  식학(食瘧)
청서화중산(淸暑和中散) /  중서(中暑)
초과음(草果飮) /  한학(寒瘧)
초과평위산(草果平胃散) /  비학(脾虐)
축비음(縮脾飮) /  중서(中暑)
충한산(衝寒散) /  소아설사(小兒泄瀉)고냉(痼冷)
파담소음원(破痰消飮元) /  담음(痰飮)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초과인(草果仁) / 초과 씨
라틴명 Amomi Semen
약재의 효능 조습온중(燥濕溫中)  (습진 것을 말리고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해주는 치료 방법임.)
파기(破氣)  (기기(氣機)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울결, 적체된 기(氣)를 풀어주는 치법.)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화적(化積)  (적취(積聚)를 삭히는 효능임)
절학(截瘧)  (학질(瘧疾) 치료 방법의 하나임.)
선창중초기(宣暢中焦氣)
투표청리(透表淸裏)
화해삼초(和解三焦)  (삼초(三焦)의 기능을 조화롭게 만드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성미 신(辛) , 온(溫)
약재사용처방 화중음(和中飮) /  적백리(赤白痢)구리(久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