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중부 이남 | 채취기간 | 9∼10월(열매 성숙기) |
키 | 1m 정도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인가 부근 식재, 산지의 밝은 숲속 | 성미 | 따뜻하며, 시다. |
분류 | 낙엽 활엽 관목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분주ㆍ접목ㆍ씨 | 1회사용량 | 3∼6g |
약효 | 꽃ㆍ열매 | 사용범위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모과나무ㆍ명자나무ㆍ참명자나무의 꽃ㆍ열매 |
잎
어긋나며 길이 2~5cm, 나비 1~3.5cm의 넓은 달걀꼴 또는 거꿀달걀꼴로서 끝이 둥글거나 또는 둔하고 밑은 쐐기 모양으로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양면에 털은 없다. 잎자루의 길이는 3~10mm이다.
꽃
4∼5월에 지름 2.5cm 안팎의 주홍색 꽃이 짧은 가지에 1개 또는 2~4개씩 달려 핀다. 꽃자루는 짧다. 꽃받침통에는 털이 없고 반원형인 꽃받침 조각은 5개인데 곧추서며 녹색의 털이 있다. 꽃잎도 5개인데 거꿀달걀꼴을 닮은 원형 또는 거꿀달걀꼴로서 밑 부분이 뾰족하다. 수술은 많고 암술에는 털이 없는 4~5개의 암술대가 있으며 씨방은 하위이다. 암꽃의 씨방이 발달하여 열매가 된다.
열매
8월에 지름 2~3cm의 둥근 이과가 달려 황색으로 익는다.
특징 및 사용
풀명자ㆍ풀명자꽃이라고도 한다. 뿌리는 땅속줄기 모양으로 길게 뻗어 있다. 한자리에서 여러 대의 줄기가 모여 나온다. 줄기 밑 부분이 비스듬히 옆으로 반쯤 누워서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짧은 가지가 변형된 길이 약 1cm의 가시가 있다. 새 가지에는 처음에 잔털이 있다. 유사종인 명자나무에 비해 전체적으로 작으며 줄기가 아래에서 휘어져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말린 열매를 화목과(和木瓜)라 하며 뿌리는 해당근(海棠根), 가지잎은 해당지(海棠枝)라 한다. 방향성이 있다. 관상용ㆍ공업용ㆍ밀원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나무는 울타리 대용으로 심는다. 열매는 향기가 좋지만 신맛이 강하고 유기산이 3% 정도 들어 있어 강장ㆍ정장ㆍ이뇨 작용이 있으며 피로를 풀어 주는 초나 약술(명자주)의 원료가 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간장을 다스리며, 풍증에 효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