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건지황(生乾地黃) / 지황

 익생양술에서 "지황"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생건지황(生乾地黃) / 지황"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
20~30cm 취급요령 날것 또는 말리거나 쪄서 쓴다.
생지 밭에서 재배 성미 따뜻하며, 달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근(어린뿌리) 1회사용량 뿌리 10~15g
약효 뿌리 사용범위 많이 먹어도 해롭지 않다.
동속약초 백지황
뿌리잎은 뭉쳐나고 긴 타원형인데 끝이 둔하고 밑이 좁아지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앞면은 오목오목 들어가 주름이 져 있으며 뒷면은 맥이 튀어나와 그물처럼 된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난다.
6~7월에 홍자색 꽃이 꽃줄기 끝에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줄기에는 잎처럼 생긴 꽃턱잎이 달리며 전체적으로 끈적끈적한 털이 빽빽하게 난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5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삼각형이고 샘털이 있다. 꽃부리는 통 모양이고 샘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져 퍼지면서 입술 모양을 이룬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다.
열매
10월에 타원형의 삭과를 맺는데 익으면 껍질이 벌어진다.
특징 및 사용
하(芐)ㆍ기(芑)ㆍ지수(地髓)라고도 한다. 육질의 굵은 뿌리가 옆으로 뻗으며 자라는데 적갈색을 띤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고 샘털이 있다. 지황의 생뿌리를 물에 담가서 물에 뜨는 것은 천황(天黃), 반쯤 뜨고 반쯤 가라앉는 것은 인황(人黃), 완전히 가라앉는 것은 지황(地黃)이라 하였다. 이 중에서 물에 가라앉는 것이 좋고, 반쯤 가라앉는 것이 다음이며, 물에 뜨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하였다. 이처럼 가라앉는 것이 귀한 약이므로 밑으로 가라앉을 하(下)라고 부르다가 하(芐)로 변했다고 한다. 생뿌리를 생지황(生地黃), 말린 뿌리를 건지황(乾地黃), 아홉 번 쪄서 아홉 번 말린 것(九蒸九曝 : 구증구포)을 숙지황(熟地黃)이라고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쪄서 말려 쓰고, 술을 담글 때는 생으로 쓴다. 복용 중에 녹두나물ㆍ무ㆍ연근ㆍ용담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구리나 철로 된 도구를 쓰지 않는다.
생건지황(生乾地黃) / 건지황
라틴명 Rehmanniae Radix
약재의 효능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양혈(養血)  (보혈약(補血藥)을 사용하여 혈(血)을 자양(滋養)하는 효능임)
퇴양(退陽)  (양기가 지나치게 항성한 것을 제어하는 효능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보신(補腎)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익기력(益氣力)  (기력(氣力)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이이목(利耳目)  (귀와 눈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강근골(强筋骨)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
전골수(塡骨髓)  (골수(骨髓)를 보충하는 효능임)
장기육(長肌肉)  (기육(肌肉)을 기르는 효능임)
파악혈(破惡血)  (악혈(惡血)을 없애는 효능임.)
조심담기(助心膽氣)  (심(心)과 담(膽)의 기를 도와주는 효능임)
이대소장(利大小腸)  (대장과 소장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자음양혈(滋陰凉血)  (음기(陰氣)를 기르고 혈(血)을 식히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 심(心)
성미 감고(甘苦) , 양(凉)
주의사항 볕에 말려 검게 된 것.
독성 Contraindicated with diarrhea and indigestion 1). ;side effects are mild and include diarrhea, abdomonal pain, dizziness, lack of energy, and palpitations 2).
1) Yeung, H., Handbook of Chinese Herbs and Formulas, volume 1., Los Angeles; Institute of Chinese Medicine, 1985.
2) Bensky, D. and A. Gamble, Chinese Herbal Medicine, Eastland Press, Inc., 1986.
약재사용처방 가미괴각환(加味槐角丸) /  장독(臟毒)치(痔)장풍(腸風)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3] /  혈허두통(血虛頭痛)기궐두통(氣厥頭痛)
결명원(決明元)[1] /  예막차정(藝膜遮睛)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난현풍(爛弦風)예막차정(藝膜遮睛)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  경계(驚悸)정충(怔忡)심허(心虛)
공청원(空靑元) /  침예(沈翳)
궁황산(芎黃散) /  치불생(齒不生)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금황탕(金黃湯) /  혈림(血淋)
냉보환(冷補丸) /  이롱(耳聾)신허요통(腎虛腰痛)
당귀고(當歸膏) /  칠상(七傷)허손(虛損)오로(五勞)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1] /  기궐두통(氣厥頭痛)혈허두통(血虛頭痛)
대명부광산(大明復光散) /  내장(內障)예막(翳膜)
대조환(大造丸) /  기혈구허위(氣血俱虛痿)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안화(眼花)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
명안지황환(明眼地黃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몰약강성단(沒藥降聖丹) /  골절(骨折)타박상(打撲傷)근단(筋斷)
백엽탕(柏葉湯) /  장풍(腸風)
보안환(保安丸) /  임신제병(妊娠諸病)
보진탕(保眞湯) /  유정(遺精)골증(骨蒸)조열(潮熱)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  방로상(房勞傷)허로(虛勞)
보화탕(保和湯) /  노수(勞嗽)허로(虛勞)폐위(肺痿)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  운예(雲翳)목적종통(目赤腫痛)
삼기건중탕(蔘芪健中湯) /  양허(陽虛)소기(少氣)
생숙지황환(生熟地黃丸)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
생지황산(生地黃散) /  안피물타당(眼被物打撞)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 /  두후옹절(痘後癰癤)
선응고(善應膏)[2] /  악창(惡瘡)
소농음(消膿飮) /  폐옹(肺癰)
소어음(消瘀飮) /  어혈복통(瘀血腹痛)
소풍해독산(疎風解毒散) /  편신생창(遍身生瘡)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1] /  삼음경온학(三陰經溫瘧)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칠상(七傷)오로(五勞)
쌍오산(雙烏散) /  상손동통(傷損疼痛)
야광육신환(夜光育神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양혈거풍탕(養血祛風湯) /  두풍(頭風)
억음지황환(抑陰地黃丸)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억청명목탕(抑靑明目湯) /  임신안병(妊娠眼病)
온경익원탕(溫經益元湯) /  상한망양(傷寒亡陽)
온신환(溫腎丸) /  무사(無嗣)
온청음(溫淸飮) /  오색대하(五色帶下)
이의환(二宜丸) /  음허화동(陰虛火動)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익음신기환(益陰腎氣丸) /  신허내장(腎虛內障)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2] /  혈풍(血風)
자감초탕(炙甘草湯) /  상한맥결대(傷寒脈結代)
자신통이탕(滋腎通耳湯) /  이명(耳鳴)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1] /  신허(腎虛)목혼(目昏)혈소신로(血少神勞)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  허로(虛勞)토혈(吐血)육혈(衄血)해혈(咳血)
정신단(靜神丹) /  경계(驚悸)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  무자(無子)
종용원(蓯蓉元) /  발불생(髮不生)
주사안신환(朱砂安神丸) /  경계(驚悸)
주사황련원(朱砂黃連元) /  주갈(酒渴)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 /  혈림(血淋)
지황탕(地黃湯) /  이중청(耳重聽)
진간환(鎭肝丸) /  급경풍(急驚風)
천궁산(川芎散)[2] /  두목불청(頭目不淸)현훈(眩暈)
천마환(天麻丸) /  중풍열증(中風熱證)
천화산(天花散)[1] /  소갈(消渴)
청리자감탕(淸離滋坎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청심산(淸心散) /  심옹(心癰)
태평환(太平丸) /  폐위(肺痿)허로(虛勞)
통경탕(通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통명이기탕(通明利氣湯) /  담화이명(痰火耳鳴)
통혈환(通血丸) /  혈관동인(血灌瞳仁)
퇴운산(退雲散) /  예막(翳膜)
호골환(虎骨丸) /  행지(行遲)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황기탕(黃芪湯)[2] /  자한(自汗)도한(盜汗)
황기탕(黃芪湯)[5] /  소갈(消渴)
흑룡단(黑龍丹)[2] /  사태불하(死胎不下)난산(難産)태의불하(胎衣不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