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금매화

 익생양술에서만 "애기금매화"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북부 지방 채취기간 7~8월(꽃피기 전)
30~6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높은 산의 습한 풀밭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있다.
번식 1회사용량 1~3g
약효 뿌리ㆍ꽃 사용범위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할 때 주의한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2~3개이고 잎자루가 길다.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고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잎의 크기가 작다. 잎몸은 길이와 나비가 각각 4~12cm인 원심형으로서 5개로 깊이 갈라진 다음 다시 3개씩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거꿀달걀꼴이고 가장자리에 깊게 패어 들어간 톱니가 있다.
7~8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5~7개인 꽃받침 조각은 꽃잎처럼 생겼으며 옆으로 퍼진다. 꽃잎은 선 모양의 댓잎피침형으로서 수술보다 짧거나 같다. 수술과 암술은 많다.
열매
10월에 골돌과가 모여 달려서 익는데 끝에 암술대가 붙어 있다.
특징 및 사용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금매화보다 약간 작은 편이다. 유사종으로 애기금매화와 비슷한 모양이지만 꽃잎이 수술보다 긴 것을 큰금매화라 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종독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