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Caryophylli Flos (Syzygium Aromaticum) |
약재의 효능 |
온중강역(溫中降逆)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여 오심(五心)과 구토(嘔吐)의 상역감을 가라앉히는 효능임)
|
|
보신조양(補腎助陽)
(신(腎)을 보하고 양기(陽氣)를 보하는 효능임)
|
|
통경락(通經絡)
(경락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투관규(透關竅)
(관절과 구규(九竅)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
|
구한습(驅寒濕)
(인체에 침입한 한사(寒邪)와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효능임)
|
|
해고독(解蠱毒)
(고독(蠱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
|
|
구한(驅寒)
(인체에 침입한 한사(寒邪)를 제거하는 효능임)
|
|
산결체(散結滯)
|
작용부위 |
비(脾)
, 신(腎)
, 위(胃)
, 폐(肺)
|
성미 |
신(辛)
, 온(溫)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꽃봉오리 |
독성 |
The LD50 of Caryophylli Flos in mice is 1.6 g/kg (oral), 5 g/kg in dogs, and 19.3 g/kg in rats. Animals given this herb can developmsymptoms of hematuria and mucosal necrosis and die from paralysis.1).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
약재사용처방 |
가감이중탕(加減理中湯) /
위한(胃寒)
|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5] /
위한구역(胃寒嘔逆)
|
|
감응원(感應元) /
적리(積痢)
, 구리(久痢)
, 적백리(赤白痢)
|
|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2] /
위랭(胃冷)
|
|
계설향산(鷄舌香散) /
심복냉통(心腹冷痛)
|
|
고장환(固腸丸)[1] /
설사(泄瀉)
|
|
곽향안위산(藿香安胃散) /
구토(嘔吐)
, 비위허약(脾胃虛弱)
|
|
구선영응산(九仙靈應散) /
음위(陰痿)
|
|
궁귀탁리산(芎歸托裏散) /
옹저(癰疽)
|
|
귀원산(歸元散)[2] /
오조(惡阻)
|
|
금주녹운유(金珠綠雲油) /
수발황락(鬚髮黃落)
|
|
기침원(氣鍼元) /
기창(氣脹)
|
|
내탁산(內托散)[4] /
두창흑함(痘瘡黑陷)
|
|
당관음자(撞關飮子) /
창만(脹滿)
|
|
두구귤홍산(豆蔲橘紅散) /
식상(食傷)
|
|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
|
목향균기산(木香均氣散) /
기울(氣鬱)
|
|
목향반하환(木香半夏丸) /
체이(滯頤)
|
|
목향산(木香散)[5] /
두창설사(痘瘡泄瀉)
|
|
반총산(蟠蔥散) /
한산(寒疝)
|
|
백배환(百杯丸) /
징벽(癥癖)
, 상주(傷酒)
|
|
백원자(白圓子) /
담수(痰嗽)
|
|
백출산(白朮散)[3] /
오조(惡阻)
|
|
보비익진탕(補脾益眞湯) /
만비풍(慢脾風)
|
|
부자산수유탕(附子山茱萸湯) /
족위(足痿)
, 중만(中滿)
|
|
분돈환(奔豚丸) /
신적(腎積)
|
|
비방화체환(秘方化滯丸) /
적취(積聚)
, 징벽(癥癖)
|
|
사향환(麝香丸) /
부인음랭(婦人陰冷)
, 무자(無子)
, 백대(白帶)
|
|
삼성환(三聖丸)[2] /
나력(瘰癧)
|
|
삼습탕(渗濕湯)[1] /
한습(寒濕)
|
|
삼출산(蔘朮散) /
심위통(心胃痛)
|
|
삼향산(參香散) /
노채(勞瘵)
, 허로이수(虛勞羸瘦)
|
|
서성복전환(西聖復煎丸) /
양매창(楊梅瘡)
|
|
소감원(蘇感元) /
적리(積痢)
, 구리(久痢)
|
|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5] /
초생곡도무공(初生穀道無孔)
|
|
소적환(消積丸) /
유식적체(乳食積滯)
, 기급(氣急)
, 복창(腹脹)
|
|
소청원(蘇靑元) /
풍담(風痰)
|
|
소합향원(蘇合香元)[1] /
중기(中氣)
, 기통(氣痛)
, 기역(氣逆)
|
|
소합향원(蘇合香元)[2] /
귀매(鬼魅)
, 시주(尸注)
|
|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
이질(痢疾)
|
|
수자목향산(水煮木香散) /
이질(痢疾)
|
|
신법반하탕(新法半夏湯) /
한담(寒痰)
|
|
신효산(神效散)[2] /
냉심통(冷心痛)
|
|
신효산(神效散)[3] /
만경풍(慢驚風)
|
|
십향고(十香膏) /
동창(凍瘡)
|
|
안위산(安胃散)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불사식(不思食)
|
|
양유방(釀乳方)[1] /
만경풍(慢驚風)
|
|
오격관중산(五膈寬中散) /
오격(五膈)
|
|
오향백출산(五香白朮散) /
폐옹(肺癰)
|
|
오향산(五香散) /
오발옹저(五發癰疽)
|
|
오향연교탕(五香連翹湯) /
옹저(癰疽)
|
|
오향탕(五香湯) /
옹저(癰疽)
|
|
온비단(溫脾丹) /
체이(滯頤)
|
|
온비산(溫脾散) /
구설(久泄)
|
|
온폐탕(溫肺湯)[1] /
비색(鼻塞)
|
|
와우산(蝸牛散)[3] /
나력(瘰癧)
|
|
유향정통환(乳香定痛丸) /
역절풍(歷節風)
|
|
육향고(六香膏) /
동창(凍瘡)
|
|
이공산(異功散)[2] /
두창설사(痘瘡泄瀉)
|
|
이향산(二香散)[2] /
옹저(癰疽)
|
|
익황산(益黃散)[1] /
비위허한(脾胃虛寒)
|
|
자설(紫雪) /
적열(積熱)
|
|
자침환(紫沈丸) /
열격(噎膈)
|
|
절학음자(截瘧飮子) /
구학(久瘧)
|
|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 /
양허(陽虛)
|
|
정향(丁香)[1] /
비한(脾寒)
|
|
정향(丁香)[2] /
위한(胃寒)
|
|
정향(丁香)[3] /
복중냉통(腹中冷痛)
|
|
정향교애탕(丁香膠艾湯) /
백대(白帶)
, 붕루(崩漏)
|
|
정향난반환(丁香爛飯丸) /
상식(傷食)
|
|
정향비적환(丁香脾積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
|
정향시체산(丁香枾蒂散) /
위랭(胃冷)
|
|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 /
위한건구(胃寒乾嘔)
|
|
정향연실환(丁香練實丸) /
가취(瘕聚)
, 칠산(七疝)
|
|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
열격(噎膈)
|
|
조기산(調氣散) /
기요통(氣腰痛)
|
|
조위산(調衛散)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숙식(宿食)
|
|
주자당귀환(酒煮當歸丸) /
백대(白帶)
|
|
주침전(朱沈煎) /
소아토사(小兒吐瀉)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3] /
신적(腎積)
, 오적(五積)
|
|
지성환(至聖丸) /
냉감(冷疳)
|
|
집향탕(集香湯) /
허종(虛腫)
|
|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
최생단(催生丹) /
난산(難産)
, 횡산(橫産)
, 역산(逆産)
|
|
축비과체산(縮鼻瓜蔕散) /
황달(黃疸)
|
|
취향음자(聚香飮子) /
기산(氣疝)
|
|
칠향원(七香元) /
식체(食滯)
|
|
침향마비산(沈香磨脾散) /
한복통(寒腹痛)
|
|
침향온위환(沈香溫胃丸) /
곽란(霍亂)
, 비위허한(脾胃虛寒)
|
|
탁리온중탕(托裏溫中湯) /
옹저설사(癰疽泄瀉)
|
|
필징가원(蓽澄茄元) /
곡창(穀脹)
, 기창(氣脹)
|
|
향귤음(香橘飮) /
기허현훈(氣虛眩暈)
|
|
향령환(香靈丸) /
산후구토(産後嘔吐)
|
|
호박고(琥珀膏)[2] /
동창(凍瘡)
|
|
화위환(和胃丸) /
토사(吐瀉)
|
|
회생보명단(回生保命丹)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