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Amydae Carapax |
약재의 효능 |
자음잠양(滋陰潛陽)
(음기(陰氣)를 기르고 양기(陽氣)를 잠기게 하는 효능임)
|
|
퇴열제증(退熱除蒸)
(열기를 제거하고 열기로 인해 훈증되는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
|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
|
식풍(熄風)
(평식내풍(平熄內風)의 치법을 말함. 내장병변(內臟病變)으로 발생한 풍병(風病)을 치료한다.)
|
|
연견(軟堅)
(대변(大便)이나 종괴(腫塊) 등의 딱딱하게 굳은 것을 무르게 해주는 효능임)
|
|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소숙식(消宿食)
(오랫동안 정체된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타태(墮胎)
(임신 3개월 이전, 태아가 형상을 갖추기 전에 유산되는 것.)
|
|
보음(補陰)
(음기(陰氣)를 보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신(腎)
|
성미 |
미한(微寒)
, 함(鹹)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임신부, 음허위약자(陰虛胃弱者)는 먹지 않는 것이 좋음.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감초탕(甘草湯)[2] /
상한음독(傷寒陰毒)
|
|
공연단(控涎丹) /
담음유주(痰飮流注)
|
|
궁귀별갑산(芎歸鱉甲散) /
노학(勞瘧)
|
|
궤견환(潰堅丸) /
오적(五積)
, 비괴(痞塊)
, 육취(六聚)
|
|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
|
도씨시호백합탕(陶氏柴胡百合湯) /
상한백합병(傷寒百合病)
|
|
맥전산(麥煎散) /
골증(骨蒸)
|
|
별(鱉)[4] /
주달(酒疸)
|
|
별(鱉)[5] /
소아골증(小兒骨蒸)
, 탈항(脫肛)
, 이수(羸瘦)
|
|
별갑(鱉甲)[1] /
오색대하(五色帶下)
, 누하(漏下)
|
|
별갑(鱉甲)[2] /
골절간노열(骨節間勞熱)
|
|
별갑(鱉甲)[3] /
음두옹(陰頭癰)
, 음식창(陰蝕瘡)
|
|
별갑(鱉甲)[4] /
열로(熱勞)
, 허로(虛勞)
|
|
별갑(鱉甲)[5] /
현벽(痃癖)
, 징가(癥瘕)
|
|
별갑(鱉甲)[6] /
노학(老瘧)
, 온학(溫瘧)
|
|
별갑산(鱉甲散) /
상한괴증(傷寒壞症)
|
|
별갑음자(鱉甲飮子) /
학모(瘧母)
|
|
별갑환(鱉甲丸) /
학모(瘧母)
, 해학(痎瘧)
|
|
삼귀별갑음(蔘歸鱉甲飮) /
학모(瘧母)
|
|
상아환(象牙丸) /
양매창(楊梅瘡)
|
|
상표소산(桑螵蛸散)[1] /
소변백탁(小便白濁)
|
|
승마별갑탕(升麻鱉甲湯) /
음독발반(陰毒發斑)
|
|
연년호명단(延年護命丹) /
혈적(血積)
, 충적(蟲積)
, 적취(積聚)
|
|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
|
오증환(五蒸丸) /
골증(骨蒸)
|
|
오치산(五痔散) /
오치(五痔)
|
|
위피산(蝟皮散) /
탈항(脫肛)
|
|
음학환(陰瘧丸) /
해학(痎瘧)
, 야발음학(夜發陰瘧)
|
|
인삼별갑산(人蔘鱉甲散) /
산후허리(産後虛羸)
|
|
인삼절학음(人蔘截瘧飮) /
허인학질(虛人瘧疾)
|
|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2] /
혈풍(血風)
|
|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
폐허(肺虛)
|
|
인진환(茵蔯丸) /
장학(瘴瘧)
, 온역(瘟疫)
, 황달(黃疸)
|
|
자하거환(紫河車丸) /
전시(傳尸)
, 노채(勞瘵)
|
|
장달환(瘴疸丸) /
시행황병(時行黃病)
, 역려발황(疫癘發黃)
|
|
지골피산(地骨皮散)[2] /
골증(骨蒸)
|
|
진교별갑산(秦艽鱉甲散) /
허로(虛勞)
|
|
침향별갑산(沈香鱉甲散) /
노상(勞傷)
, 허손(虛損)
|
|
태을명월단(太乙明月丹) /
전시(傳尸)
, 노채(勞瘵)
|
|
향릉환(香稜丸) /
오적(五積)
, 육취(六聚)
|
|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허로(虛勞)
, 노손(勞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