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여름~가을 |
키 | 30~100cm | 취급요령 | 그늘에 말려 쓴다. |
생지 | 풀밭, 물가 | 성미 | 평온하며, 달고 맵다.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5~8g |
약효 | 온포기ㆍ뿌리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2~5쌍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인데 작은 잎은 밑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위쪽의 작은 잎은 길이 5~10cm, 나비 3~10cm의 네모진 달걀꼴 또는 원형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짧고 3~5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다. 턱잎은 넓은 달걀꼴이고 가장자리에 깊이 패여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
6~7월에 지름 1.5~2cm의 노란 꽃이 가지 끝에 1개씩 모두 3~10개가 달려 핀다. 꽃받침 조각과 꽃잎, 덧꽃받침 조각은 각각 5개씩이다. 수술과 암술은 많으며 씨방에 거친 털이 있다.
열매
8월경에 수과가 달려 익는데 황갈색 털이 있으며 꼭대기에 갈고리 모양의 암술대가 남아 있다. 수과가 모인 덩어리는 취과이며 나비 5~20mm의 타원형이다.
특징 및 사용
수양매(水楊梅)라고도 한다. 원뿌리는 흙덩어리 모양이다. 줄기 전체에 옆으로 퍼진 거친 털이 나 있다. 유사종인 뱀무와 비슷하지만 작은 꽃자루에 퍼진 털이 있고 과탁(果托)의 털이 짧은 점이 다르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마비 증세를 치유하며, 풍증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