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여름~가을 |
키 | 10~30cm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연못ㆍ냇가 등의 습지 | 성미 | 평온하며, 달고 쓰다. |
분류 | 한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6~12g |
약효 | 온포기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어긋나며 길이 2~6cm, 나비 4~8mm의 좁은 댓잎피침형으로서 표면에 윤기가 있다. 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밑 부분은 짧은 잎집으로 되어 있다. 잎집에는 털이 나 있다.
꽃
8~9월에 연한 홍자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려 피는데 길이 1.5~3cm의 꽃자루가 있다. 둥근 달걀꼴의 꽃잎이 3개씩 달려 있는데 하루 만에 시든다. 꽃받침 조각도 3개인데 막질이며 녹색을 띤다. 수술은 3개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헛수술이 3개 있다. 씨방의 밑에 흰 털이 난다.
열매
10월에 길이 1cm 정도인 타원형의 삭과를 맺는데 익으면 3갈래로 갈라지면서 작은 씨가 나온다.
특징 및 사용
애기달개비ㆍ애기닭의밑씻개라고도 한다. 줄기의 밑 부분이 비스듬히 옆으로 뻗으면서 많은 가지를 치며 각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나온다. 줄기는 녹색 또는 홍자색을 띠며 1개의 털줄이 있다. 이 풀을 피부에 돋은 사마귀에 붙이면 사마귀가 떨어진다 하여 사마귀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기도 한다. 온포기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수죽채라 하며 약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 질환과 열증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