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皂角) / 조각자나무

 익생양술에서 "조각자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조각(皂角) / 조각자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남, 경북, 충북 채취기간 10월(열매), 가을~이듬해 봄(나무껍질)
10~15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야나 개울가 또는 재배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낙엽 활엽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꺾꽂이ㆍ씨 1회사용량 6~8g
약효 열매ㆍ나무껍질 사용범위 치유되는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주엽나무의 열매ㆍ나무껍질
어긋나며 3~6쌍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1~9cm, 나비 5~35mm의 긴 타원형 또는 댓잎피침형으로서 양 끝이 둔하거나 약간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둔한 톱니가 있다. 앞면의 주맥과 맥 위에 갈색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에는 맥 위에만 갈색 털이 약간 있다.
6월에 엷은 황백색 꽃이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양성화이다.
열매
10월에 길이 20cm, 나비 3cm쯤 되는 두꺼운 협과가 달려 익는데 꼬투리는 편평하고 비틀리지 않으며 쪼개면 매운 냄새가 난다.
특징 및 사용
조각자(皁角刺)ㆍ조협(皁莢)이라고도 한다. 조각자란 가시가 뿔처럼 달려 있는 모양을 의미하며 조협은 콩깍지가 나무에 주렁주렁 열리기 때문에 생긴 별칭이다. 주엽나무와 비슷하지만 가시가 굵고 그 단면이 둥글며 꼬투리가 비틀리거나 꼬이지 않는 점이 다르다. 가시는 큰 것이 길이 10cm, 지름 1cm 이상이며 방추형 비슷하다. 중부 지방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다. 가시를 조각자, 열매를 조협, 씨를 조협자(皁莢子), 뿌리껍질을 조협근피(皁莢根皮)라 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운동계 질환과 풍증을 다스린다.
조각(皂角) / 조각나무
라틴명 Gleditsiae Fructus
약재의 효능 수풍궤견(搜風潰堅)  (내풍(內風)을 제거하고, 딱딱하게 뭉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사간(瀉肝)  (청법(淸法)의 하나. 고한(苦寒)한 약물을 사용하여 간화(肝火)를 청설하는 방법임.)
이폐(利肺)  (폐(肺)를 이롭게 하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화식(化食)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발독(拔毒)
벽온역사기(辟溫疫邪氣)  (온역(溫疫)을 일으키는 사기(邪氣)를 피하게 하는 효능임.)
통규수풍(通竅搜風)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고 풍을 막는 효능임)
작용부위 대장(大腸) , 폐(肺)
성미 소독(小毒) , 신(辛) , 온(溫)
약재사용처방 가감궁신탕(加減芎辛湯) /  두풍(頭風)
개결기실환(開結枳實丸) /  담음(痰飮)기체(氣滯)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4] /  곡창(穀脹)기창(氣脹)
밀조환(蜜皂丸)[1] /  두창대변비결(痘瘡大便秘結)
밀조환(蜜皂丸)[2] /  두창대변비결(痘瘡大便秘結)
박하단(薄荷丹) /  나력(瘰癧)
복령탕(茯苓湯)[2] /  천포창(天疱瘡)양매창(楊梅瘡)
비기환(肥氣丸) /  간적(肝積)
사생환(四生丸)[2] /  담화(痰火)적열(積熱)
삼신환(三神丸)[3] /  치(痔)
선열단(宣熱丹) /  풍열(風熱)나력(瘰癧)
선화무비산(蟬花無比散) /  풍견편시(風牽偏視)
소나조환(小蘿皂丸) /  구천(久喘)
소서각환(小犀角丸) /  나력(瘰癧)
소풍순기탕(疏風順氣湯) /  반신불수(半身不遂)중풍(中風)
소풍화담탕(疏風化痰湯) /  나력(瘰癧)
신선추담원(神仙墜痰元) /  담음(痰飮)
신이고(神異膏)[2] /  개선(疥癬)
오선고(五仙膏) /  적취(積聚)비괴(痞塊)
오선환(五仙丸) /  제충(諸蟲)
옥용산(玉容散) /  면상잡병(面上雜病)
옥용서시산(玉容西施散) /  흑염정(黑靨疔)풍자(風刺)
우선단(遇仙丹)[1] /  충적(蟲積)
웅황환(雄黃丸)[2] /  정창(釘瘡)악창(惡瘡)
입정산(立定散) /  효천(哮喘)
전진환(全眞丸)[1]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삼초옹체(三焦壅滯)
정양산(正陽散)[2] /  상한음독(傷寒陰毒)
조각(皂角)[1] /  비색(鼻塞)
조각산(皂角散) /  졸중풍(卒中風)담색(痰塞)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1] /  오적(五積)비적(脾積)
천민도담탕(千緡導痰湯) /  담천(痰喘)
천민탕(千緡湯) /  담천(痰喘)
청금환(淸金丸)[3] /  효천(哮喘)
초오산(草烏散) /  골절(骨折)
추충환(追蟲丸) /  충적(蟲積)
축비통천산(縮鼻通天散) /  졸중풍(卒中風)
치주피추창일방(治走皮皺瘡一方)[2] /  주피추창(走皮趨瘡)
탈명산(奪命散)[1] /  급후비(急喉痺)전후풍(纏喉風)
통관산(通關散)[2] /  졸중풍(卒中風)
통관산(通關散)[3] /  졸중풍(卒中風)
희연산(稀涎散)[2] /  풍연색후(風涎塞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