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산

 익생양술에서만 "석산"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남부 지방 채취기간 가을(개화기 뒤)
30~50cm 취급요령 그늘에 말려 쓴다.
생지 산기슭, 풀밭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있다.
번식 분주 1회사용량 1~2g
약효 비늘줄기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뿌리에서 뭉쳐나는데 길이 30~40cm, 나비 15mm 정도의 선형으로서 광택이 있는 녹색의 잎이 꽃이 필 때쯤이면 말라 죽는다. 꽃이 진 다음에 다시 짙은 녹색의 잎이 무성하게 나오고 다음해 봄에 다시 시든다.
9~10월에 진홍색으로 피는데 잎이 없는 비늘줄기에서 나온 꽃줄기가 길이 30~50cm로 길게 자라서 그 끝에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차례받침은 길이 2~3cm의 선형 또는 댓잎피침형이며 막질이다. 작은 꽃자루의 길이는 6~15mm이다. 꽃의 통 부분은 길이 6~8mm이고 6개인 꽃덮이 조각은 길이 4cm 정도의 거꾸로 선 댓잎피침형으로서 뒤로 말리며 가장자리에 주름이 진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어 꽃 밖으로 길게 나오는데 꽃술의 길이가 꽃잎의 2배쯤 된다.
열매
열매를 맺지 못한다.
특징 및 사용
가을가재무릇ㆍ돌마늘ㆍ꽃무릇ㆍ용조화ㆍ산오독ㆍ산두초라고도 한다. 피처럼 붉은 꽃과 비늘줄기의 독성 때문에 죽음을 상징한다는 의미에서 지옥꽃이라 부르기도 한다. 잎과 꽃이 서로 만나지 못하는 특성이 상사화와 닮았다. 게다가 상사화와 석산의 꽃 모양이 유사해 보이고 두 식물 모두 수선화과인데다 이명마저도 상사화가 개가재무릇, 석산은 가을가재무릇이어서 혼동하기 쉽다. 그러나 상사화와 석산은 생리적 특성도 다르지만 상사화의 꽃이 연한 홍자색인데 비해 석산의 꽃은 진홍색이어서 구별할 수 있다. 중국 원산이며 일본을 통해 들여와 절에서 흔히 심어 가꾼다. 그 까닭은 석산의 비늘줄기에 들어 있는 녹말을 이용하여 불경을 제본하고 탱화를 표구하며 고승들의 진영(眞影)을 붙이는 데 썼기 때문이다. 꽃과 잎이 같이 자라지 않으므로 예전에는 사람들이 그다지 반기지 않았으나 이런 풍습도 잊혀져 가고 있다. 땅 밑에 수선화의 뿌리와 닮은 비늘줄기가 있는데 지름 2.5~3.5cm의 넓은 타원형이며 겉껍질이 검다. 비늘줄기에 알칼로이드의 유독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함부로 쓰면 위험하지만 이것을 제거하면 좋은 녹말을 얻을 수 있다. 비늘줄기를 짓찧어 물 속에서 잘 주물러 찌꺼기를 걷어낸 다음 다시 물로 여러 차례 씻고 가라앉히는 과정을 되풀이하면 독성이 없어져 질 좋은 녹말을 얻는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달인 물로 씻거나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 질환 및 물이 고이는 각종 병증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