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팥

 익생양술에서만 "여우팥"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제주도, 남부 다도해 섬 지방 채취기간 7~8월(개화기 전)
2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썰어서 쓴다.
생지 산이나 들, 바닷가의 숲 가장자리 성미 따뜻하며, 달다.
분류 여러해살이 덩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10~15g
약효 온포기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고 3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3출엽이며 잎자루가 길다. 작은 잎은 마름모꼴로 생겼는데 중앙 부분의 작은 잎은 길이와 나비가 각각 1.5~3cm인 사각 모양의 달걀꼴이고 위쪽의 작은 잎은 사각형과 비슷하며 끝이 뾰족하다가 둔해진다. 가장자리에 톱니는 없다. 표면에 비스듬하게 선 짧은 털이 많으며 뒷면에 황적색의 샘점이 있다.
7~8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마디에서 꽃자루가 1개씩 나와 그 끝에 3~8개의 꽃이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턱잎은 좁은 달걀 모양의 삼각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에는 샘털이 빽빽이 난다. 꽃받침 조각은 5개인데 밑 부분에 있는 것이 가장 길다. 꽃부리는 나비 모양인데 가운데 큰 꽃잎은 둥글며 양쪽에 1개씩 돌기가 있다. 맨 밑에 있는 꽃잎인 용골판(龍骨瓣)은 반 정도 오른쪽으로 말리고 상투가 없다. 수술은 2개이다.
열매
9~10월에 길이 4.5~5cm, 나비 8mm 정도인 선형의 협과가 달려 익는데 6~8개의 씨가 들어 있다. 꽃이 크고 화려한데 비해 열매는 작으며 꼬부라진 털이 빽빽이 나 있다.
특징 및 사용
새콩ㆍ새동부ㆍ덩굴돌팥ㆍ돌팥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꼬부라지며 가늘고 긴 덩굴이 뻗어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간다. 전체에 털이 많이 나 있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씨를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피부 질환에 효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