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중부 이남 | 채취기간 | 가을~이듬해 봄 |
키 | 75cm 정도 | 취급요령 |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그늘에 말려 쓴다. |
생지 | 산지의 풀밭 | 성미 | 평온하며, 달다.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실생 | 1회사용량 | 10~12g |
약효 | 뿌리줄기 | 사용범위 | 오래 써도 무방하다. |
동속약초 | 둥글레ㆍ퉁둥글레ㆍ용둥글레ㆍ황정의 뿌리줄기 |
잎
어긋나고 잎자루가 짧다. 잎몸은 길이 약 15cm, 나비 7cm 정도 되는 타원형 또는 달걀꼴로서 양 끝이 뭉뚝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앞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분처럼 희고 가느다란 센 털이 나 있다.
꽃
5~6월에 녹백색의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2~5송이씩 달려 핀다. 꽃덮이는 통처럼 생긴 종 모양이며 끝이 6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달걀꼴에 녹색이다. 수술은 6개이고 암술대는 하나이며 선형이다. 씨방은 3실이다.
열매
6~7월에 둥근 장과가 달려 검게 익는다.
특징 및 사용
굵은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자라는데 마디가 약간 있고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모가 나 있다.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둥굴레에 비해 전체적으로 크며 잎 뒤에 센 털이 나 있는 점이 다르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심장 질환과 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