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저두(獖猪肚) / 돼지

익생양술에서
"돼지"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분저두(獖猪肚) / 돼지"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
전국 |
채취기간 |
연중 |
키 |
1~2.5m |
취급요령 |
용도에 따라 쓴다. |
생지 |
농가, 가축장 등 사육 |
성미 |
서늘하며, 담백하다. |
분류 |
포유류(가축)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태생 |
1회사용량 |
적당량 |
약효 |
전체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특징 및 사용
멧돼지과에 속하는 가축으로 야생의 멧돼지를 사육한 것이다. 눈은 작고 뽀족한 입 위에 두꺼운 육질 부분이 있으며 그곳에 콧구멍이 있어 땅을 파는데 적합하다. 몸은 둥글고 비대하며 피부가 두껍고 네 다리가 짧으며 머리는 작으나 목이 굵다. 다리는 네 개의 발톱이 있고 꼬리가 짧다. 체질이 강건하여 기후와 풍토에 대한 적응력이 크고 조속 다산하며 고기 맛이 좋아 여러가지로 가공된다. 내장, 뼈, 기름 등은 이용가치가 크다. 품종은 재래종, 버크셔, 요크셔 등 여러가지가 있다. 식용, 공업용, 약용으로 다양하게 쓰인다.
분저두(獖猪肚) / 거세한 돼지의 밥통
라틴명 |
Suis Stomachus |
약재의 효능 |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
|
살노충(殺勞蟲)
(결핵균을 죽이는 것임.)
|
|
온양태기(溫養胎氣)
(임신한 부인에게 양기(陽氣)를 보태어 태기(胎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
성미 |
고(苦)
, 온(溫)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저장환(猪臟丸) /
신설(腎泄)
|
|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