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Agkistrodon |
약재의 효능 | 거풍습(祛風濕)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효능임) |
통경락(通經絡) (경락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정경(定痙) (경련(痙攣)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벽악(辟惡)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악기(惡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퇴목예(退目翳) (눈에 막이 낀 듯 가려서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 |
거풍제습(祛風除濕) (풍사(風邪)과 습사(濕邪)가 체내에 머물러 있다가 통증이 옮겨 다니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임) | |
절경정축(截驚定搐) (놀란 것을 다스리고 경련(痙攣)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투골수풍(透骨搜風) (투골(透骨)하고 경락(經絡)에 몰려 있는 풍한습담(風寒濕痰)을 몰아내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성미 | 감함(甘鹹) , 온(溫) , 유독(有毒)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독성 |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경기원(驚氣元) / 전간(癲癎) |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 |
백사산(白蛇散)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
백화사(白花蛇)[1] / 역양풍(癧瘍風) , 백전풍(白癜風) | |
백화사(白花蛇)[2] / 탄탄(癱瘓)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백화사주법(白花蛇酒法) / 백라창(白癩瘡) | |
백화사환(白花蛇丸) / 백라창(白癩瘡) | |
서성복전환(西聖復煎丸) / 양매창(楊梅瘡) | |
유풍단(愈風丹) / 나질(癩疾) | |
팔선산(八仙散) / 만경풍(慢驚風) | |
호골산(虎骨散)[1] / 역절풍(歷節風) | |
호골산(虎骨散)[2] / 역절풍(歷節風) | |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

라틴명 | Agkistrodi Fel |
약재의 효능 | 살하부충(殺下部蟲) (하부의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성미 | 고(苦) , 미한(微寒) , 유독(有毒) |
독성 |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복사담(蝮蛇膽) / 누창(瘻瘡) , 감창(疳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