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Piperis Nigri Fructus |
약재의 효능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쾌격(快膈) (흉격의 기운을 시원하게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 |
조오장(調五臟) (오장(五藏)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 |
장신기(壯腎氣)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위(胃) |
성미 | 신(辛) , 열(熱)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미숙과(未熟果) |
독성 | The LD50 of piperine in rats was 348.6 mg/kg (I.p.).1).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
약재사용처방 | 갈환자(褐丸子) / 감창(疳脹) |
곡래소거산(哭來笑去散) / 아치종통(牙齒腫痛) | |
극통산(튽痛散) / 냉심통(冷心痛) | |
기침원(氣鍼元) / 기창(氣脹) | |
당기아위원(撞氣阿魏元) / 기통(氣痛) | |
마적원(磨積元)[1] / 식적(息積) | |
만전환(萬全丸) / 구리(久痢) , 활설(滑泄) | |
목향산(木香散)[1] / 활설(滑泄) | |
사부소거산(謝傅笑去散) / 치통(齒痛) | |
사성환(四聖丸) / 소아복창(小兒腹脹) | |
사향산(四香散) / 고창(蠱脹) | |
삼령장비원(蔘苓壯脾元) / 비위허한(脾胃虛寒) | |
색이약(塞耳藥) / 아치통(牙齒痛) | |
신보원(神保元)[1] / 기통(氣痛) | |
신보원(神保元)[2] / 기울협통(氣鬱脇痛) | |
아동금수약(牙疼噙漱藥) / 치통(齒痛) | |
양씨사향원(楊氏麝香元) / 퇴산(㿉疝) | |
양원산(養元散) / 허설(虛泄) | |
이호산(二胡散) / 심복통(心腹痛) | |
정향산(丁香散)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지천원(止喘元) / 냉천(冷喘) | |
찰아방(擦牙方)[1] / 치통(齒痛) | |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
초두산(椒豆散) / 곽란번갈(霍亂煩渴) | |
추도산(推刀散) / 냉심통(冷心痛) | |
탑기환(榻氣丸) / 소아복창(小兒腹脹) | |
호초(胡椒) / 심복냉통(心腹冷痛) | |
호초탕(胡椒湯) / 곽란번갈(霍亂煩渴) | |
홍원자(紅圓子) / 식적(食積) , 주적(酒積) | |
화기탕(化氣湯) / 식분(息賁) | |
회춘산(回春散) / 음랭(陰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