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기(防己) / 방기

 익생양술에서 "방기"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방기(防己) / 방기"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남부 섬 지방 채취기간 가을(줄기), 연중(뿌리)
7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기슭의 양지 성미 평온하며, 쓰다.
분류 낙엽 활엽 덩굴나무 독성여부 null
번식 분근 1회사용량 줄기ㆍ뿌리 6~7g
약효 줄기ㆍ뿌리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고 길이 6~15cm, 나비 3~12cm의 원형 또는 넓은 달걀꼴로서 손바닥 모양의 다각형을 이루고 있는데 끝이 점차 좁아지고 밑은 심장 밑 모양이다. 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이며 때로는 얕게 3~7개로 갈라진다. 앞면은 녹색이고 털이 없다. 뒷면은 회록색이고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으며 손바닥 모양의 맥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5~10cm로서 잎몸보다 짧다.
6월에 연한 녹색의 잔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원추 꽃차례로 달려 피는데 꽃차례의 길이는 10~20cm이다. 암수딴그루이며 단성화이다. 꽃받침 조각과 꽃잎은 각각 6개씩이다. 수술은 9~12개이지만 암꽃에서는 3개의 헛수술과 3개의 심피(心皮)가 있다. 암술대는 젖혀지며 암술머리는 갈라지지 않는다.
열매
10월에 지름 6~7mm의 둥근 핵과가 달려 검게 익는다.
특징 및 사용
방기라는 이름은 적으로부터 자기를 방어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줄기가 다른 물체를 감아 오르며 자라는데 항상 푸르고 윤이 난다 하여 청등이라고도 한다. 작은 가지에 털이 없으며 세로줄이 있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고제ㆍ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산수유를 금한다.
방기(防己) / 방기
라틴명 Stephaniae Tetrandra Radix
약재의 효능 행수(行水)  (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 조절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의 하나.)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제습(除濕)  (습기(濕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통주리(通腠理)  (주리가 막힌 것을 잘 소통되게 하는 효능임)
이구규(利九竅)  (구규(九竅)가 막힌 것을 뚫는 효능임)
해웅황독(解雄黃毒)  (창(瘡)이 생긴 부위에 웅황(雄黃)이 닿아서 독기(毒氣)의 침입을 받앗을때 그 독을 해독하는 처방임)
복초석(伏硝石)  (소석(硝石)의 독을 억제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방광(膀胱) , 폐(肺)
성미 고(苦) , 평(平)
약전기재 중국약전
주의사항 덩굴줄기 및 뿌리줄기.
독성 Overdose may cause respiratory paralysis. Therapeutic doses, however, have little effect on the heart or respiration. Occasionally, patients may develop cyanosis and excess sweating.
The LD50 of metetrandrine in mice is 1.3 mg/kg (I.v.), ten times greater than that of d-tubocararine.1). Aristolochic acid(nephrotoxin) does not contain 2).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Bensky, D. and A. Gamble, Chinese Herbal Medicine, Eastland Press, Inc., 1986.
약재사용처방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1] /  풍중부(風中腑)태양중풍(太陽中風)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2] /  태양중풍(太陽中風)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3] /  양명중풍(陽明中風)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4] /  중풍(中風)태음병(太陰病)무한(無汗)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5] /  소음중풍(少陰中風)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6] /  지절통(肢節痛)소양중풍(少陽中風)
가미이묘환(加味二妙丸) /  족위(足痿)
가미창백산(加味蒼柏散) /  습각기(濕脚氣)
강활도체탕(羌活導滯湯) /  각기(脚氣)
강활방기탕(羌活防己湯) /  부골저(附骨疽)
건보환(健步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경험이방음(經驗二防飮) /  이후각통(痢後脚痛)학슬풍(鶴膝風)
궁궁산(芎藭散)[2] /  비색(鼻塞)
내탁복전산(內托復煎散) /  음저(陰疽)
당귀염통탕(當歸拈痛湯) /  각기(脚氣)
대강활탕(大羌活湯)[1] /  역절풍(歷節風)
대강활탕(大羌活湯)[2] /  양감상한(兩感傷寒)
독활탕(獨活湯)[2] /  노역요통(勞役腰痛)
마황좌경탕(麻黃左經湯) /  각기(脚氣)
방기(防己)[3] /  중풍(中風)구안와사(口眼喎斜)
방기복령탕(防己茯苓湯) /  피수(皮水)
방기초력환(防己椒藶丸) /  수창(水脹)
방기탕(防己湯) /  자종(子腫)
방기황기탕(防己黃芪湯) /  풍습(風濕)
복령삼습탕(茯苓渗濕湯) /  습열황달(濕熱黃疸)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  목적종통(目赤腫痛)운예(雲翳)
사혈탕(瀉血湯) /  야간발열(夜間發熱)
상백피산(桑白皮散) /  각기(脚氣)
생진감로탕(生津甘露湯) /  소갈(消渴)
선유량환(仙遺粮丸) /  양매창(楊梅瘡)
세신탕(細辛湯) /  아치종통(牙齒腫痛)
소속명탕(小續命湯) /  졸중풍(卒中風)인사불성(人事不省)탄탄(癱瘓)
소종유량탕(消腫遺粮湯) /  양매창(楊梅瘡)
소통성산(小通聖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  역절풍(歷節風)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1] /  옹저(癰疽)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2] /  배옹(背癰)오발옹저(五發癰疽)내저(內疽)
신령단(神靈丹) /  졸심통(卒心痛)
신비좌경탕(神秘左經湯) /  각기(脚氣)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 /  양각위연(兩脚痿軟)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오비탕(五痺湯) /  오비(五痺)
의이인탕(薏苡仁湯) /  순종(脣腫)순풍(脣風)
자운풍환(紫雲風丸) /  자운풍(紫雲風)자전풍(紫癜風)
적소두탕(赤小豆湯) /  수종(水腫)창개(瘡疥)
정력환(葶藶丸)[2] /  면목부종(面目浮腫)천촉(喘促)
증미오비탕(增味五痺湯) /  오비(五痺)
천궁육계탕(川芎肉桂湯) /  어혈요통(瘀血腰痛)
청신보기탕(淸神補氣湯) /  소갈(消渴)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  습각기(濕脚氣)
청혼탕(淸魂湯) /  음랭(陰冷)음위(陰痿)
택란산(澤蘭散) /  산후부종(産後浮腫)
팔보회춘탕(八寶回春湯) /  중풍(中風)허증(虛症)
해웅황독일방(解雄黃毒一方) /  웅황독(雄黃毒)
행인반하탕(杏仁半夏湯) /  기천(氣喘)
화혈익기탕(和血益氣湯) /  소갈(消渴)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 /  발뇌(發腦)마목(麻木)발배(發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