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에서만 "등"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10월
10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과 들의 낮은 지대, 집 근처 성미 차며, 쓰다.
분류 낙엽 활엽 덩굴나무 독성여부 없다.
번식 씨ㆍ접목 1회사용량 2~3g
약효 줄기ㆍ씨ㆍ잔가지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며 11~19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1회 홀수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1~4cm이고 달걀을 닮은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작은 잎자루는 길이 4~5mm이며 털이 있다.
5월에 잎과 함께 연한 자주색 또는 흰색으로 피는데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밑으로 처진다. 길이 30~40cm의 꽃대에 꽃이 많이 달리는데 보통 가지 끝에 달리지만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것도 있다. 꽃받침도 연한 자주색이지만 밑 부분은 황록색이며 털이 있다.
열매
9월에 협과인 꼬투리가 달려 단단하게 영그는데, 길이는 10~15cm이며 밑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겉에 털이 있다.
특징 및 사용
등나무ㆍ참등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오른쪽으로 감으면서 올라간다. 작은 가지는 회색 또는 밤색의 얇은 막으로 덮여 있다. 관상용ㆍ사료용ㆍ세공재ㆍ밀원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달인 물로 씻는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이뇨 작용을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