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충

 익생양술에서 "두충"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두충(杜沖)/두충"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중남부 지방 채취기간 5월
10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주로 산지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달고 약간 맵다.
분류 낙엽 활엽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ㆍ씨 1회사용량 나무껍질 8~10g
약효 나무껍질(15년 이상 된 나무)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며 길이 5~16cm, 나비 2~7cm의 타원형인데 끝이 갑자기 좁아져서 뾰족해지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고르지 못하지만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양면에 거의 털이 없으나 뒷면의 잎맥이 우툴두툴하며 짧고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1cm 정도이고 잔털이 있다.
4~5월에 오래 묵은 나무의 잎겨드랑이에서 엷은 녹색의 잔꽃이 피는데 꽃잎은 없다. 암수딴그루이다. 수꽃은 적갈색이며 6~10개의 짦은 수술과 꽃자루가 있다. 암꽃은 짧은 꽃자루가 있고 새 가지 밑 부분에 1개씩 달린다. 씨방은 2개의 심피(心皮)가 합쳐지고 1개의 방은 퇴화되어 1실로 되며, 끝이 2개로 갈라져서 암술머리가 된다.
열매
9월에 긴 타원형의 편평한 열매가 달려 익는데 날개가 있다. 자르면 고무처럼 끈끈한 점질의 흰 실이 길게 늘어난다.
특징 및 사용
두중ㆍ사선목(思仙木)이라고도 한다. 가지ㆍ잎ㆍ나무껍질에 점질이 있어 자르면 하얀 고무질의 유즙이 나오고 마른 뒤에 자르면 흰 실처럼 서로 엉켜 있다. 잎이 마치 느릅나무 잎처럼 생겼다. 잎을 두충엽(杜冲葉), 씨를 두충실(杜冲實)이라고 하며, 나무껍질을 말린 약재를 나무 이름과 같이 두충이라고 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술을 담가서 쓰기도 한다. 신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두충(杜沖) / 두충
라틴명 Eucommiae Cortex
약재의 효능 익간신(益肝腎)  (간신(肝腎)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보요슬(補腰膝)  (허리와 무릎을 보하는 효능임)
익정기(益精氣)  (정기(精氣)를 더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견근골(堅筋骨)  (근육과 뼈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거풍습(祛風濕)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효능임)
안태(安胎)  (태기(胎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강지(强志)  (지력(志力)을 강하게 하는 효능임)
조요익슬(助腰益膝)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해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성미 감(甘) , 온(溫)
약전기재 대한약전 , 중국약전
주의사항 신허화왕(腎虛火旺), 몽유자(夢遺者)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While in high doses Eucommiae Cortex causes vasoconstriction.1).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약재사용처방 가감보음환(加減補陰丸) /  음허(陰虛)
가구자원(家韭子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탄탄(癱瘓)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  음허(陰虛)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5] /  양각위연(兩脚痿軟)
가미청아원(加味靑娥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강활속단탕(羌活續斷湯) /  각기(脚氣)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부(風中腑)풍중장(風中臟)
경험이방음(經驗二防飮) /  이후각통(痢後脚痛)학슬풍(鶴膝風)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  신허불임(腎虛不姙)
고진음자(固眞飮子) /  오심번열(五心煩熱)음양구허(陰陽俱虛)
곡령환(谷靈丸) /  부인수척(婦人瘦瘠)
궁귀보중단(芎歸補中湯) /  소관반산(素慣半産)태루(胎漏)
귤피전원(橘皮煎元) /  구리(久痢)비신구허(脾腎俱虛)
녹각교환(鹿角膠丸)[2] /  족위(足痿)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  허손(虛損)양허(陽虛)
녹용사근환(鹿茸四斤丸) /  신연(身軟)근골위약(筋骨痿弱)
대방풍탕(大防風湯) /  학슬풍(鶴膝風)
대아교원(大阿膠元) /  노수(勞嗽)토혈(吐血)타혈(唾血)
대조환(大造丸) /  기혈구허위(氣血俱虛痿)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  각기(脚氣)
두속환(杜續丸) /  태동불안(胎動不安)
두충(杜仲)[1] /  신허(腎虛)
두충(杜仲)[2] /  신허요통(腎虛腰痛)기요통(氣腰痛)
두충환(杜仲丸) /  신허요통(腎虛腰痛)
만금탕(萬金湯) /  사지불수(四肢不遂)중풍(中風)허증(虛症)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1] /  신허(腎虛)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2] /  칠상(七傷)오로(五勞)허로(虛勞)
보골지환(補骨脂丸) /  노롱(勞聾)
보수단(補髓丹)[1] /  신허요통(腎虛腰痛)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 /  허로(虛勞)
보신탕(補腎湯) /  신허요통(腎虛腰痛)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  방로상(房勞傷)허로(虛勞)
보천환(補天丸)[2] /  음허(陰虛)
삼비탕(三痺湯) /  풍비(風痺)기혈응체(氣血凝滯)
상단(上丹) /  음위(陰痿)
생부탕(生附湯)[2] /  상습(傷濕)한습(寒濕)
속사단(續嗣丹) /  무사(無嗣)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칠상(七傷)오로(五勞)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 /  양각위연(兩脚痿軟)
여신탕(如神湯) /  좌섬요통(挫閃腰痛)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수발조백(鬚髮早白)
오미자탕(五味子湯)[1] /  족위(足痿)청궐(淸厥)
온신산(溫腎散) /  요척통(腰脊痛)명문화쇠(命門火衰)
온신환(溫腎丸) /  무사(無嗣)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1] /  음위(陰痿)허손(虛損)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  허로(虛勞)
우슬모과탕(牛膝木瓜湯) /  소복통(小腹痛)이롱(耳聾)목적(目赤)흉협고만(胸脇苦滿)
이지환(二至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허(腎虛)
입안산(立安散) /  좌섬요통(挫閃腰痛)
자신백보환(滋腎百補丸) /  허로(虛勞)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자혈백보환(滋血百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자혈양근탕(滋血養筋湯) /  족위(足痿)
장본단(壯本丹) /  신허요통(腎虛腰痛)
제음환(濟陰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종사환(螽斯丸) /  무사(無嗣)
천금보태환(千金保胎丸) /  반산(半産)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천마환(天麻丸) /  중풍열증(中風熱證)
청아원(靑娥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출부탕(朮附湯)[1] /  상습요통(傷濕腰痛)
칠미창백산(七味蒼柏散) /  습열요통(濕熱腰痛)
침향백보환(沈香百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파극환(巴戟丸)[2] /  포비(胞痺)
평보원(平補元) /  유뇨(遺尿)
환소단(還少丹) /  음위(陰痿)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1] /  음낭습양(陰囊濕痒)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2] /  신장풍창(腎臟風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