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두나무

 익생양술에서 "호두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호도(胡桃)/호두 과육"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호도육(胡桃肉)/호두 과육"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호도인(胡桃仁)/호두 과육"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핵도인(核桃仁)/호두 과육"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중부 이남 채취기간 10월(열매 성숙기)
20m 정도 취급요령 말려 쓴다.
생지 마을 부근에 식재(산기슭, 밭둑, 시냇가) 성미 따뜻하며, 달다.
분류 낙엽 활엽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호두 알맹이 5∼15개
약효 씨 겉껍질을 벗긴 호두 알맹이 사용범위 오래 써도 무방하다.
어긋나며 5~7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홀수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7~20cm, 나비 5~10cm의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서 위쪽의 것일수록 크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잎자루는 길이 25cm 정도이고 털이 거의 없거나 샘털이 있다.
4∼5월에 암수한그루에서 단성화가 핀다. 수꽃은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15cm 정도의 미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길게 드리우는데 6~30개의 수술이 있다. 암꽃은 1∼3개가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가지 끝에 곧게 선다.
열매
9∼10월에 둥근 핵과가 달려 익는데 털이 없다. 씨인 핵은 거꿀달걀꼴이고 연한 갈색인데 껍질이 딱딱하고 패인 골과 주름이 있다. 씨껍질의 안은 4실이다. 씨 알맹이의 속껍질은 얇다.
특징 및 사용
호도나무ㆍ호도수(胡桃樹)ㆍ강도(羌挑)ㆍ당추자(唐楸子)ㆍ핵도(核桃)라고도 한다. 가지는 굵으며 성글게 나와 사방으로 퍼진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밋밋하지만 점차 세로로 깊게 갈라진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말에 유청신(柳淸臣)이 원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가져왔으며 천안시 광덕면의 광덕사(廣德寺)에 심은 것이 시초라고 전해진다. 지금도 천안의 호두가 제일 유명하다. 호두나무의 씨를 호두라 한다. 공업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목재는 단단하고 윤기가 있어 가구재 및 공예품 재료로 쓰인다. 호두는 식용하거나 약재로 사용한다. 호두는 40~50%의 지방유를 비롯하여 단백질ㆍ탄수화물과 소량의 무기질을 함유하는 영양가 높은 식품이다. 주로 생식하지만 신선로ㆍ과자ㆍ엿 등에 넣어 먹기도 한다. 약으로 쓸 때는 껍질을 벗긴 알맹이를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ㆍ피부과 질환을 다스리며, 건강 생활에 이용된다.
호도(胡桃) / 호두 과육
라틴명 Juglandis Semen
약재의 효능 보신(補腎)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고정(固精)  (정(精)을 밖으로 새지 않도록 하는 효능임)
온폐(溫肺)  (폐한증(肺寒證)을 치료하는 방법.)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정천(定喘)
윤장(潤腸)  (장(腸)을 적셔주는 효능임)
오수발(烏鬚髮)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열기부(悅肌膚)
강요슬(强腰膝)  (허리와 무릎을 강하게 하는 효능임)
보하초(補下焦)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고포(枯泡)  (피부에 수포(水疱)가 생겼을 때, 그 속의 진물을 말려 치료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대장(大腸) , 신(腎) , 폐(肺)
성미 감(甘) , 온(溫)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약재사용처방 금쇄단(金鎖丹) /  정기불고(精氣不固)
무운산(巫雲散) /  수발황락(鬚髮黃落)
보진고(補眞膏)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인삼호도탕(人蔘胡桃湯) /  해수(咳嗽)천급(喘急)
호도(胡桃)[1] /  천급(喘急)
호도(胡桃)[4] /  담천(痰喘)
호도육(胡桃肉) / 호두 과육
라틴명 Juglandis Semen
약재의 효능 보신(補腎)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고정(固精)  (정(精)을 밖으로 새지 않도록 하는 효능임)
온폐(溫肺)  (폐한증(肺寒證)을 치료하는 방법.)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정천(定喘)
윤장(潤腸)  (장(腸)을 적셔주는 효능임)
오수발(烏鬚髮)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열기부(悅肌膚)
강요슬(强腰膝)  (허리와 무릎을 강하게 하는 효능임)
보하초(補下焦)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고포(枯泡)  (피부에 수포(水疱)가 생겼을 때, 그 속의 진물을 말려 치료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대장(大腸) , 신(腎) , 폐(肺)
성미 감(甘) , 온(溫)
약재사용처방 가미청아원(加味靑娥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남칠전원(藍漆煎元) /  담수(痰嗽)
보수고(補髓膏) /  허로(虛勞)
보정고(補精膏) /  허로(虛勞)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1] /  음위(陰痿)허손(虛損)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  허로(虛勞)
윤폐고(潤肺膏)[2] /  담천(痰喘)
조장환(釣腸丸) /  치(痔)탈항(脫肛)
지천원(止喘元) /  냉천(冷喘)
청아원(靑娥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태극환(太極丸) /  신허(腎虛)
호도(胡桃)[2] /  허손(虛損)요통(腰痛)
호도(胡桃)[5] /  타박상(打撲傷)
호도인(胡桃仁) / 호두 과육
라틴명 Juglandis Semen
약재의 효능 보신(補腎)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고정(固精)  (정(精)을 밖으로 새지 않도록 하는 효능임)
온폐(溫肺)  (폐한증(肺寒證)을 치료하는 방법.)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정천(定喘)
윤장(潤腸)  (장(腸)을 적셔주는 효능임)
오수발(烏鬚髮)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열기부(悅肌膚)
강요슬(强腰膝)  (허리와 무릎을 강하게 하는 효능임)
보하초(補下焦)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고포(枯泡)  (피부에 수포(水疱)가 생겼을 때, 그 속의 진물을 말려 치료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대장(大腸) , 신(腎) , 폐(肺)
성미 감(甘) , 온(溫)
독성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감리고(坎離膏)[1] /  수혈(嗽血)토혈(吐血)
감리고(坎離膏)[2] /  음허화동(陰虛火動)
지혈산(止血散) /  장풍(腸風)
핵도인(核桃仁) / 호두 과육
라틴명 Juglandis Semen
약재의 효능 보신(補腎)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고정(固精)  (정(精)을 밖으로 새지 않도록 하는 효능임)
온폐(溫肺)  (폐한증(肺寒證)을 치료하는 방법.)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정천(定喘)
윤장(潤腸)  (장(腸)을 적셔주는 효능임)
오수발(烏鬚髮)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열기부(悅肌膚)
강요슬(强腰膝)  (허리와 무릎을 강하게 하는 효능임)
보하초(補下焦)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고포(枯泡)  (피부에 수포(水疱)가 생겼을 때, 그 속의 진물을 말려 치료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대장(大腸) , 신(腎) , 폐(肺)
성미 감(甘) , 온(溫)
약전기재 중국약전
주의사항 많이 먹으면 안됨.
약재사용처방 차비거홍방(搽鼻去紅方) /  비사(鼻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