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근백피(桑根白皮) / 뽕나무

 익생양술에서 "뽕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상근백피(桑根白皮) / 뽕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수시(뿌리껍질), 6~7월(기타)
재배종 2~4m, 야생종 10m 이상 취급요령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마을 부근 식재 성미 차며 달다.
분류 낙엽 활엽 교목 또는 관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열매ㆍ잎ㆍ가지ㆍ꽃ㆍ뿌리껍질 각각 2~6g
약효 열매ㆍ잎ㆍ가지ㆍ꽃ㆍ뿌리껍질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가시뽕ㆍ꼬리뽕ㆍ들뽕ㆍ몽고뽕ㆍ산뽕ㆍ왕뽕
어긋나며 길이 10cm 정도인 달걀 모양의 원형 또는 긴 타원 모양의 달걀꼴로서 3~5개로 갈라지는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표면은 거칠거나 평활하며 3~5쌍의 맥이 있고 잎자루와 더불어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잎을 자르면 유즙이 나온다.
6월에 암수딴그루 또는 암수한그루로 잎겨드랑이에 황록색의 꽃이삭이 달린다. 수꽃이삭은 새 가지 밑 부분의 잎겨드랑이에 꼬리처럼 생긴 미상 꽃차례로 달려 밑으로 처진다. 암꽃이삭은 길이 5~10mm이며 암술대가 거의 없고 암술머리는 2개이다. 씨방에는 털이 없다.
열매
6월에 액질의 핵과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달려 검은 자주색으로 익는다. 이 열매를 ‘오디’라고 한다.
특징 및 사용
상(桑)ㆍ상목(桑木)ㆍ오디나무라고도 한다. 야생하는 것은 산뽕이라 하여 높이가 10m 이상 되는 것도 있으나, 재배종은 매년 가지를 치므로 관목 모양이 된다. 다양한 품종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종은 이 난에서 설명하는 백뽕나무(白桑 : M.alba)이다. 작은 가지는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며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양잠ㆍ공업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열매는 단맛이 있어 먹을 수 있다. 잎은 누에의 사료, 나무껍질은 황색 염료, 그리고 목재는 뒤틀림이 적으므로 장롱ㆍ경대ㆍ악기 등의 가구재ㆍ세공재로 쓰인다. 잎을 상엽(桑葉), 뿌리껍질을 상백피라 하며 약재로 쓴다. 특히 동쪽으로 뻗은 뿌리의 껍질이 약효가 좋다. 흙 밖으로 나온 뿌리는 쓰지 않는다. 땅 속에 있는 뿌리를 채취하여 바깥쪽 껍질을 긁어 낸 뒤에 속의 흰 껍질을 벗긴 백피만을 쓴다. 뽕나무겨우살이는 상상기생(桑上寄生)이라 하며 귀중한 약재로 취급된다. 열매는 생식하거나 술을 담근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ㆍ복령ㆍ지네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ㆍ순환계ㆍ신경계ㆍ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
상근백피(桑根白皮) / 뽕나무 뿌리 껍질
라틴명 Mori Cortex
약재의 효능 조중(調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해갈(解渴)  (갈증(渴症)을 풀어주는 효능임)
화식(化食)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산어혈(散瘀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사폐평천(瀉肺平喘)  (폐기(肺氣)를 배출시키면서 기침을 멈추는 효능임)
행수소종(行水消腫)  (수기(水氣)를 소통시켜 부스럼이나 종창(腫瘡)을 삭히는 효능임)
작용부위 폐(肺)
성미 감(甘) , 한(寒)
주의사항 동행자(東行者)가 좋음. 폐허무화(肺虛無火), 풍한해수자(風寒咳嗽者)는 쓰지 말 것.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치주피추창일방(治走皮皺瘡一方)[1] /  주피추창(走皮趨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