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4~5월(개화기) |
키 | 5m 정도 | 취급요령 | 그늘에 말려 쓴다. |
생지 | 정원에 식재 | 성미 | 차며, 약간 맵다. |
분류 | 낙엽 활엽 관목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꺾꽂이ㆍ실생ㆍ접목 | 1회사용량 | 4~6g |
약효 | 꽃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수수꽃다리ㆍ정향나무 |
잎
마주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길이 5~9cm인 삼각 모양의 넓은 달걀꼴 또는 달걀꼴로서 끝이 급히 뾰족해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양면에 털이 없고 광택이 나는 청록색이며 약간 두꺼운 막질이다. 가을에도 잎의 빛깔이 변하지 않는다.
꽃
4~5월에 매우 향기로운 꽃이 피는데 묵은 가지의 끝 부분에 2개의 꽃눈이 생겨 총상 모양의 원추 꽃차례를 이루고 많이 달린다. 꽃은 작은 대롱 모양인데 꽃부리는 위쪽이 4개로 갈라져 편평하게 벌어지며 밑 부분은 길이 약 1cm의 가늘고 긴 통이 된다. 수술대는 짧고 수술은 2개, 암술은 1개이다. 꽃의 빛깔은 자주색이 보통이나 백색ㆍ적색ㆍ적자색ㆍ청색 등 많은 품종이 있으며, 8겹으로 피는 것도 있다.
열매
10월에 긴 타원형의 삭과가 달려 갈색으로 익는데 길이는 1.5cm 정도이고 끝이 날카롭다. 익으면 둘로 갈라진다.
특징 및 사용
서양수수꽃다리ㆍ자정향(紫丁香)이라고도 한다.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의 옆쪽에서 여러 갈래로 가지가 갈라지는데 밑에서 새싹과 가지가 돋아 포기로 되며 어린가지는 회갈색이다. 우리나라에서 많이 심는 종류는 흰 꽃을 피우는 라일락이 대부분이며 흰서양수수꽃다리 또는 흰라일락이라고 한다. 관상용ㆍ밀원ㆍ약용으로 이용된다. 향기가 매우 좋아 관상용으로 많이 가꾼다. 꽃은 향료로 쓰인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위장 질환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