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Moutan Radicis Cortex |
약재의 효능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소어(消瘀)
(어혈(瘀血)을 삭여 없애는 방법을 말하는 것임)
|
|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
|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
|
이수도(利水道)
(요도를 통하게 하는 효능임)
|
|
이관주(利關腠)
(관절(關節)과 주리(腠理)를 이롭게 하는 효능임)
|
|
속근골(續筋骨)
(뼈나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
|
배농지통(排膿止痛)
(고름을 없애고 통증을 멈추는 효능임)
|
|
윤조(潤燥)
(자윤(滋潤)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조증(燥證)을 치료하는 방법.)
|
|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
산혈(散瘀)
|
|
해중고독(解中蠱毒)
|
|
복비석(伏砒石)
(비석(砒石)의 독을 억제하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익수(益壽)
|
작용부위 |
간(肝)
, 신(腎)
, 심(心)
|
성미 |
미한(微寒)
, 신고(辛苦)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
독성 |
This herb has relatively low toxicity. The LD50 in mice is 3.43 g/kg (by stomach), 0.78 mg/kg (I.p.), and 0.196 mg/kg (I.v.).1).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감신기환(加減腎氣丸) /
신소(腎消)
|
|
가감팔미원(加減八味元)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
|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
신수부족(腎水不足)
|
|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1] /
타혈(唾血)
, 수혈(嗽血)
|
|
가미신기환(加味腎氣丸) /
신허부종(腎虛浮腫)
, 수종(水腫)
|
|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
심허(心虛)
, 경계(驚悸)
, 정충(怔忡)
|
|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 /
산후발열(産後發熱)
|
|
기침산(起枕散) /
아침통(兒枕痛)
|
|
당귀활혈탕(當歸活血湯) /
혈울(血鬱)
, 기체(氣滯)
|
|
대황목단탕(大黃牧丹湯) /
장옹(腸癰)
|
|
돈위환(豚胃丸) /
치루(痔瘻)
, 창루(瘡瘻)
|
|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안화(眼花)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
|
|
목단산(牧丹散) /
장옹(腸癰)
|
|
목단피(牧丹皮) /
월경불통(月經不通)
|
|
목단피탕(牡丹皮湯)[1]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
|
목단피탕(牡丹皮湯)[2] /
폐옹(肺癰)
|
|
보신원(補腎元) /
원예(圓翳)
|
|
보안환(保安丸) /
임신제병(妊娠諸病)
|
|
보포음(補胞飮) /
산후유뇨(産後遺尿)
|
|
사위탕(瀉胃湯)[2] /
위열치통(胃熱齒痛)
|
|
산치지황탕(山梔地黃湯) /
담수(痰嗽)
, 타혈(唾血)
|
|
삼기보폐탕(蔘芪補肺湯) /
폐옹(肺癰)
|
|
삼인탕(三仁湯) /
장옹(腸癰)
|
|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신허(腎虛)
|
|
삼황보혈탕(三黃補血湯)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서금산(瑞金散) /
월경불통(月經不通)
|
|
선천귀일탕(先天歸一湯) /
무사(無嗣)
|
|
승금단(勝金丹)[3] /
무사(無嗣)
|
|
승양보위탕(升陽補胃湯) /
장벽(腸澼)
|
|
승양제습화혈탕(升陽除濕和血湯) /
장벽(腸澼)
|
|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신기환(腎氣丸) /
신허(腎虛)
|
|
십회산(十灰散)[1]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객혈(喀血)
, 수혈(嗽血)
|
|
십회산(十灰散)[2] /
허로(虛勞)
|
|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억청명목탕(抑靑明目湯) /
임신안병(妊娠眼病)
|
|
옥약계영환(玉鑰啓榮丸) /
무사(無嗣)
|
|
온경탕(溫經湯)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우황고(牛黃膏) /
산후발열(産後發熱)
|
|
유향정통산(乳香定痛散) /
상손동통(傷損疼痛)
|
|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
신허(腎虛)
|
|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
신음허(腎陰虛)
|
|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
|
익음신기환(益陰腎氣丸) /
신허내장(腎虛內障)
|
|
익지화중탕(益智和中湯) /
장벽(腸澼)
, 하혈(下血)
|
|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2] /
혈풍(血風)
|
|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 /
이롱(耳聾)
|
|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
허로(虛勞)
, 토혈(吐血)
, 육혈(衄血)
, 해혈(咳血)
|
|
자음청위환(滋陰淸胃丸) /
위열치통(胃熱齒痛)
|
|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
|
조경산(調經散)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
무자(無子)
|
|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
무사(無嗣)
|
|
증익귀용원(增益歸茸元) /
신허(腎虛)
|
|
천금조경탕(千金調經湯) /
월경부조(月經不調)
|
|
청간탕(淸肝湯) /
간허노화(肝虛怒火)
|
|
청간해울탕(淸肝解鬱湯) /
유방결핵(乳房結核)
|
|
청리자감탕(淸離滋坎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
|
청열자음탕(淸熱滋陰湯) /
변혈(便血)
, 요혈(尿血)
|
|
청열조혈탕(淸熱調血湯) /
월경통(月經痛)
|
|
청열해독탕(淸熱解毒湯) /
토혈(吐血)
, 육혈(衄血)
|
|
청위산(淸胃散) /
위열치통(胃熱齒痛)
|
|
청위탕(淸胃湯) /
아상종통(牙床腫痛)
, 치근동요(齒根動搖)
|
|
청해탕(淸咳湯) /
해혈(咳血)
|
|
청화자음탕(淸火滋陰湯) /
타혈(唾血)
, 객혈(喀血)
, 토혈(吐血)
|
|
치자청간탕(梔子淸肝湯) /
결핵(結核)
|
|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 /
징가(癥瘕)
, 월경부조(月經不調)
, 골증(骨蒸)
|
|
탈명단(奪命丹)[4] /
포의불하(胞衣不下)
|
|
탈명환(奪命丸) /
사태불하(死胎不下)
|
|
팔독적산(八毒赤散) /
귀주(鬼疰)
|
|
팔미환(八味丸) /
명문화쇠(命門火衰)
|
|
황기익손탕(黃耆益損湯) /
허로(虛勞)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