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매화

 익생양술에서만 "황매화"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중부 이남 채취기간 5∼6월(꽃), 8∼9월(가지ㆍ잎)
2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습윤한 곳, 절이나 마을 부근에 식재 성미 평온하며, 약간 쓰다.
분류 낙엽 활엽 관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꺾꽂이ㆍ씨 1회사용량 6∼10g
약효 가지ㆍ잎ㆍ꽃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며 길이 3~7cm, 나비 2~3.5cm의 타원형이거나 긴 타원형 또는 긴 달걀꼴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앞면에는 털이 없고 잎맥이 오목하게 들어가며 뒷면은 맥이 돌출하고 맥 위에 털이 있다. 잎자루의 길이는 5~15mm이다. 턱잎은 좁고 긴 선형이며 일찍 떨어진다.
4∼5월에 지름 3~4cm의 노란 꽃이 가지 끝에 한 송이씩 달려 핀다. 작은 꽃자루의 길이는 2cm에 달한다. 꽃잎과 꽃받침 조각은 각각 5개씩이다. 수술은 많으며 암술은 5개이다.
열매
8~9월에 둥근 달걀꼴의 수과가 달려 검은 갈색으로 익는다.
특징 및 사용
죽도화ㆍ죽도화나무ㆍ출장화(黜牆花)ㆍ황매(黃梅)라고도 한다. 뿌리에서 모여나와 무더기로 자라며 줄기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없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오래 되면 회흑색으로 변한다.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야생은 보기 어렵고 흔히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유사종으로 꽃잎이 많은 것을 겹황매화 또는 죽단화라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와 방광 질환에 효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