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록(銅綠) / 공작석

동의보감에서 "동록(銅綠) / 공작석"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록(銅綠) / 공작석
라틴명 |
Aegugo |
약재의 효능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퇴예(退翳)
(예막(翳膜)을 치료하는 효능임.)
|
|
염창(斂瘡)
(창(瘡)을 아물고 수렴시키는 효능을 가리키는 용어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생발(生髮)
(머리털이 나게 하는 효능임)
|
|
제식육(除息肉)
|
|
거부적(去膚赤)
|
|
토풍담(吐風痰)
(풍담을 토해내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담(膽)
|
성미 |
미독(微毒)
, 산(酸)
, 평(平)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약재사용처방 |
구풍산(驅風散) /
난현풍(爛弦風)
, 부예내장(浮翳內障)
, 노육반정(努肉攀睛)
|
|
동록산(銅綠散) /
음식창(陰蝕瘡)
, 순긴(脣緊)
|
|
동청산(銅靑散) /
주마아감(走馬牙疳)
|
|
명경고(明鏡膏) /
목삽혼화(目澁昏花)
|
|
반혼단(返魂丹) /
정창(釘瘡)
|
|
벽하정자(碧霞錠子) /
정창(釘瘡)
, 악창(惡瘡)
|
|
신효탈명단(神效奪命丹) /
정창(釘瘡)
, 악창(惡瘡)
|
|
연연진인탈명단(淵然眞人奪命丹) /
발배(發背)
, 정창(釘瘡)
, 음저(陰疽)
|
|
웅황산(雄黃散)[4] /
두창풍(痘瘡風)
|
|
유향산(乳香散)[1] /
구창(口瘡)
|
|
청금정자(靑金錠子) /
악창(惡瘡)
, 감루(疳瘻)
|
|
취옥고(翠玉膏) /
염창(臁瘡)
|
|
취하산(翠霞散) /
악창(惡瘡)
, 누창(瘻瘡)
|
|
취하정자(翠霞錠子) /
누창(瘻瘡)
|
|
탕포산(湯泡散)[2] /
화예백함(花瞖白陷)
, 안적종통(眼赤腫痛)
|
|
활혼단(活魂丹) /
천포창(天疱瘡)
, 양매창(楊梅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