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대황

 익생양술에서만 "개대황"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10월(3~5년 된 뿌리)
1m 정도 취급요령 햇볕이나 불에 말려 쓴다.
생지 고산지, 산과 들의 습지 성미 차며,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ㆍ씨 1회사용량 4~6g
약효 뿌리ㆍ줄기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손바닥대황ㆍ장군풀ㆍ대황ㆍ남대황의 뿌리ㆍ줄기
뿌리잎은 모여나며 잎자루가 길고 삼각형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의 댓잎피침형이며 잎밑이 심장형인데 위로 올라갈수록 작고 끝이 날카로워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혹은 주름 같은 얕은 톱니가 있다. 잎자루가 없거나 짧고 밑부분이 줄기를 반쯤 감싼다.
5~7월에 엷은 홍록색 또는 황백색 꽃이 줄기와 가지 끝에 복총상 꽃차례로 돌려 피는데 다수의 잔꽃이 달리며 꽃자루는 작고 짧다. 꽃잎은 없고 암술대는 3개이다. 양성화이다.
열매
6~7월에 세모난 수과가 달려 익는데 윤기가 있고 흑갈색이다. 열매는 안쪽에 있는 3개의 꽃덮이 조각으로 싸여 있다.
특징 및 사용
들대황이라고도 한다. 줄기가 장대하고 곧게 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는 굵고 적갈색ㆍ노란색ㆍ황갈색이며 솜 같은 무늬가 있는 것이 우량품이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 및 비뇨기 질환을 다스리며, 간경(肝經)에 효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