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Aquilariae Lignum |
약재의 효능 |
온중지구(溫中止嘔)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고 구토(嘔吐)를 가라앉히는 효능임)
|
|
조기(調氣)
|
|
행기지통(行氣止痛)
(기(氣)를 소통시켜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임)
|
|
난신납기(暖腎納氣)
(신(腎)을 보하여 폐기(肺氣)를 흡수하는 기능을 강하게 하는 효능임)
|
|
서근활락(舒筋活絡)
(근육을 이완시키고 경락(經絡)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타담연(墮痰涎)
|
|
하기조양(下氣助陽)
|
작용부위 |
비(脾)
, 신(腎)
, 위(胃)
|
성미 |
미온(微溫)
, 신고(辛苦)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수지가 침착된 수간목. 물에 갈아서 먹음. |
약재사용처방 |
가감신기환(加減腎氣丸) /
신소(腎消)
|
|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탄탄(癱瘓)
|
|
가미사군자탕(加味四君子湯)[2] /
기천(氣喘)
|
|
가미자주환(加味磁朱丸) /
안목혼암(眼目昏暗)
|
|
가미청아원(加味靑娥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
|
곤담환(滾痰丸) /
습담(濕痰)
, 열담(熱痰)
|
|
구미이중탕(九味理中湯) /
한천(寒喘)
|
|
구미평위환(狗米平胃丸) /
반위(反胃)
, 반위(反胃)
|
|
궁황산(芎黃散) /
치불생(齒不生)
|
|
균기산(均氣散) /
기허불수(氣虛不遂)
, 중풍(中風)
|
|
균기환(均氣丸) /
애기(噯氣)
|
|
금주녹운유(金珠綠雲油) /
수발황락(鬚髮黃落)
|
|
기축이진탕(枳縮二陳湯) /
관격(關格)
|
|
냉보환(冷補丸) /
이롱(耳聾)
, 신허요통(腎虛腰痛)
|
|
당관음자(撞關飮子) /
창만(脹滿)
|
|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
열격(噎膈)
|
|
만응환(萬應丸)[1] /
제충(諸蟲)
|
|
목향균기산(木香均氣散) /
기울(氣鬱)
|
|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종창(腫脹)
, 기통(氣痛)
|
|
목향화중환(木香和中丸) /
담적(痰積)
|
|
벽사고(辟邪膏) /
중악(中惡)
|
|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 /
허로(虛勞)
|
|
보신환(補腎丸)[2] /
내장(內障)
, 안목혼암(眼目昏暗)
|
|
보안환(保安丸) /
임신제병(妊娠諸病)
|
|
보진고(補眞膏)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보진환(補眞丸) /
불사식(不思食)
, 명문화쇠(命門火衰)
|
|
복령음자(茯苓飮子) /
정충(怔忡)
|
|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
|
사마탕(四磨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사마탕(四磨湯)[2] /
기천(氣喘)
|
|
사자조중탕(四子調中湯) /
반위(反胃)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담연옹성(痰涎壅盛)
|
|
사향산(四香散) /
고창(蠱脹)
|
|
사화청폐탕(瀉火淸肺湯) /
화천(火喘)
|
|
삼완산(三脘散) /
각기충심(脚氣衝心)
|
|
삼향산(三香散) /
위랭(胃冷)
|
|
삼향산(參香散) /
노채(勞瘵)
, 허로이수(虛勞羸瘦)
|
|
삼화산(三和散) /
기울(氣鬱)
|
|
삼화탕(三和湯)[2]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생진보혈탕(生津補血湯) /
소아열격(小兒熱膈)
|
|
서각탕(犀角湯) /
결양(結陽)
|
|
소감원(蘇感元) /
구리(久痢)
, 적리(積痢)
|
|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5] /
초생곡도무공(初生穀道無孔)
|
|
소오침탕(小烏沈湯) /
기통(氣痛)
, 심복자통(心腹刺痛)
|
|
소청원(蘇靑元) /
풍담(風痰)
|
|
소합향원(蘇合香元)[1] /
중기(中氣)
, 기통(氣痛)
, 기역(氣逆)
|
|
소합향원(蘇合香元)[2] /
귀매(鬼魅)
, 시주(尸注)
|
|
소화환(消化丸) /
폐위(肺痿)
, 허로(虛勞)
|
|
수풍윤장환(搜風潤腸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1] /
담음(痰飮)
|
|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2] /
중풍불어(中風不語)
|
|
승금단(勝金丹)[3] /
무사(無嗣)
|
|
신선침사원(神仙沈麝元) /
기통(氣痛)
|
|
신효개결산(神效開結散) /
영류(瘿瘤)
|
|
십향고(十香膏) /
동창(凍瘡)
|
|
양기석원(陽起石元) /
정랭무자(精冷無子)
|
|
양유방(釀乳方)[1] /
만경풍(慢驚風)
|
|
영보단(靈寶丹)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오침탕(烏沈湯) /
기통(氣痛)
|
|
오향백출산(五香白朮散) /
폐옹(肺癰)
|
|
오향산(五香散) /
오발옹저(五發癰疽)
|
|
오향연교탕(五香連翹湯) /
옹저(癰疽)
|
|
오향탕(五香湯) /
옹저(癰疽)
|
|
오호이진탕(五虎二陳湯) /
효천(哮喘)
|
|
온제두두방(溫臍兜肚方) /
백탁(白濁)
, 유정(遺精)
, 적백대하(赤白帶下)
|
|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1] /
허손(虛損)
, 음위(陰痿)
|
|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
허로(虛勞)
|
|
육마탕(六磨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육마탕(六磨湯)[2] /
기천(氣喘)
|
|
익신산(益腎散) /
신허이롱(腎虛耳聾)
|
|
일립금단(一粒金丹)[1] /
기통(氣痛)
|
|
자설(紫雪) /
적열(積熱)
|
|
자신백보환(滋腎百補丸) /
허로(虛勞)
|
|
자침환(紫沈丸) /
열격(噎膈)
|
|
자혈백보환(滋血百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정생단(定生丹) /
반위(反胃)
|
|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
열격(噎膈)
|
|
조중순기환(調中順氣丸) /
담음협통(痰飮脇痛)
|
|
종침환(蓯沈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주작환(朱雀丸) /
정충(怔忡)
, 황홀(恍惚)
, 건망(健忘)
|
|
죽력달담환(竹瀝達痰丸) /
담괴(痰塊)
|
|
진주모환(眞珠母丸) /
허번불수(虛煩不睡)
|
|
집향탕(集香湯) /
허종(虛腫)
|
|
청담순기탕(淸痰順氣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청심곤담환(淸心滾痰丸) /
전간(癲癎)
, 경광(驚狂)
|
|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
울담(鬱痰)
|
|
축보환(丑寶丸) /
전간(癲癎)
, 정충(怔忡)
|
|
취향음자(聚香飮子) /
기산(氣疝)
|
|
치양매창훈비방(治楊梅瘡熏鼻方)[1] /
천포창(天疱瘡)
, 양매창(楊梅瘡)
|
|
칠향원(七香元) /
식체(食滯)
|
|
침향(沈香)[1] /
상기(上氣)
, 기체(氣滯)
|
|
침향강기탕(沈香降氣湯) /
상기(上氣)
|
|
침향교태환(沈香交泰丸) /
진창(䐜脹)
|
|
침향마비산(沈香磨脾散) /
한복통(寒腹痛)
|
|
침향반하탕(沈香半夏湯) /
중풍(中風)
|
|
침향백보환(沈香百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침향별갑산(沈香鱉甲散) /
허손(虛損)
, 노상(勞傷)
|
|
침향산(沈香散) /
기림(氣淋)
|
|
침향온위환(沈香溫胃丸) /
비위허한(脾胃虛寒)
, 곽란(霍亂)
|
|
침향음(沈香飮)[1] /
기림(氣淋)
|
|
침향음(沈香飮)[2] /
복창(腹脹)
|
|
침향천마탕(沈香天麻湯) /
경간(驚癎)
|
|
침향호박환(沈香琥珀丸) /
수종(水腫)
|
|
탁리온중탕(托裏溫中湯) /
옹저설사(癰疽泄瀉)
|
|
태상혼원단(太上混元丹) /
음허노손(陰虛勞損)
|
|
팔보회춘탕(八寶回春湯) /
허증(虛症)
, 중풍(中風)
|
|
화기탕(化氣湯) /
식분(息賁)
|
|
환골환(換骨丸) /
나풍(癩風)
|
|
황기십보탕(黃芪十補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
|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
|
흑신산(黑神散)[3] /
산후발열(産後發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