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중부 이남 | 채취기간 | 가을(개화기) |
키 | 15~30cm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산이나 들의 양지 | 성미 | 차며, 쓰다. |
분류 |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1~2g |
약효 | 온포기 | 사용범위 | null |
동속약초 | 네귀쓴풀ㆍ큰잎쓴풀ㆍ개쓴풀ㆍ자주쓴풀의 온포기 |
잎
실 모양으로 마주나는데 길이 1.5~5cm, 나비 1.3mm 정도의 가늘고 긴 선형 또는 댓잎피침형이며 끝이 날카롭거나 약간 둔하고 밑은 좁다.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약간 뒤로 말린다. 잎자루는 없다.
꽃
9~10월에 길이 1cm쯤 되는 백색 또는 연한 자주색의 오판화가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 끝에 원추 꽃차례를 이루어 3~5송이씩 꼭대기에서부터 달려 피는데 아래에서 위까지 모든 가지에 꽃이 피고 상단부에는 3~5개의 꽃이 뭉쳐서 핀다. 꽃자루는 없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길이 5~11mm의 선형 또는 선 모양의 댓잎피침형이다. 꽃부리는 5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길이 11~15mm의 넓은 댓잎피침형이며 꽃잎마다 자주색 줄이 여러 개 나 있다.
열매
10~11월에 삭과가 달려 익는데 넓은 댓잎피침형이며 꽃부리보다 약간 길다.
특징 및 사용
참쓴풀ㆍ어담초ㆍ장아채ㆍ수황연ㆍ당약이라고도 한다. 전체에 털이 없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다소 네모지고 자줏빛이 돈다. 쓴풀은 잎의 모양이 선형 또는 피침형인데 비해 개쓴풀의 잎은 거꾸로 된 댓잎피침형이어서 구별된다. 온포기를 당약이라 한다. 뿌리는 노란색이고 매우 쓰므로 쓴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잎이 달린 줄기를 건위제와 지사제로 사용한다. 주요 성분인 쓴맛 배당체가 건위 작용을 나타낸다. 용담보다 10배쯤 더 쓰지만 보관 과정에서 쓴맛이 약해진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 계통과 피부과 질환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