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회(石灰) / 석회

동의보감에서 "석회(石灰) / 석회"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석회(石灰) / 석회
라틴명 |
Calcaria |
약재의 효능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수렴(收斂)
(넓게 펼쳐진 기운을 안으로 모으는 것을 말하는 것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장육(長肉)
(육(肉)을 기르는 효능임)
|
|
산혈(散血)
(혈(血)을 흩뜨리는 효능임)
|
|
정통(定痛)
(통증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흑수발(黑鬚髮)
(머리카락과 체모(體毛)를 검게 하는 효능임)
|
|
난수장(暖水臟)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성미 |
신(辛)
, 온(溫)
, 유독(有毒)
|
약재사용처방 |
거흑염자방(去黑쵡子方) /
흑지(黑痣)
|
|
금보고(金寶膏)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
금상산(金傷散) /
금창(金瘡)
|
|
노회고(爐灰膏)[1] /
흑지(黑痣)
|
|
노회고(爐灰膏)[2] /
악창(惡瘡)
|
|
노회고(爐灰膏)[3] /
악창(惡瘡)
, 옹저(癰疽)
|
|
석회(石灰)[1] /
분자(粉刺)
, 식육(息肉)
|
|
석회(石灰)[2] /
역양풍(癧瘍風)
, 은진(癮疹)
|
|
석회(石灰)[3] /
구안와사(口眼喎斜)
, 중풍(中風)
|
|
석회(石灰)[4] /
악창(惡瘡)
|
|
석회(石灰)[5] /
도전상(刀剪傷)
, 금창(金瘡)
|
|
진왕단(陣王丹) /
절상(折傷)
|
|
천포환(天疱丸)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첩비고(貼痞膏) /
비괴(痞塊)
|
|
체침환(替鍼丸)[1] /
옹저(癰疽)
|
|
취지병약(取痣餠藥) /
흑지(黑痣)
|
|
치약고자(痔藥膏子) /
번화치(飜花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