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향

 익생양술에서 "목향"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목향(木香)/운목향"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겨울
0.8~2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맵고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ㆍ씨 1회사용량 3~6g
약효 뿌리ㆍ온포기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운목향ㆍ천목향의 뿌리
어긋나며 길이 50cm 정도의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뒷면에 털이 촘촘히 나 있다.
7~8월에 황색으로 피는데 지름 5~10cm의 두상화가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꽃차례받침은 길이 24mm 정도 되는 반구형이다. 바깥쪽의 꽃턱잎 조각은 달걀꼴이고 잎에 돋은 것과 같은 털이 촘촘히 난다.
열매
9~10월에 수과가 달려 익는데 연한 적갈색의 갓털이 있다.
특징 및 사용
청목향(靑木香)이라고도 하고 향기가 좋아 밀향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짧은 털이 촘촘히 나 있다. 뿌리를 목향(木香)이라 한다. 뿌리를 자른 단면은 황갈색 또는 황백색이다. 관상용ㆍ약용ㆍ식용으로 이용된다. 연한 목향 잎을 감초물에 삶아서 무친 나물을 목향채(木香菜)라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목향(木香) / 운목향
라틴명 Saussureae Radix
약재의 효능 소간(疏肝)  (화법(和法)의 하나로 간기울결(肝氣鬱結)을 소산(疏散)시키는 방법임.)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화위(和胃)  (위기(胃氣)를 조화시킬 때 쓰는 방법을 말함)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안태(安胎)  (태기(胎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실대장(實大腸)  (대장(大腸)의 기능을 증강시키는 효능임)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 폐(肺)
성미 신고(辛苦) , 온(溫)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주의사항 폐허유열(肺虛有熱), 혈고(血枯), 음화충상(陰火衝上) 등의 증상이 있으면 복용하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가감도담탕(加減導痰湯) /  중풍불어(中風不語)
가감목향산(加減木香散) /  손설(飱泄)
가감백출산(加減白朮散)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가감용회환(加減龍薈丸) /  담화이명(痰火耳鳴)
가감익기탕(加減益氣湯) /  구리(久痢)
가감평위산(加減平胃散) /  혈리(血痢)적백리(赤白痢)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 /  월경불통(月經不通)간비노울(肝脾怒鬱)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위심통(胃心痛)식적(食積)
가미납반환(加味蠟礬丸) /  감루(疳瘻)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탄탄(癱瘓)
가미불환금정기산(加味不換金正氣散) /  옹저(癰疽)
가미사군자탕(加味四君子湯)[2] /  기천(氣喘)
가미사성산(加味四聖散) /  두출불쾌(痘出不快)
가미양장탕(加味養臟湯) /  휴식리(休息痢)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2] /  한산(寒疝)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 /  식궐(食厥)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3] /  담궐(痰厥)
가미익모환(加味益母丸) /  무자(無子)
가미전씨백출산(加味錢氏白朮散) /  소갈(消渴)불능식(不能食)
가미제습탕(加味除濕湯) /  습리(濕痢)
가미조중익기탕(加味調中益氣湯) /  기궐두통(氣厥頭痛)기허두통(氣虛頭痛)
가미출부탕(加味朮附湯)[2] /  활설(滑泄)만경풍(慢驚風)
가미향련환(加味香連丸)[1] /  허리(虛痢)구리(久痢)
가미향련환(加味香連丸)[2] /  이질(痢疾)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  기치(氣痔)
가자산(訶子散)[2] /  구설(久泄)
가출산(訶朮散) /  자리(子痢)임신설사(妊娠泄瀉)
갈부산(蝎附散) /  만비풍(慢脾風)
갈화해정탕(葛花解컲湯) /  주상(酒傷)
갈환자(褐丸子) /  감창(疳脹)
감습산(疳濕散) /  음식창(陰蝕瘡)
감응원(感應元) /  적백리(赤白痢)적리(積痢)구리(久痢)
감적병(疳積餠) /  오장감(五臟疳)
강활방기탕(羌活防己湯) /  부골저(附骨疽)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2] /  위랭(胃冷)
개결기실환(開結枳實丸) /  담음(痰飮)기체(氣滯)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1] /  담괴(痰塊)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2] /  결핵(結核)
거담환(祛痰丸) /  담천(痰喘)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  식상(食傷)
견통원(蠲痛元) /  퇴산(㿉疝)
경기원(驚氣元) /  전간(癲癎)
계령감로산(桂苓甘露散) /  복서(伏暑)
계시례음(鷄矢醴飮) /  수창(水脹)고창(蠱脹)기창(氣脹)
계향산(桂香散)[1] /  이롱(耳聾)
고장탕(固腸湯) /  적백리(赤白痢)
고장환(固腸丸)[1] /  설사(泄瀉)
고진탕(固眞湯) /  두창설사(痘瘡泄瀉)
과루기각탕(瓜蔞枳殼湯) /  담울(痰鬱)
과루기실탕(瓜蔞枳實湯)[1] /  울담(鬱痰)
관음산(觀音散) /  만경풍(慢驚風)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불사식(不思食)
광출화벽환(廣朮化癖丸) /  식징(食癥)유벽(乳癖)
구미이중탕(九味理中湯) /  한천(寒喘)
구선탈명단(九仙奪命丹) /  반위(反胃)열식(噎食)
궁궁산(芎藭散)[2] /  비색(鼻塞)
궁귀보중단(芎歸補中湯) /  소관반산(素慣半産)태루(胎漏)
궁귀탁리산(芎歸托裏散) /  옹저(癰疽)
궤견탕(潰堅湯) /  오적(五積)비괴(痞塊)육취(六聚)
궤견환(潰堅丸) /  비괴(痞塊)육취(六聚)오적(五積)
귀비탕(歸脾湯) /  정충(怔忡)건망(健忘)
귤핵환(橘核丸) /  퇴산(㿉疝)난종(卵腫)
극통산(튽痛散) /  냉심통(冷心痛)
금령산(金鈴散) /  방광기(膀胱氣)퇴산(㿉疝)
기각환(枳殼丸)[1] /  삼초약(三焦約)
기실대황탕(枳實大黃湯)[2] /  식상(食傷)
기축이진탕(枳縮二陳湯) /  관격(關格)
기침원(氣鍼元) /  기창(氣脹)
내소산(來甦散) /  난산(難産)인사불성(人事不省)
내소옥설탕(內消沃雪湯) /  내저(內疽)위완옹(胃脘癰)두옹(肚癰)
내소황련탕(內疏黃連湯) /  옹저(癰疽)
당귀용회환(當歸龍薈丸) /  협통(脇痛)간실열(肝實熱)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2] /  자리(子痢)
당귀주(當歸酒) /  창양음증(瘡瘍陰證)
대경원(大驚元) /  소아야제(小兒夜啼)급경풍(急驚風)
대고양탕(大固陽湯) /  탈양(脫陽)
대구도제고(代灸塗臍膏)[1] /  제복냉통(臍腹冷痛)
대구도제고(代灸塗臍膏)[2] /  고냉(痼冷)제복통(臍腹痛)
대귤피탕(大橘皮湯)[2] /  수종(水腫)심복창만(心腹脹滿)
대마인환(大麻仁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대성준천산(大聖濬川散) /  수습(水濕)
대성풍탕(大省風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도계기보환(桃溪氣寶丸) /  적취(積聚)식적(食積)대변비결(大便秘結)징가(癥瘕)
도기탕(導氣湯) /  농혈리(膿血痢)이급후중(裏急後重)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  식적(食積)
도체탕(導滯湯) /  농혈리(膿血痢)
도체통경탕(導滯通經湯) /  수종(水腫)
두구귤홍산(豆蔲橘紅散) /  식상(食傷)
마린화환(馬藺花丸) /  퇴산(㿉疝)음란편추(陰卵偏墜)
마적원(磨積元)[1] /  식적(息積)
만령산(萬靈散) /  어혈복통(瘀血腹痛)소변임력(小便淋瀝)
만병무우산(萬病無憂散) /  중서(中暑)
만응환(萬應丸)[1] /  제충(諸蟲)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모과환(木瓜丸) /  초생토유(初生吐乳)
목단산(牧丹散) /  장옹(腸癰)
목통산(木通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목향(木香)[1] /  기체(氣滯)
목향(木香)[2] /  설사(泄瀉)이질(痢疾)
목향(木香)[3] /  구종심통(九種心痛)
목향견현환(木香見睍丸) /  상식(傷食)
목향균기산(木香均氣散) /  기울(氣鬱)
목향금령환(木香金鈴丸) /  산(疝)외신종창통(外腎腫脹痛)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  탄산(呑酸)적취(積聚)
목향기출환(木香枳朮丸) /  숙식(宿食)
목향도체환(木香導滯丸) /  상식(傷食)
목향반하환(木香半夏丸) /  체이(滯頤)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목향분기환(木香分氣丸) /  창만(脹滿)담수(痰嗽)천급(喘急)
목향빈랑산(木香檳榔散) /  창절(瘡癤)궤후불렴(潰後不斂)옹저(癰疽)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1] /  기체흉비(氣滯胸痞)기통(氣痛)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3] /  기체복통(氣滯腹痛)식적복통(食積腹痛)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4] /  곡창(穀脹)기창(氣脹)
목향산(木香散)[1] /  활설(滑泄)
목향산(木香散)[2] /  신설(腎泄)
목향산(木香散)[3] /  구리(久痢)혈리(血痢)
목향산(木香散)[4] /  수창(水脹)
목향산(木香散)[5] /  두창설사(痘瘡泄瀉)
목향삼릉산(木香三稜散) /  복장충(腹藏蟲)
목향소창원(木香消脹元) /  창만(脹滿)적취(積聚)
목향순기산(木香順氣散) /  기창(氣脹)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진창(䐜脹)
목향순기환(木香順氣丸)[1] /  기통(氣痛)
목향순기환(木香順氣丸)[2] /  습열창만(濕熱脹滿)
목향원(木香元) /  감리(疳痢)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기통(氣痛)종창(腫脹)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 /  기울(氣鬱)
목향탕(木香湯) /  냉림(冷淋)
목향파기산(木香破氣散) /  기통(氣痛)
목향화중환(木香和中丸) /  담적(痰積)
목향화체탕(木香化滯湯) /  상식(傷食)심하비만(心下痞滿)
목향환(木香丸) /  냉감(冷疳)
묘응단(妙應丹)[1] /  식적(食積)징가(癥瘕)
묘응환(妙應丸)[1] /  충적(蟲積)
묵부환(墨附丸) /  무사(無嗣)월경부조(月經不調)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방기탕(防己湯) /  자종(子腫)
백개자산(白芥子散) /  견비통(肩臂痛)
백배환(百杯丸) /  징벽(癥癖)상주(傷酒)
백원자(白圓子) /  담수(痰嗽)
백출산(白朮散)[4] /  만경풍(慢驚風)
백출화위환(白朮和胃丸)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벽손정자(辟巽錠子) /  급경풍(急驚風)파상풍(破傷風)만경풍(慢驚風)
보비익진탕(補脾益眞湯) /  만비풍(慢脾風)
보안환(保安丸) /  임신제병(妊娠諸病)
보원탕(保元湯)[5] /  두창자함(痘瘡紫陷)
복양단(復陽丹) /  상한음독(傷寒陰毒)
복원단(復元丹) /  수종(水腫)
복원통기산(復元通氣散) /  기통(氣痛)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분소탕(分消湯) /  중만(中滿)창만(脹滿)
분심기음(分心氣飮)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비방양장탕(秘方養臟湯) /  오색리(五色痢)
비방화체환(秘方化滯丸) /  징벽(癥癖)적취(積聚)
비적원(脾積元) /  대변비결(大便秘結)
비전수유내소원(秘傳茱萸內消元) /  수산(水疝)
사궁산(莎芎散)[2] /  열심통(熱心痛)
사마탕(四磨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
사백안위음(瀉白安胃飮) /  백리(白痢)
사성환(四聖丸) /  소아복창(小兒腹脹)
사주산(四柱散) /  한설(寒泄)
사초천련환(四炒川練丸) /  산(疝)
사향산(四香散) /  고창(蠱脹)
사향환(麝香丸) /  부인음랭(婦人陰冷)무자(無子)백대(白帶)
산혈소종탕(散血消腫湯) /  혈창(血脹)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삼생음(三生飮) /  중풍(中風)담연옹성(痰涎壅盛)
삼소온폐탕(蔘蘇溫肺湯) /  한천(寒喘)
삼신환(三神丸)[2] /  신설(腎泄)
삼완산(三脘散) /  각기충심(脚氣衝心)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한산(寒疝)방광병(膀胱病)
삼출건비환(蔘朮健脾丸) /  구설(久泄)
삼향산(參香散) /  허로이수(虛勞羸瘦)노채(勞瘵)
삼화산(三和散) /  기울(氣鬱)
삼화탕(三和湯)[2] /  대변비결(大便秘結)
삼황산(三黃散)[2] /  개선(疥癬)
상백피산(桑白皮散) /  각기(脚氣)
생숙음자(生熟飮子) /  적리(積痢)
생위단(生胃丹) /  비위허약(脾胃虛弱)불사식(不思食)
생지황산(生地黃散) /  안피물타당(眼被物打撞)
섭생음(攝生飮) /  졸중풍(卒中風)
성비산(醒脾散) /  만경풍(慢驚風)
성향산(星香散) /  급경풍(急驚風)만경풍(慢驚風)
소감원(蘇感元) /  적리(積痢)적리(積痢)구리(久痢)구리(久痢)
소경원(小驚元) /  급경풍(急驚風)
소고탕(消蠱湯) /  고창(蠱脹)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2] /  태한(胎寒)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5] /  초생곡도무공(初生穀道無孔)
소용회환(小龍薈丸) /  기울협통(氣鬱脇痛)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  비괴(痞塊)
소창원(消脹元) /  창만(脹滿)
소창음자(消脹飮子) /  고창(蠱脹)
소청원(蘇靑元) /  풍담(風痰)
소합향원(蘇合香元)[1] /  중기(中氣)기통(氣痛)기역(氣逆)
소합향원(蘇合香元)[2] /  귀매(鬼魅)시주(尸注)
수유내소원(茱萸內消元) /  음란편추(陰卵偏墜)
수유내소환(茱萸內消丸) /  한산(寒疝)퇴산(㿉疝)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  이질(痢疾)
수자목향산(水煮木香散) /  이질(痢疾)
수자목향원(水煮木香元) /  백리(白痢)
수풍윤장환(搜風潤腸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1] /  담음(痰飮)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2] /  중풍불어(中風不語)
승마창출탕(升麻蒼朮湯) /  산람장기(山嵐瘴氣)
승준환(勝駿丸) /  각기(脚氣)
신공환(神功丸) /  치아감식(齒牙疳蝕)
신보원(神保元)[1] /  기통(氣痛)
신보원(神保元)[2] /  기울협통(氣鬱脇痛)
신비탕(神秘湯) /  수천(水喘)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신선취보단(神仙聚寶丹) /  월경부조(月經不調)
신선침사원(神仙沈麝元) /  기통(氣痛)
신이고(辛荑膏) /  비치(鼻痔)
신조산(神助散) /  수종(水腫)
신효개결산(神效開結散) /  영류(瘿瘤)
신효산(神效散)[2] /  냉심통(冷心痛)
신효삼향산(神效蔘香散) /  고주리(蠱疰痢)오색리(五色痢)금구리(噤口痢)
실비산(實脾散) /  수종(水腫)
실비음(實脾飮) /  수종(水腫)
실장산(實腸散)[1] /  대장허한(大腸虛寒)
실장산(實腸散)[2] /  활설(滑泄)
십미노회환(十味蘆薈丸) /  감질(疳疾)
십보환(十補丸) /  음랭(陰冷)한산(寒疝)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1] /  유암(乳巖)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2] /  신옹(腎癰)
십전단(十全丹) /  무고감(無辜疳)정해감(丁奚疳)
십향고(十香膏) /  동창(凍瘡)
안위산(安胃散) /  불사식(不思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안중조기환(安中調氣丸) /  반위(反胃)
양씨사향원(楊氏麝香元) /  퇴산(㿉疝)
양유방(釀乳方)[1] /  만경풍(慢驚風)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수발조백(鬚髮早白)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
염통원(拈痛元) /  구종심통(九種心痛)
영보단(靈寶丹) /  대변비결(大便秘結)
영양각탕(羚羊角湯)[2] /  자간(子癎)
영위산(寧胃散) /  적백리(赤白痢)열리(熱痢)
오격관중산(五膈寬中散) /  오격(五膈)
오부통기탕(烏附通氣湯) /  산통(疝痛)
오선환(五仙丸) /  제충(諸蟲)
오약탕(烏藥湯) /  혈해동통(血海疼痛)
오향백출산(五香白朮散) /  폐옹(肺癰)
오향산(五香散) /  오발옹저(五發癰疽)
오향연교탕(五香連翹湯) /  옹저(癰疽)
오향탕(五香湯) /  옹저(癰疽)
오호이진탕(五虎二陳湯) /  효천(哮喘)
온경환(溫經丸) /  감루(疳瘻)
온위탕(溫衛湯)[1] /  비색(鼻塞)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1] /  음위(陰痿)허손(虛損)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  허로(虛勞)
외신환(煨腎丸) /  습열요통(濕熱腰痛)
용담탕(龍膽湯)[1] /  이롱(耳聾)
우공산(禹功散) /  한산(寒疝)
우황탈명산(牛黃奪命散) /  소아천수(小兒喘嗽)
운모고(雲母膏)[1] /  나력(瘰癧)골저(骨疽)내저(內疽)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월국보화환(越麴保和丸) /  울증(鬱證)
유기음자(流氣飮子) /  기통(氣痛)
유향산(乳香散)[4] /  반장내조(盤腸內釣)
육두구환(肉豆蔲丸) /  두창설사(痘瘡泄瀉)
육마탕(六磨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
육마탕(六磨湯)[2] /  기천(氣喘)
육신탕(六神湯) /  신설(腎泄)
육신환(六神丸) /  이질(痢疾)
육주산(六柱散) /  한설(寒泄)
은백산(銀白散) /  만경풍(慢驚風)
이공산(異功散)[2] /  두창설사(痘瘡泄瀉)
이기환(利氣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이생고(二生膏)[2] /  상손탈구(傷損脫臼)
이향산(二香散)[2] /  옹저(癰疽)
이향환(二香丸) /  호산(狐疝)
익영탕(益榮湯) /  황홀(恍惚)정충(怔忡)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2] /  혈창(血脹)
인삼이격환(人蔘利膈丸) /  열격(噎膈)천만(喘滿)
인삼전호탕(人蔘前胡湯) /  담훈(痰暈)
인진사황탕(茵蔯瀉黃湯) /  온황(瘟黃)
일념금원(一捻金元) /  부인음정(婦人陰挺)
일립금단(一粒金丹)[1] /  기통(氣痛)
입안산(立安散) /  좌섬요통(挫閃腰痛)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자설(紫雪) /  적열(積熱)
자침환(紫沈丸) /  열격(噎膈)
작약탕(芍藥湯)[1] /  농혈리(膿血痢)
전갈관음산(全蝎觀音散) /  만경풍(慢驚風)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  비위허약(脾胃虛弱)음식불소(飮食不消)
전호반하탕(前胡半夏湯) /  기담(氣痰)
접골단(接骨丹) /  골절(骨折)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 /  양허(陽虛)
정력목향산(葶藶木香散) /  수종(水腫)복창(腹脹)
정생단(定生丹) /  반위(反胃)
정향난반환(丁香爛飯丸) /  상식(傷食)
정향비적환(丁香脾積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정향연실환(丁香練實丸) /  칠산(七疝)가취(瘕聚)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  열격(噎膈)
제생자소자탕(濟生紫蘇子湯) /  복창(腹脹)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조강탕(調降湯) /  기천(氣喘)
조기산(調氣散) /  기요통(氣腰痛)
조등고(釣藤膏) /  경풍(驚風)내조(內釣)
조위고(助胃膏) /  소아토사(小兒吐瀉)
조중건비환(調中健脾丸) /  비설(脾泄)
조중순기환(調中順氣丸) /  담음협통(痰飮脇痛)
조중이기탕(調中理氣湯) /  허리(虛痢)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주거신우환(舟車神祐丸) /  수습중조(水濕中阻)
주거환(舟車丸) /  습열울체(濕熱鬱滯)
주자당귀환(酒煮當歸丸) /  백대(白帶)
주적환(酒積丸) /  주적(酒積)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중만(中滿)한창(寒脹)
지성환(至聖丸) /  냉감(冷疳)
진사묘향산(辰砂妙香散) /  정충(怔忡)경계(驚悸)
진식환(進食丸) /  벽적(癖積)
진인양장탕(眞人養臟湯) /  적백리(赤白痢)
진인화철탕(眞仁化鐵湯) /  징가(癥瘕)현벽(痃癖)
집향탕(集香湯) /  허종(虛腫)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  벽괴(癖塊)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열격(噎膈)반위(反胃)
천련산(川練散) /  분돈(奔豚)목신(木腎)
천태오약산(天臺烏藥散) /  퇴산(㿉疝)
청담순기탕(淸痰順氣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청서화중산(淸暑和中散) /  중서(中暑)
청화화담탕(淸火化痰湯) /  담궐(痰厥)담결(痰結)
초오산(草烏散) /  골절(骨折)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추충취적산(追蟲取積散) /  충적(蟲積)
추충환(追蟲丸) /  충적(蟲積)
추풍거담환(追風祛痰丸) /  전간(癲癎)
충화보기탕(沖和補氣湯) /  마목(麻木)
취향음자(聚香飮子) /  기산(氣疝)
칠선환(七宣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칠성환(七聖丸)[1] /  항문양통(肛門痒痛)
칠전영응단(七轉靈應丹) /  충적(蟲積)
칠향원(七香元) /  식체(食滯)
침향교태환(沈香交泰丸) /  진창(䐜脹)
침향마비산(沈香磨脾散) /  한복통(寒腹痛)
침향별갑산(沈香鱉甲散) /  허손(虛損)노상(勞傷)
침향산(沈香散) /  기림(氣淋)
침향온위환(沈香溫胃丸) /  비위허한(脾胃虛寒)곽란(霍亂)
침향음(沈香飮)[1] /  기림(氣淋)
침향음(沈香飮)[2] /  복창(腹脹)
탁리온중탕(托裏溫中湯) /  옹저설사(癰疽泄瀉)
탁리화중탕(托裏和中湯) /  옹저궤후구불렴(癰疽潰後久不斂)
탕산환(蕩疝丸) /  기산(氣疝)
태을명월단(太乙明月丹) /  노채(勞瘵)전시(傳尸)
태화환(太和丸) /  비위허약(脾胃虛弱)
통명이기탕(通明利氣湯) /  담화이명(痰火耳鳴)
통신산(通神散)[1] /  임신대변불통(妊娠大便不通)
퇴열청기탕(退熱淸氣湯) /  기역(氣逆)
퇴종탑기산(退腫塌氣散) /  수종(水腫)
투격탕(透膈湯) /  탄산(呑酸)
파결단(破結丹) /  음독결흉(陰毒結胸)양독결흉(陽毒結胸)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
패모탕(貝母湯) /  구수(久嗽)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탄산(呑酸)조잡(嘈雜)
평보기출환(平補枳朮丸) /  흉비(胸痞)
필징가원(蓽澄茄元) /  곡창(穀脹)기창(氣脹)
하충환(下蟲丸) /  회감(蛔疳)
해금사산(海金砂散)[2] /  오림(五淋)
향각환(香殼丸)[1] /  장벽(腸澼)치루(痔瘻)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향귤병(香橘餠) /  초생토유(初生吐乳)
향귤음(香橘飮) /  기허현훈(氣虛眩暈)
향련환(香連丸) /  복통(腹痛)이질(痢疾)
향령산(香靈散) /  옹저작통(癰疽作痛)
향릉환(香稜丸) /  오적(五積)육취(六聚)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1] /  흉비통(胸痞痛)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2] /  위한(胃寒)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2] /  비허(脾虛)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1] /  상식(傷食)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2] /  식울(食鬱)
현호색산(玄胡索散) /  혈결흉(血結胸)
형봉전원(荊蓬煎元) /  비괴(痞塊)적취(積聚)
호박고(琥珀膏)[2] /  동창(凍瘡)
호박산(琥珀散)[2] /  석림(石淋)사림(沙淋)
호박주사환(琥珀朱砂丸) /  경계(驚悸)
혼원단(混元丹) /  허로이수(虛勞羸瘦)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  중설(重舌)구창(口瘡)
화기탕(化氣湯) /  식분(息賁)
화중길경탕(和中桔梗湯) /  구토(嘔吐)상초열(上焦熱)
환골단(換骨丹) /  중풍(中風)탄탄(癱瘓)
환골환(換骨丸) /  나풍(癩風)
황갑환(黃甲丸) /  학모(瘧母)
황기십보탕(黃芪十補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황기익손탕(黃耆益損湯) /  허로(虛勞)
황련목향탕(黃連木香湯) /  학후이질(瘧後痢疾)
황련서각탕(黃連犀角湯) /  호혹(狐惑)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회향안신탕(茴香安腎湯) /  음란편추(陰卵偏墜)
후박기실탕(厚朴枳實湯) /  구설(久泄)
후박온중탕(厚朴溫中湯) /  한복통(寒腹痛)
흑부탕(黑附湯) /  만비풍(慢脾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