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삼

 익생양술에서 "현삼"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현삼(玄蔘)/현삼"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
80∼150cm 취급요령 햇볕 또는 불에 말려 쓴다.
생지 산과 들의 습윤한 곳 성미 서늘하며, 쓰고 짜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뿌리 6∼10g
약효 뿌리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진개현삼ㆍ큰개현삼ㆍ토현삼
마주나며 길이 5~10cm, 나비 2.5~5cm의 긴 달걀꼴 또는 세모진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넓은 쐐기꼴 또는 잘린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길이 5cm 정도인 잎자루를 따라서 좁은 날개가 약간 있거나 없다. 잎 뒷면에 털이 있다.
8∼9월에 황록색의 작은 꽃이 줄기 끝에서 취산 꽃차례를 이루며 많이 모여 달린다. 길이 5mm 정도 되는 작은 꽃자루에 샘털이 많다. 꽃차례의 길이는 약 50cm이다. 꽃턱잎은 작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5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거나 약간 둔하다. 꽃부리는 길이 5~6mm이며 통 부분은 찌그러진 단지처럼 생기고 위쪽은 5개로 갈라진 입술 모양이다. 4개의 수술 중에서 2개가 길다. 암술대는 길이 약 3mm이며 씨방 길이의 2배이다. 씨방은 2실이다.
열매
9∼10월에 달걀꼴의 삭과를 맺는데 꽃받침이 남아 붙어 있다. 열매가 다 익으면 2조각으로 갈라져서 터진다.
특징 및 사용
귀장(鬼藏)ㆍ원삼ㆍ중대(重臺)ㆍ축마(逐馬)ㆍ현대(玄臺)ㆍ함(咸)이라고도 한다. ‘현’은 검다는 뜻이고 ‘삼’은 뿌리가 굵다는 뜻이다. 생긴 모양이 인삼과 비슷하다 하여 흑삼ㆍ원삼이라는 별칭이 붙었다. 뿌리는 검은색인데 굵어져서 덩이 모양을 이룬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는데 네모지고 털이 있으며 가지를 치지 않는다.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꽃과 뿌리를 식용한다. 덩이뿌리를 말린 것을 현삼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설사할 때는 복용을 금한다. 복용 중에 대추ㆍ생강ㆍ여로ㆍ황기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를 쓰지 않는다.
현삼(玄蔘) / 현삼
라틴명 Scrophulariae Radix
약재의 효능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강화(降火)  (화(火)를 내리는 효능임)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하수(下水)  (몸 안의 수기(水氣)를 아래로 내리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정오장(定五臟)
보심혈(補心血)
이인후(利咽喉)  (인후(咽喉)를 편하게 하는 효능임)
통소변(通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소종독(消腫毒)  (헌데나 부스럼을 없애는 효능임)
장수제화(壯水制火)
보허(補虛)  (허한 것을 보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신(腎) , 위(胃) , 폐(肺)
성미 감고함(甘苦鹹) , 양(凉)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여로(藜蘆)와 같이 쓰지 말 것.
독성 The saponin component of the herb can cause hemolysis of the red blood cells and local irritation.1).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백호탕(加減白虎湯)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냉보환(冷補丸) /  이롱(耳聾)신허요통(腎虛腰痛)
녹용환(鹿茸丸) /  신허(腎虛)소갈(消渴)
녹운고(綠雲膏) /  나력(瘰癧)마도창(馬刀瘡)
누로산(漏蘆散)[2] /  대두온(大頭瘟)
만응고(萬應膏)[1] /  열독종(熱毒腫)옹저(癰疽)
만응고(萬應膏)[2] /  옹종(癰腫)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  유루(流淚)간허예장(肝虛翳障)
보간산(補肝散)[1] /  내장(內障)
보원탕(保元湯)[2] /  두창(痘瘡)
보제소독음자(普濟消毒飮子) /  대두온(大頭瘟)
사신탕(瀉腎湯) /  임(淋)
생숙지황환(生熟地黃丸)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
서각음자(犀角飮子) /  농이(膿耳)이롱(耳聾)
서각탕(犀角湯) /  결양(結陽)
서각현삼탕(犀角玄蔘湯) /  반진(斑疹)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 /  두후옹절(痘後癰癤)
서점자탕(鼠粘子湯)[1] /  농이(膿耳)
소반청대음(消斑靑黛飮) /  반진(斑疹)양독발반(陽毒發斑)
소핵환(消核丸) /  경항결핵(頸項結核)
승마산(升麻散) /  구미(口糜)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1] /  상한해수성시(傷寒咳嗽聲嘶)
신력탕(腎瀝湯) /  신장풍(腎臟風)
신선태을고(神仙太乙膏) /  동창(凍瘡)
신이고(神異膏)[3] /  옹절(癰癤)
안신보심탕(安神補心湯) /  경계(驚悸)정충(怔忡)
영양각산(羚羊角散)[2] /  검경정동(瞼硬睛疼)
오복화독단(五福化毒丹) /  열감(熱疳)두후옹절(痘後癰癤)
옥설무우산(玉屑無憂散) /  전후풍(纏喉風)골경(骨鯁)
용담산(龍膽散)[2] /  간열목통(肝熱目痛)
용담탕(龍膽湯)[1] /  이롱(耳聾)
우방금련탕(牛蒡芩連湯) /  대두온(大頭瘟)
우방자탕(牛蒡子湯) /  아관긴급(牙關緊急)인후종통(咽喉腫痛)
음허생내열탕(陰虛生內熱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자설(紫雪) /  적열(積熱)
자음청화고(滋陰淸化膏) /  화수(火嗽)
장원환(壯元丸) /  정충(怔忡)건망(健忘)
정양탕(正陽湯) /  요수통(腰脽痛)황달(黃疸)목적(目赤)기울(氣鬱)
지황산(地黃散)[2] /  백막차정(白膜遮睛)목적종통(目赤腫痛)적예(赤翳)
지황산(地黃散)[3] /  두창입안(痘瘡入眼)
천마환(天麻丸) /  중풍열증(中風熱證)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  경계(驚悸)정충(怔忡)
청열자음탕(淸熱滋陰湯) /  변혈(便血)요혈(尿血)
청인이격산(淸咽利膈散) /  유아(乳蛾)후폐(喉閉)
청타탕(淸唾湯) /  타혈(唾血)
청폐산(淸肺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
청화보음탕(淸火補陰湯) /  허화상염(虛火上炎)인후종통(咽喉腫痛)
청화탕(淸火湯) /  삼초열(三焦熱)
칠미감길탕(七味甘桔湯) /  두창인후종통(痘瘡咽喉腫痛)
태을고(太乙膏) /  오발옹저(五發癰疽)탕화상(燙火傷)
통명이기탕(通明利氣湯) /  담화이명(痰火耳鳴)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현삼산(玄蔘散) /  현옹(懸癰)
현삼승마탕(玄蔘升麻湯) /  반진(斑疹)
현삼패모탕(玄蔘貝母湯) /  이양(耳痒)
환정환(還睛丸)[2] /  안화(眼花)
흑삼환(黑參丸) /  구설생창(口舌生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