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Polygonati Rhizoma |
약재의 효능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오수발(烏鬚髮)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
|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
양음(養陰)
(음(陰)을 길러주는 치료 방법임.)
|
|
주안(駐顔)
|
|
단곡(斷穀)
(음식을 끊고 먹지 않는 것임.)
|
|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
|
하삼시충(下三尸蟲)
(도가(道家)에서 사람의 수련하는 것을 방해하는 상충(上蟲), 중충(中蟲), 하충(下蟲)의 세 종류의 벌레를 심시충(三尸蟲)이라 하는데 그 중 뱃속에 있는 것을 하충(下蟲)이라고 함.)
|
|
윤심폐(潤心肺)
(심폐(心肺)를 윤택하고 촉촉하게 하는 것임.)
|
|
익비위(益脾胃)
(비위(脾胃)의 기운을 더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
|
전정수(塡精髓)
(인체 생명활동의 근원이 되는 정(精)과 골수(骨髓)가 부족한 것을 보충하는 효능임.)
|
|
조근골(助筋骨)
(근육과 뼈를 도와서 튼튼하게 하는 효능임.)
|
|
내한서(耐寒暑)
|
|
제풍습(除風濕)
(풍습(風濕)의 사기(邪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
|
보비(補脾)
(비(脾)의 기능이 정상화 될 수 있도록 비의 음기(陰氣)와 양기(陽氣)를 보충하는 치법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불기(不飢)
(배고픔을 없게 하는 효능임)
|
|
연년(延年)
|
작용부위 |
비(脾)
, 신(腎)
, 폐(肺)
|
성미 |
감(甘)
, 평(平)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근경을 그대로 쓰거나, 또는 외피를 벗겨서 찐 것 |
약재사용처방 |
황정(黃精)[2] /
삼시충(三尸蟲)
|
|
황정(黃精)[3] /
오로(五勞)
, 허손(虛損)
, 칠상(七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