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Typhae Pollen |
약재의 효능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
소어(消瘀)
(어혈(瘀血)을 삭여 없애는 방법을 말하는 것임)
|
|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
|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
|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
|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
|
통경락(通經絡)
(경락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이뇨통림(利尿通淋)
(이뇨(利尿)시키고 소변이 잘 통하게 하는 효능임)
|
|
보혈(補血)
(보법의 하나로서 혈허증(血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
|
행혈(行血)
(치법의 하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어혈증(瘀血證)에 적용함.)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연년(延年)
|
작용부위 |
간(肝)
, 심(心)
|
성미 |
감신(甘辛)
, 양(凉)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약재사용처방 |
개울사물탕(開鬱四物湯) /
붕루(崩漏)
|
|
계소산(鷄蘇散) /
육혈(衄血)
|
|
고영산(固榮散) /
요혈(尿血)
, 토혈(吐血)
, 변혈(便血)
, 육혈(衄血)
|
|
교감지황전원(交感地黃煎元)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
|
구미청심원(九味淸心元) /
상초열(上焦熱)
|
|
극통산(튽痛散) /
냉심통(冷心痛)
|
|
기침산(起枕散) /
아침통(兒枕痛)
|
|
대계음자(大薊飮子) /
토혈(吐血)
, 구혈(嘔血)
|
|
동원서점자탕(東垣鼠粘子湯) /
이내생창(耳內生瘡)
, 농이(膿耳)
|
|
만병원(萬病元) /
전간(癲癎)
, 고독(蠱毒)
, 황달(黃疸)
, 벽괴(癖塊)
, 시주(尸注)
, 학질(瘧疾)
|
|
모근탕(茅根湯) /
산후임력(産後淋瀝)
|
|
백모탕(白茅湯) /
산후임력(産後淋瀝)
|
|
벽설(碧雪) /
구설생창(口舌生瘡)
, 시종(腮腫)
|
|
불수산(佛手散)[2] /
후옹(喉癰)
, 인후종통(咽喉腫痛)
|
|
사혈탕(瀉血湯) /
야간발열(夜間發熱)
|
|
삼인호박산(三因琥珀散) /
삽통(澁痛)
, 오림(五淋)
|
|
소계산(小薊散) /
치뉵(齒衄)
|
|
소계음자(小薊飮子)[1] /
요혈(尿血)
|
|
소계음자(小薊飮子)[2] /
혈림(血淋)
|
|
숙건지황산(熟乾地黃散) /
산후허리(産後虛羸)
|
|
신령단(神靈丹) /
졸심통(卒心痛)
|
|
실소산(失笑散) /
아침통(兒枕痛)
|
|
십회환(十灰丸) /
실혈(失血)
|
|
압자전(鴨子煎) /
자리(子痢)
|
|
오금산(烏金散)[2] /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
, 산후혈훈(産後血暈)
|
|
오회산(五灰散) /
실혈(失血)
, 혈붕(血崩)
|
|
용뇌계소환(龍腦鷄蘇丸) /
객혈(喀血)
, 수혈(嗽血)
|
|
용뇌파독산(龍腦破毒散) /
급후비(急喉痺)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1] /
전광(癲狂)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2] /
졸중풍(卒中風)
|
|
은포산(恩袍散) /
타혈(唾血)
, 객혈(喀血)
, 토혈(吐血)
|
|
입효산(立效散)[1] /
소아요혈(小兒尿血)
|
|
자금환(紫金丸) /
아침통(兒枕痛)
|
|
자완용탕(紫菀茸湯) /
천급(喘急)
, 해수(咳嗽)
|
|
치아침통일방(治兒枕痛一方)[2] /
아침통(兒枕痛)
|
|
치태동일방(治胎動一方)[2] /
태동불안(胎動不安)
|
|
태평환(太平丸) /
폐위(肺痿)
, 허로(虛勞)
|
|
통령산(通靈散) /
구종심통(九種心痛)
|
|
통애산(通隘散) /
후비(喉痺)
, 실음(失音)
|
|
통초탕(通草湯)[1] /
오림(五淋)
|
|
팔미흑신산(八味黑神散) /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
, 혈훈(血暈)
|
|
포황(蒲黃)[2] /
붕루(崩漏)
, 적백대하(赤白帶下)
|
|
포황(蒲黃)[3] /
구설생창(口舌生瘡)
, 중설(重舌)
|
|
포황(蒲黃)[4] /
박손(撲損)
, 어혈(瘀血)
|
|
포황(蒲黃)[5] /
산후구갈(産後口渴)
|
|
포황(蒲黃)[6] /
소아허열(小兒虛熱)
|
|
포황고(蒲黃膏) /
졸이롱(卒耳聾)
|
|
포황산(蒲黃散) /
전포(轉胞)
|
|
현호색산(玄胡索散) /
혈결흉(血結胸)
|
|
혈갈산(血竭散)[1] /
치감닉(齒疳䘌)
|
|
흑신산(黑神散)[3] /
산후발열(産後發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