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교(秦艽) / 진교
라틴명 | Gentianae Macrophyllae Radix |
약재의 효능 | 거풍습(祛風濕)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효능임) |
제허열(除虛熱) (허열(虛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지비통(止痺痛) (비통(痺痛)을 치료하는 효능임) | |
화혈(和血) (혈(血)의 운행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 |
서근(舒筋) (근육을 이완시키는 효능임) | |
활락(活絡) (락맥(絡脈)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
익담(益膽) (담(膽)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해주독(解酒毒) (술을 과하게 마셔 그 후유증으로 생긴 독(毒)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청열이뇨(淸熱利尿) (열기를 식히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여 이를 통해 열기를 빼내는 효능임) | |
설산소리(泄散疏利) (막힌 것을 배출시키고 원활하게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담(膽) , 위(胃) |
성미 | 고신(苦辛)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하체허한(下體虛寒), 산통(酸痛), 소변청리기지(小便淸利) 등의 증상이 있으면 복용하지 말 것. |
독성 | At a regular oral dose of 100 mg, gentianine often causes nausea and vomiting and other symptoms of gastrointestinal disturbance. The LD50 of this alkaloid in mice is 480 mg/kg (oral), 250 mg/kg (I.v.), and 350 mg/kg (I.p.).1).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감소요산(加減逍遙散) / 조열(潮熱) |
가미괴각환(加味槐角丸) / 장풍(腸風) , 장독(臟毒) , 치(痔) | |
강활속단탕(羌活續斷湯) / 각기(脚氣) | |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장(風中臟) , 풍중부(風中腑) | |
단홍원(斷紅元) / 장풍(腸風) | |
당귀욱리인탕(當歸郁李仁湯) / 치루(痔瘻) , 항문양통(肛門痒痛) | |
대진교탕(大秦芄湯) / 설강(舌强) , 탄탄(癱瘓) , 중풍(中風) | |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 각기(脚氣) | |
만금탕(萬金湯) / 사지불수(四肢不遂) , 중풍(中風) , 허증(虛症) | |
방풍탕(防風湯)[2] / 행비(行痺) | |
삼비탕(三痺湯) / 기혈응체(氣血凝滯) , 풍비(風痺) | |
승양제습화혈탕(升陽除濕和血湯) / 장벽(腸澼) | |
양영탕(養榮湯) / 수족불인(手足不仁) , 불어(不語) , 풍중혈맥(風中血脈) | |
억음지황환(抑陰地黃丸)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의이환(薏苡丸) / 수연(手軟) | |
이장음(梨漿飮) / 조열(潮熱) | |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 폐허(肺虛) | |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 |
종사환(螽斯丸) / 무사(無嗣) | |
지골피산(地骨皮散)[2] / 골증(骨蒸) | |
진교강활탕(秦艽羌活湯) / 항문양통(肛門痒痛) , 치루(痔瘻) | |
진교당귀탕(秦艽當歸湯) / 항문양통(肛門痒痛) , 치루(痔瘻) | |
진교백출환(秦艽白朮丸) / 항문양통(肛門痒痛) | |
진교별갑산(秦艽鱉甲散) / 허로(虛勞) | |
진교승마탕(秦艽升麻湯) / 중풍(中風) , 구안와사(口眼喎斜) | |
진교음자(秦艽飮子) / 여로달(女勞疸) | |
진교창출탕(秦艽蒼朮湯) / 장치(腸痔) | |
청골산(淸骨散) / 노채(勞瘵) , 골증(骨蒸) , 오심번열(五心煩熱) | |
침향별갑산(沈香鱉甲散) / 노상(勞傷) , 허손(虛損) | |
포옹환(抱甕丸) / 귀태(鬼胎) , 혈고(血蠱) | |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8] / 노수(勞嗽) | |
혈풍탕(血風湯) / 산후풍치(産後風痓) | |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허로(虛勞) , 노손(勞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