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Cinnamomi Cortex |
약재의 효능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보양(補陽)
(보법(補法)의 하나로, 양허증(陽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
|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
|
익폐(益肺)
(폐(肺)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소음(消陰)
(음(陰)의 기운이 과도하게 성(盛)한 경우 음(陰)의 세력을 감소시키는 효능임.)
|
|
납기(納氣)
(신(腎)에서 폐(肺)에서 흡수한 기운을 받아들이는 효능임)
|
|
평천(平喘)
(천(喘)을 치료하는 방법임.)
|
|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
|
강근골(强筋骨)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
|
|
하행온보(下行溫補)
(기운을 아래로 통하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보(補)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신(腎)
, 심(心)
|
성미 |
신감(辛甘)
, 열(熱)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주의사항 |
주피를 벗긴 수피. 양허음성자(陽虛陰盛者)와 임산부는 쓰지 말 것. |
독성 |
The drug is contraindicated in cases of fever of unknown origin, prgnancy, stomach or duodenal ulcers 1, 2, 3), and in patients with an allergy to cinnamon or Peru balsam 2). Available data are not sufficient for an adequate benefit / risk assessment. Therefore, Cinnamomum cassia should not be used during lactati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drug in children have not been established. Allergic reactions of the skin and mucosa have been reported 1, 4-7). 1) German Commission E Monograph, Cinnamomum cassia cortex. Bundesanzeiger, 1990, 22: 1 February. 2) Bisset NG. Max Wichtl's herbal drugs & phytopharmaceuticals. Boca Raton, FL, CRC Press, 1994:148-150. 3) Medicinal plants in China. Manila,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9: 78-79 (WHO Regional Publications, Western Pacific Serirs, No. 2). 4) Nixon R. Vignette in contact dermatology. Cinnamon allergy in bakers. Australian journal of dermatology, 1995, 36:41. 5) Hausen BJM. Allergiepflanzen-Pflanzenallergene. Landsberg, Ecomed, 1988: 95-96. 6) Calnan CD. Cinnamon dermatitis from an ointment. Contact dermatitis, 1976, 2:167-170. 7) Drake TE, Maibach HI.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nd stomatitis caused by cinnamic aldehyde-flavored toothpaste. Archives of dermatology, 1976, 112:202-203. |
약재사용처방 |
가감이중탕(加減理中湯) /
위한(胃寒)
|
|
가미삼요탕(加味三拗湯) /
한천(寒喘)
|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3] /
담궐(痰厥)
|
|
가미제습탕(加味除濕湯) /
습리(濕痢)
|
|
가제제습탕(加劑除濕湯) /
한습(寒濕)
|
|
강계환(薑桂丸) /
한수(寒嗽)
|
|
강출탕(薑朮湯) /
정충(怔忡)
|
|
계령감로산(桂苓甘露散) /
복서(伏暑)
|
|
계령탕(桂苓湯) /
혈분증(血分證)
|
|
계부탕(桂附湯)[3] /
허한부지(虛汗不止)
, 양허(陽虛)
|
|
계출탕(桂朮湯) /
혈분증(血分證)
, 기분증(氣分證)
|
|
계피(桂皮)[1] /
냉복통(冷腹痛)
|
|
교가산(交加散)[1] /
감모(感冒)
, 상한(傷寒)
|
|
구미이중탕(九味理中湯) /
한천(寒喘)
|
|
구보음(九寶飮) /
한수(寒嗽)
, 구수(久嗽)
|
|
궁출제현탕(芎朮除眩湯) /
풍습두통(風濕頭痛)
, 궐역두통(厥逆頭痛)
|
|
내탁복전산(內托復煎散) /
음저(陰疽)
|
|
내탁천금산(內托千金散) /
악창(惡瘡)
, 옹저(癰疽)
|
|
당귀수산(當歸鬚散) /
타박상(打撲傷)
, 혈결흉(血結胸)
|
|
당귀활혈탕(當歸活血湯) /
혈울(血鬱)
, 기체(氣滯)
|
|
대귤피탕(大橘皮湯)[2] /
수종(水腫)
, 심복창만(心腹脹滿)
|
|
마황백출탕(麻黃白朮湯) /
풍학(風瘧)
|
|
마황산(麻黃散)[2] /
풍한천급(風寒喘急)
|
|
만금탕(萬金湯) /
중풍(中風)
, 사지불수(四肢不遂)
, 허증(虛症)
|
|
만병오령산(萬病五苓散) /
습설(濕泄)
|
|
만형산(蔓荊散) /
근골절상(筋骨折傷)
, 타박상(打撲傷)
|
|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
|
목향순기산(木香順氣散) /
기창(氣脹)
|
|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 /
기울(氣鬱)
|
|
복령탕(茯苓湯)[1] /
통비(痛痺)
, 부종(浮腫)
|
|
부자탕(附子湯)[1] /
풍한습비(風寒濕痺)
|
|
분심기음(分心氣飮)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비기환(肥氣丸) /
비적(脾積)
|
|
산혈소종탕(散血消腫湯) /
혈창(血脹)
|
|
삼비탕(三痺湯) /
풍비(風痺)
, 기혈응체(氣血凝滯)
|
|
상백피탕(桑白皮湯) /
소갈(消渴)
|
|
생료오적산(生料五積散)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속명자산(續命煮散) /
중풍(中風)
, 허증(虛症)
|
|
숙료오적산(熟料五積散)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승마탕(升麻湯)[2] /
열비(熱痺)
|
|
쌍화탕(雙和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
|
아위원(阿魏元) /
식적(食積)
|
|
영양각탕(羚羊角湯)[1] /
근비(筋痺)
|
|
오미자탕(五味子湯)[3] /
한천(寒喘)
|
|
온경익원탕(溫經益元湯) /
상한망양(傷寒亡陽)
|
|
온폐탕(溫肺湯)[2] /
한수(寒嗽)
|
|
위풍탕(胃風湯) /
풍설(風泄)
, 습설(濕泄)
|
|
유향산(乳香散)[2] /
타박상(打撲傷)
|
|
유향진통산(乳香趂痛散) /
좌섬요통(挫閃腰痛)
|
|
이공산(異功散)[2] /
두창설사(痘瘡泄瀉)
|
|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2] /
혈창(血脹)
|
|
인삼당귀산(人蔘當歸散) /
산후발열(産後發熱)
|
|
인삼백합탕(人蔘百合湯) /
혈수(血嗽)
|
|
인삼윤폐환(人蔘潤肺丸) /
구천(久喘)
|
|
자수해어탕(資壽解語湯) /
중풍불어(中風不語)
|
|
정력목향산(葶藶木香散) /
복창(腹脹)
, 수종(水腫)
|
|
진교음자(秦艽飮子) /
여로달(女勞疸)
|
|
천궁복령탕(川芎茯苓湯) /
착비(着痺)
|
|
탁리복령탕(托裏茯苓湯) /
옹저(癰疽)
|
|
탁리황기탕(托裏黃芪湯)[1] /
옹저(癰疽)
|
|
파혈소통탕(破血消痛湯)>동의보감((東醫寶鑑) /
낙상(落傷)
|
|
필징가원(蓽澄茄元) /
곡창(穀脹)
, 기창(氣脹)
|
|
해고과독일방(解苽果毒一方)[1] /
고과독(苽果毒)
|
|
해원화독일방(解芫花毒一方) /
원화독(芫花毒)
|
|
해천초독일방(解川椒毒一方) /
천초독(川椒毒)
|
|
행자탕(杏子湯) /
한수(寒嗽)
|
|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1] /
음낭습양(陰囊濕痒)
|
|
황기익손탕(黃耆益損湯) /
허로(虛勞)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