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여름ㆍ가을 |
키 | 50~80cm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산골짜기의 냇가, 숲 가장자리 | 성미 | 따뜻하며, 맵다.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6~12g |
약효 | 온포기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어긋나고 길이 7~15cm, 나비 4~9cm의 타원형, 달걀꼴 또는 거꿀달걀꼴이며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양면에 털이 있고 때로 표면에 흑갈색 반점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0.5~3cm로 짧다. 턱잎은 막질이고 길이 5~10mm의 원통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수염 같은 털이 있다.
꽃
7~8월에 붉은 꽃이 원줄기 끝과 위쪽에서 나온 가늘고 긴 꽃자루에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은 길이 20~40cm의 꽃차례에 성기게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2~3mm이며 4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없다. 수술은 5개이며 씨방은 달걀 모양의 원형이고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
9~10월에 길이 2mm쯤 되는 짙은 갈색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양 끝이 좁은 달걀꼴이고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특징 및 사용
금선초(金線草)ㆍ적료(赤蓼)라고도 한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번식한다. 줄기는 마디가 굵으며 전체에 거칠고 긴 털이 나 있다. 유사종으로 잎에 털이 적고 잎맥이 없으며 끝이 뾰족한 것을 새이삭여뀌라고 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이거나 달인 물로 닦아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통증과 혈증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