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작약

 익생양술에서 "적작약"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적작약(赤芍藥)/적작약"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봄
40~8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정원 또는 밭에 재배 성미 서늘하며, 쓰고 시고 달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있다.
번식 분근ㆍ씨 1회사용량 뿌리 4~6g
약효 3~4년 된 뿌리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적작약ㆍ흰작약의 뿌리
뿌리잎은 1~2회 깃꼴로 갈라진다. 위쪽의 줄기잎은 어긋나고 3개로 깊게 갈라지기도 하면서 밑 부분이 잎자루로 흐른다. 작은 잎은 길이 10cm쯤 되는 댓잎피침형, 타원형 또는 달걀꼴로서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앞면은 진한 녹색이고 양면에 털은 없다. 잎자루는 길고 잎맥과 더불어 붉은빛이 돈다.
5~6월에 피는데 백색ㆍ적색 등 여러 품종이 있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한 송이씩 달린다. 꽃잎은 8~11장 정도 붙어 있고 길이 약 5cm의 거꿀달걀꼴이다. 녹색인 꽃받침 조각은 5개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꽃이 질 때까지 남아 있다. 수술은 많고 황색이다. 씨방은 3~5개이고 털이 없다. 짧은 암술머리는 뒤로 젖혀진다.
열매
8월에 달걀꼴의 골돌과가 2~5개씩 달려 익는다. 열매가 다 익으면 안쪽으로 터져서 흑청색의 씨가 나온다.
특징 및 사용
작약의 작(芍)은 꽃이 선명하고 아름답다는 뜻이며 이름에 걸맞게 꽃이 매우 아름답다. 방추형의 뿌리가 곧고 긴데 뿌리를 자르면 붉은빛이 돌기 때문에 적작약이라 한다. 적작약의 학명인 알비플로라(albiflora)는 ‘흰색 꽃의’ 라는 뜻이며 원종이 흰 꽃을 피웠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란다. 중국이 원산지인 작약을 옛날에는 백작약과 적작약의 구별 없이 써 왔는데 명나라 때 무희웅(무중순)이 이를 구분한 뒤부터 백작약과 적작약을 구별하여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적작약은 백작약보다 키가 큰데다 적작약의 잎이 갈라져 있는데 비해 백작약의 잎은 갈라져 있지 않다. 또한 뿌리가 붉은 것을 적작약, 흰 것을 백작약이라 한다. 흔히 재배하는 것은 적작약과 구별하여 작약(var. hortensis)이라 한다. 유사종으로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는 것을 호작약, 씨방에 털이 촘촘히 난 것을 참작약, 꽃잎 6~7개가 하얗게 피는 것을 백작약이라 하는데, 약으로는 백작약을 으뜸으로 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예로부터 뿌리를 약재로 썼는데 백작약 뿌리가 혈을 보하는 작용이 강하다면 적작약 뿌리는 열과 어혈 등에 특히 효험이 있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적작약(赤芍藥) / 적작약
라틴명 Paeoniae Radix Rubra
약재의 효능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성미 산(酸) , 양(凉)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약재사용처방 가감통성산(加減通聖散) /  양매창(楊梅瘡)
가감통성환(加減通聖丸) /  양매창(楊梅瘡)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1] /  수혈(嗽血)타혈(唾血)
가미익모환(加味益母丸) /  무자(無子)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2] /  온독발반(溫毒發斑)온역(瘟疫)
갈근맥문동산(葛根麥門冬散) /  반진(斑疹)
거풍제습탕(祛風除濕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견비탕(蠲痺湯) /  냉비(冷痺)
결명산(決明散) /  안목적종(眼目赤腫)예막(翳膜)
경효산(輕效散) /  안피물타당(眼被物打撞)혈관동인(血灌瞳仁)예막(翳膜)
계령탕(桂苓湯) /  혈분증(血分證)
계지도인탕(桂枝桃仁湯) /  한산(寒疝)
계지작약탕(桂枝芍藥湯) /  태양학(太陽瘧)열학(熱瘧)
궁귀별갑산(芎歸鱉甲散) /  노학(勞瘧)
귀출파징탕(歸朮破徵湯) /  월경불통(月經不通)혈가(血瘕)
기진탕(芪蔯湯) /  황한(黃汗)
남엽산(藍葉散) /  단독(丹毒)
내소승마탕(內消升麻湯) /  부골저(附骨疽)
내소황련탕(內疏黃連湯) /  옹저(癰疽)
내탁백렴산(內托白斂散) /  담핵(痰核)
내탁복전산(內托復煎散) /  음저(陰疽)
내탁천금산(內托千金散) /  악창(惡瘡)옹저(癰疽)
누로음자(漏蘆飮子) /  부골저(附骨疽)악창(惡瘡)
단삼고(丹蔘膏) /  유옹궤후불렴(乳癰潰後不斂)
당귀산(當歸散)[1] /  부인요혈(婦人尿血)
당귀수산(當歸鬚散) /  타박상(打撲傷)혈결흉(血結胸)
당귀음(當歸飮) /  혈수(血嗽)
당귀음자(當歸飮子) /  개선(疥癬)악창(惡瘡)
당귀활혈탕(當歸活血湯) /  기체(氣滯)혈울(血鬱)
대고삼환(大苦蔘丸) /  염창(臁瘡)면창(面瘡)
대연교음(大連翹飮) /  소아제창(小兒諸瘡)
도계당귀환(桃桂當歸丸) /  산후사한사열(産後乍寒乍熱)산후요통(産後腰痛)
도씨생지금련탕(陶氏生地芩連湯) /  육혈(衄血)
도적원(導赤元) /  소변불통(小便不通)
도적지유탕(導赤地楡湯) /  적리(赤痢)혈리(血痢)
동원탁리산(東垣托裏散) /  내저(內疽)위완옹(胃脘癰)
마황승마탕(麻黃升麻湯)[1] /  상한육혈(傷寒衄血)
마황승마탕(麻黃升麻湯)[2] /  구설(久泄)
만형자산(蔓荊子散) /  이명(耳鳴)이롱(耳聾)
목단피탕(牡丹皮湯)[2] /  폐옹(肺癰)
목향산(木香散)[1] /  활설(滑泄)
방풍당귀음자(防風當歸飮子) /  하초열(下焦熱)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백지탕(白芷湯) /  위열치통(胃熱齒痛)풍치(風齒)
보진탕(保眞湯) /  골증(骨蒸)조열(潮熱)유정(遺精)
복령조혈탕(茯苓調血湯) /  요혈(尿血)
복신탕(茯神湯)[2] /  언어섬란(言語譫亂)부인귀교(婦人鬼交)
부평산(浮萍散)[2] /  나창(癩瘡)개선(疥癬)
비방탈명산(秘方奪命散) /  무명종독(無名腫毒)옹저(癰疽)
비약환(脾約丸) /  비약증(脾約證)
사간탕(射干湯)[2] /  위완옹(胃脘癰)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  목적종통(目赤腫痛)운예(雲翳)
사순청량음(四順淸凉飮) /  혈열(血熱)
사양보음탕(瀉陽補陰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사위탕(瀉胃湯)[2] /  위열치통(胃熱齒痛)
산치지황탕(山梔地黃湯) /  담수(痰嗽)타혈(唾血)
삼황패독산(三黃敗毒散) /  천포창(天疱瘡)양매창(楊梅瘡)
생료사물탕(生料四物湯) /  소아제창(小兒諸瘡)
생서산(生犀散) /  골증(骨蒸)
생지금련탕(生地芩連湯) /  실혈현훈(失血眩暈)
생지황산(生地黃散) /  안피물타당(眼被物打撞)
생지황탕(生地黃湯)[2] /  태열(胎熱)
서각음자(犀角飮子) /  농이(膿耳)이롱(耳聾)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  육혈(衄血)토혈(吐血)
서경탕(舒經湯) /  견비통(肩臂痛)
서금산(瑞金散) /  월경불통(月經不通)
석결명산(石決明散)[1] /  해정(蟹睛)선라풍(旋螺風)
석위산(石韋散) /  임(淋)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  옹저(癰疽)악창(惡瘡)
선복화탕(旋覆花湯) /  산후천급(産後喘急)
선응고(善應膏)[1] /  악창(惡瘡)
선응고(善應膏)[2] /  악창(惡瘡)
섬료오림산(澹寮五淋散) /  오림(五淋)
성산자(聖散子) /  역려(疫癘)습온(濕溫)풍온(風溫)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안목적종(眼目赤腫)풍열(風熱)
세심산(洗心散) /  구설생창(口舌生瘡)중초열(中焦熱)
세안탕(洗眼湯) /  목적종통(目赤腫痛)
소감패독산(消疳敗毒散) /  하감창(下疳瘡)
소독탕(消毒湯) /  두후옹절(痘後癰癤)
소방산(蘇方散) /  변옹(便癰)
소어음(消瘀飮) /  어혈복통(瘀血腹痛)
소조경산(小調經散) /  산후부종(産後浮腫)
소풍패독산(消風敗毒散) /  양매창(楊梅瘡)천포창(天疱瘡)
소풍해독산(疎風解毒散) /  편신생창(遍身生瘡)
소풍화담탕(疏風化痰湯) /  나력(瘰癧)
소해산(消解散) /  후균(喉菌)후류(喉瘤)
승마탕(升麻湯)[1] /  비사(鼻齄)
승마화기음(升麻和氣飮) /  개선(疥癬)
시향산(柴香散) /  비괴(痞塊)징가(癥瘕)
시호궁귀탕(柴胡芎歸湯) /  야발음학(夜發陰瘧)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1] /  삼음경온학(三陰經溫瘧)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2] /  산후발열(産後發熱)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2] /  온역(瘟疫)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시호연교탕(柴胡連翹湯) /  상한섬어(傷寒譫語)발열(發熱)
시호음자(柴胡飮子) /  간실열(肝實熱)
시호탕(柴胡湯) /  간화성목적종통(肝火盛目赤腫痛)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1] /  축혈(畜血)열입혈실(熱入血室)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2] /  산후오로불하(産後惡露不下)산후발열(産後發熱)
신기산(神奇散)[1] /  열격(噎膈)반위(反胃)
신선태을고(神仙太乙膏) /  동창(凍瘡)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상한양감(傷寒兩感)온역(瘟疫)
십미도적산(十味導赤散) /  구설생창(口舌生瘡)심열(心熱)
십신탕(十神湯)[1] /  상한표증(傷寒表證)
십신탕(十神湯)[2] /  온역(瘟疫)
쌍해산(雙解散)[1] /  상한표리불해(傷寒表裏不解)
양독치자탕(陽毒梔子湯) /  상한양독(傷寒陽毒)
양혈음(凉血飮)[2] /  심옹(心癰)
양혈음(凉血飮)[3] /  혈열생창(血熱生瘡)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3] /  산후발열(産後發熱)
억음지황환(抑陰地黃丸)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연교음(連翹飮) /  악창(惡瘡)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  역절풍(歷節風)
영양각산(羚羊角散)[3] /  해정(蟹睛)
영위반혼탕(榮衛返魂湯) /  옹저(癰疽)발배(發背)
오금산(烏金散)[2] /  산후혈훈(産後血暈)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
오림산(五淋散) /  오림(五淋)
옥촉산(玉燭散)[2] /  변옹(便癰)
용담탕(龍膽湯)[2] /  소아기병(小兒鬾病)
운모고(雲母膏)[1] /  골저(骨疽)내저(內疽)나력(瘰癧)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유향정통산(乳香定痛散) /  상손동통(傷損疼痛)
유향진통산(乳香趂痛散) /  좌섬요통(挫閃腰痛)
음학환(陰瘧丸) /  야발음학(夜發陰瘧)해학(痎瘧)
이활산(二活散) /  정창(釘瘡)
인삼청기산(人蔘淸肌散) /  무한(無汗)골증(骨蒸)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2] /  혈풍(血風)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  폐허(肺虛)
입응산(立應散) /  나력(瘰癧)마도창(馬刀瘡)
자운풍환(紫雲風丸) /  자전풍(紫癜風)자운풍(紫雲風)
작약탕(芍藥湯)[2] /  구창(口瘡)
저성탕(抵聖湯) /  산후구토(産後嘔吐)
적복령탕(赤茯苓湯) /  소장열(小腸熱)
적소두탕(赤小豆湯) /  수종(水腫)창개(瘡疥)
전생호골산(全生虎骨散) /  반신불수(半身不遂)중풍(中風)
정통산(定痛散)[2] /  역절풍(歷節風)
조경탕(調經湯) /  축혈(畜血)
조태산(罩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죽엽황기탕(竹葉黃芪湯) /  옹저번갈(癰疽煩渴)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 /  혈림(血淋)
지모마황탕(知母麻黃湯) /  상한괴증(傷寒壞症)
지유산(地楡散)[3] /  적리(赤痢)혈리(血痢)
지황산(地黃散)[1] /  혼정장(混睛障)
창귤탕(蒼橘湯) /  주습(酒濕)
천궁복령탕(川芎茯苓湯) /  착비(着痺)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  옹저(癰疽)장옹(腸癰)유옹(乳癰)
천금누로탕(千金漏蘆湯) /  내저(內疽)정창(釘瘡)발배(發背)
천금소독산(千金消毒散) /  정창(釘瘡)
천화산(天花散)[2] /  나력(瘰癧)
청뉵탕(淸衄湯) /  육혈(衄血)
청단죽엽탕(淸膻竹葉湯) /  옹저번갈(癰疽煩渴)
청심산(淸心散) /  심옹(心癰)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  습각기(濕脚氣)
청열소독음(淸熱消毒飮) /  창양양증(瘡瘍陽證)
청열자음탕(淸熱滋陰湯) /  변혈(便血)요혈(尿血)
청열해기탕(淸熱解肌湯) /  천행온역(天行瘟疫)
청열해독탕(淸熱解毒湯) /  토혈(吐血)육혈(衄血)
청장탕(淸腸湯) /  요혈(尿血)
청폐산(淸肺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
청폐탕(淸肺湯)[1] /  타혈(唾血)
청혈사물탕(淸血四物湯) /  비사(鼻齄)주사비(酒齄鼻)
청화자음탕(淸火滋陰湯) /  객혈(喀血)토혈(吐血)타혈(唾血)
축어탕(逐瘀湯) /  치(痔)
치자청간탕(梔子淸肝湯) /  결핵(結核)
침향산(沈香散) /  기림(氣淋)
침향음(沈香飮)[1] /  기림(氣淋)
탈명환(奪命丸) /  사태불하(死胎不下)
탕포산(湯泡散)[1] /  안적종통(眼赤腫痛)화예(花瞖)
탕포산(湯泡散)[2] /  안적종통(眼赤腫痛)화예백함(花瞖白陷)
태을고(太乙膏) /  오발옹저(五發癰疽)탕화상(燙火傷)
통령산(通靈散) /  구종심통(九種心痛)
통명산(通明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통초탕(通草湯)[2] /  유즙불행(乳汁不行)
통혈환(通血丸) /  혈관동인(血灌瞳仁)
퇴열탕(退熱湯) /  야간발열(夜間發熱)
파혈단(破血丹) /  설단(舌斷)
팔미흑신산(八味黑神散) /  혈훈(血暈)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
해독금화산(解毒金花散) /  농혈리(膿血痢)
해독탕(解毒湯)[2] /  옹저(癰疽)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 /  기울(氣鬱)
현호색산(玄胡索散) /  혈결흉(血結胸)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2] /  비연(鼻淵)
호박산(琥珀散)[3] /  결핵(結核)나력(瘰癧)
홍보고(洪寶膏) /  독종(毒腫)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  중설(重舌)구창(口瘡)
홍화당귀산(紅花當歸散)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화류고(化瘤膏) /  영류(瘿瘤)
화중음(和中飮) /  구리(久痢)적백리(赤白痢)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활혈산(活血散)[1] /  도창상(刀槍傷)
황금탕(黃芩湯)[1] /  비창(鼻瘡)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허로(虛勞)노손(勞損)
황련탕(黃連湯)[1] /  설종(舌腫)
황련통성산(黃連通聖散) /  비연(鼻淵)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2] /  대열(大熱)번조(煩躁)
황룡탕(黃龍湯)[1] /  임신상한(妊娠傷寒)
회춘양격산(回春凉膈散) /  구설생창(口舌生瘡)
흑신산(黑神散)[3] /  산후발열(産後發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