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Fuligo |
약재의 효능 | 생기지혈(生肌止血) (기육(肌肉)을 생기게 하고 지혈(止血)하는 효능임.) |
건비조습(健脾燥濕)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습(濕)을 말리는 효능임) | |
소식적(消食積) (식적(食積)을 치료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성미 | 신(辛) , 온(溫) |
약재사용처방 | 과저묵(鍋底墨) / 곽란(霍亂) |

라틴명 | Cineres Foci |
약재의 효능 | 제류(除瘤) |
약재사용처방 | 노회고(爐灰膏)[1] / 흑지(黑痣) |
노회고(爐灰膏)[2] / 악창(惡瘡) | |
노회고(爐灰膏)[3] / 옹저(癰疽) , 악창(惡瘡) | |
체침환(替鍼丸)[1] / 옹저(癰疽) |

라틴명 | Fuligo |
약재의 효능 | 생기지혈(生肌止血) (기육(肌肉)을 생기게 하고 지혈(止血)하는 효능임.) |
건비조습(健脾燥濕)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습(濕)을 말리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성미 | 신고(辛苦) , 온(溫) |
약재사용처방 | 흑노환(黑奴丸)[1] / 상한양독(傷寒陽毒) |
흑노환(黑奴丸)[2] / 온역(瘟疫) |

라틴명 | Pulvis Fumi Carbonisatus |
약재의 효능 | 생기지혈(生肌止血) (기육(肌肉)을 생기게 하고 지혈(止血)하는 효능임.) |
건비조습(健脾燥濕)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습(濕)을 말리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성미 | 신고(辛苦) , 온(溫) |
약재사용처방 | 백묵산(柏墨散) / 제풍(臍風) |

라틴명 | Soap |
약재의 효능 | 연견(軟堅) (대변(大便)이나 종괴(腫塊) 등의 딱딱하게 굳은 것을 무르게 해주는 효능임) |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 |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 |
거예(去翳) (예(翳)를 제거하는 효능임) | |
거습(祛濕) (약재를 이용하여 습사(濕邪)를 없애는 것임) | |
살치충(殺齒蟲) (치아의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세구니(洗垢膩) (기름때를 씻어내는 효능임) | |
난기육(爛肌肉) (피부와 근육이 문드러진 병증임.) | |
궤옹저(潰癰疽) (옹저(癰疽)를 터뜨리는 효능임) | |
성미 | 온(溫) , 함고(鹹苦) |
주의사항 | 청호(靑蒿)와 수료(水蓼)의 회즙(灰汁)에 소맥분(小麥粉) 등을 섞어 만든 고형물. 하리(下痢), 위약(胃弱) 증상이 있으면 복용하지 말 것. |
약재사용처방 | 화괴환(化塊丸) / 혈괴(血塊) , 비괴(痞塊)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