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Mantidis Ootheca |
약재의 효능 |
보신(補腎)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
|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정경간(定驚癎)
(놀라서 간질(癎疾)이 난 것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화응체(化凝滯)
(응결되고 정체된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축뇨(縮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
|
통오림(通五淋)
(오림(五淋)을 소통시켜 소변이 잘 나가게 하는 효능임)
|
|
지탁(止濁)
|
|
고포지유(枯泡止遺)
(방광을 고삽(固澁)하고 유뇨(遺尿)를 멈추는 효능임)
|
|
보심완간(補心緩肝)
(심(心)을 보하고 간(肝)기능을 완화하는 효능임)
|
|
고신익정(固腎益精)
(신(腎)을 튼튼하게 하고 정(精)을 더해주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
양신(養神)
(신(神)을 길러주는 치료 방법임.)
|
|
영인유자(令人有子)
(부인을 임신시키게 한다는 의미를 가리키는 용어임.)
|
작용부위 |
간(肝)
, 방광(膀胱)
, 신(腎)
|
성미 |
감(甘)
, 평(平)
, 함(鹹)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알이 들어있는 벌레집. 쪄서 말림. 음허다화자(陰虛多火者)는 쓰지 말 것. |
약재사용처방 |
계장산(鷄腸散) /
소아유뇨(小兒遺尿)
|
|
금박환(金箔丸) /
몽설(夢泄)
, 백음(白淫)
|
|
녹각산(鹿角散)[1] /
몽설(夢泄)
|
|
대토사자원(大兎絲子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 포기불고(胞氣不固)
|
|
묘응환(妙應丸)[2] /
적백탁(赤白濁)
|
|
비정원(秘精元) /
소변백탁(小便白濁)
|
|
상표소(桑螵蛸)[1] /
누정(漏精)
|
|
상표소(桑螵蛸)[2] /
누정(漏精)
|
|
상표소(桑螵蛸)[3] /
유뇨(遺尿)
, 백탁(白濁)
|
|
상표소(桑螵蛸)[4] /
임신소변불금(妊娠小便不禁)
|
|
상표소산(桑螵蛸散)[1] /
소변백탁(小便白濁)
|
|
상표소산(桑螵蛸散)[2] /
산후임력(産後淋瀝)
, 유뇨(遺尿)
|
|
상표소산(桑螵蛸散)[3] /
산후임력(産後淋瀝)
|
|
쇄양단(鎖陽丹) /
탈정(脫精)
, 활정(滑精)
|
|
파극환(巴戟丸)[2] /
포비(胞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