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지황(熟地黃) / 지황

 익생양술에서 "지황"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숙지황(熟地黃) / 지황"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
20~30cm 취급요령 날것 또는 말리거나 쪄서 쓴다.
생지 밭에서 재배 성미 따뜻하며, 달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근(어린뿌리) 1회사용량 뿌리 10~15g
약효 뿌리 사용범위 많이 먹어도 해롭지 않다.
동속약초 백지황
뿌리잎은 뭉쳐나고 긴 타원형인데 끝이 둔하고 밑이 좁아지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앞면은 오목오목 들어가 주름이 져 있으며 뒷면은 맥이 튀어나와 그물처럼 된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난다.
6~7월에 홍자색 꽃이 꽃줄기 끝에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줄기에는 잎처럼 생긴 꽃턱잎이 달리며 전체적으로 끈적끈적한 털이 빽빽하게 난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5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삼각형이고 샘털이 있다. 꽃부리는 통 모양이고 샘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져 퍼지면서 입술 모양을 이룬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다.
열매
10월에 타원형의 삭과를 맺는데 익으면 껍질이 벌어진다.
특징 및 사용
하(芐)ㆍ기(芑)ㆍ지수(地髓)라고도 한다. 육질의 굵은 뿌리가 옆으로 뻗으며 자라는데 적갈색을 띤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고 샘털이 있다. 지황의 생뿌리를 물에 담가서 물에 뜨는 것은 천황(天黃), 반쯤 뜨고 반쯤 가라앉는 것은 인황(人黃), 완전히 가라앉는 것은 지황(地黃)이라 하였다. 이 중에서 물에 가라앉는 것이 좋고, 반쯤 가라앉는 것이 다음이며, 물에 뜨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하였다. 이처럼 가라앉는 것이 귀한 약이므로 밑으로 가라앉을 하(下)라고 부르다가 하(芐)로 변했다고 한다. 생뿌리를 생지황(生地黃), 말린 뿌리를 건지황(乾地黃), 아홉 번 쪄서 아홉 번 말린 것(九蒸九曝 : 구증구포)을 숙지황(熟地黃)이라고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쪄서 말려 쓰고, 술을 담글 때는 생으로 쓴다. 복용 중에 녹두나물ㆍ무ㆍ연근ㆍ용담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구리나 철로 된 도구를 쓰지 않는다.
숙지황(熟地黃) / 숙지황
라틴명 Rehmanniae Radix et Rhizoma Preparata
약재의 효능 자보간신(滋補肝腎)  (간신(肝腎)을 기르고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양혈(養血)  (보혈약(補血藥)을 사용하여 혈(血)을 자양(滋養)하는 효능임)
보허(補虛)  (허한 것을 보하는 효능임)
전골수(塡骨髓)  (골수(骨髓)를 보충하는 효능임)
자음양혈(滋陰養血)  (음기(陰氣)를 기르고 혈(血)을 기르는 효능임)
통신장수(通腎壯水)  (신기(腎氣)를 소통시키고 수(水)의 기운을 길러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성미 감(甘) , 미온(微溫)
약전기재 대한약전 , 중국약전
주의사항 뿌리를 찐 것. 복용중 무를 먹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가감감로음(加減甘露飮) /  구취(口臭)구창(口瘡)아선(牙宣)
가감고본환(加減固本丸) /  노인혼모(老人昏冒)
가감보음환(加減補陰丸) /  음허(陰虛)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2] /  음허노손(陰虛勞損)
가감신기환(加減腎氣丸) /  신소(腎消)
가감윤조탕(加減潤燥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가감주경원(加減駐景元) /  내장(內障)
가감진심단(加減鎭心丹) /  탈영실정(脫營失精)
가감팔미원(加減八味元) /  소갈전변증(消渴傳變證)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  신수부족(腎水不足)
가구자원(家韭子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가미고본환(加味固本丸) /  실음(失音)어성중탁(語聲重濁)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탄탄(癱瘓)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  음허(陰虛)
가미사군자탕(加味四君子湯)[1] /  허설(虛泄)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1] /  혈허현훈(血虛眩暈)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2] /  붕루(崩漏)경단부행(經斷復行)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4] /  쌍유아(雙乳蛾)단유아(單乳蛾)후비(喉痺)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5] /  양각위연(兩脚痿軟)
가미신기환(加味腎氣丸) /  신허부종(腎虛浮腫)수종(水腫)
가미십전대보탕(加味十全大補湯) /  허로(虛勞)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  옹저(癰疽)
가미양영환(加味養榮丸) /  무자(無子)태동불안(胎動不安)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2] /  허번불수(虛煩不睡)심허담겁(心虛膽怯)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감리고(坎離膏)[1] /  수혈(嗽血)토혈(吐血)
감리고(坎離膏)[2] /  음허화동(陰虛火動)
감리기제환(坎離旣濟丸) /  음허화동(陰虛火動)노손(勞損)
강심단(降心丹) /  건망(健忘)
강심탕(降心湯) /  격소(膈消)
강활속단탕(羌活續斷湯) /  각기(脚氣)
개울사물탕(開鬱四物湯) /  붕루(崩漏)
거풍지보단(祛風至寶丹) /  혼모(昏冒)풍중장(風中臟)
경험이방음(經驗二防飮) /  학슬풍(鶴膝風)이후각통(痢後脚痛)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  신허불임(腎虛不姙)
고본환정환(固本還睛丸) /  난현풍(爛弦風)예막차정(藝膜遮睛)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  경계(驚悸)정충(怔忡)심허(心虛)
고진음자(固眞飮子) /  오심번열(五心煩熱)음양구허(陰陽俱虛)
곡령환(谷靈丸) /  부인수척(婦人瘦瘠)
교애사물탕(膠艾四物湯) /  태루(胎漏)
교애탕(膠艾湯) /  태루(胎漏)
구룡단(九龍丹) /  정활(精滑)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  정충(怔忡)유정(遺精)적탁(赤濁)허로(虛勞)
국정원(菊睛元) /  예막(翳膜)안화(眼花)
궁궁산(芎藭散)[1] /  풍훈(風暈)간허두훈(肝虛頭暈)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 /  산후발열(産後發熱)
기제환(旣濟丸)[1] /  방광허한(膀胱虛寒)소변불금(小便不禁)
기제환(旣濟丸)[2] /  소변불금(小便不禁)포기불고(胞氣不固)
내보환(內補丸) /  태동불안(胎動不安)
냉보환(冷補丸) /  이롱(耳聾)신허요통(腎虛腰痛)
녹각교환(鹿角膠丸)[2] /  족위(足痿)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  양허(陽虛)허손(虛損)
녹용사근환(鹿茸四斤丸) /  근골위약(筋骨痿弱)신연(身軟)
녹용환(鹿茸丸) /  소갈(消渴)신허(腎虛)
당귀고(當歸膏) /  오로(五勞)허손(虛損)칠상(七傷)
당귀기생탕(當歸寄生湯) /  태루(胎漏)태동불안(胎動不安)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4] /  경계(驚悸)조잡(嘈雜)정충(怔忡)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  열격(噎膈)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  도한(盜汗)음허화왕(陰虛火旺)
당귀윤조탕(當歸潤燥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1] /  붕루(崩漏)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1] /  도한(盜汗)기혈양허(氣血兩虛)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3] /  태동불안(胎動不安)
당귀화혈탕(當歸和血湯) /  장풍(腸風)
대방풍탕(大防風湯) /  학슬풍(鶴膝風)
대보음환(大補陰丸) /  음허화동(陰虛火動)
대산우원(大山芋元) /  노손(勞損)비위허약(脾胃虛弱)
대아교원(大阿膠元) /  타혈(唾血)노수(勞嗽)토혈(吐血)
대오보환(大五補丸) /  심허(心虛)
대진교탕(大秦芄湯) /  중풍(中風)설강(舌强)탄탄(癱瘓)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  각기(脚氣)
만금탕(萬金湯) /  허증(虛症)사지불수(四肢不遂)중풍(中風)
명목지황환(明目地黃丸) /  노인안혼(老人眼昏)예막차정(藝膜遮睛)
명안지황환(明眼地黃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무극환(無極丸) /  아침통(兒枕痛)경폐(經閉)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1] /  신허(腎虛)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2] /  오로(五勞)허로(虛勞)칠상(七傷)
묵부환(墨附丸) /  월경부조(月經不調)무사(無嗣)
반룡단(斑龍丹) /  허로(虛勞)
반하복령탕(半夏茯苓湯)[2] /  오조(惡阻)
방풍당귀산(防風當歸散)[2] /  산후풍치(産後風痓)
백자부귀환(百子附歸丸) /  월수부조(月水不調)무자(無子)
백자인산(柏子仁散)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보간산(補肝散)[2] /  원예(圓翳)
보간산(補肝散)[3] /  음허생예(陰虛生翳)
보간환(補肝丸) /  간허(肝虛)
보골지환(補骨脂丸) /  노롱(勞聾)
보기생혈탕(補氣生血湯) /  장창(杖瘡)
보명생지황산(保命生地黃散) /  변혈(便血)육혈(衄血)요혈(尿血)토혈(吐血)
보수고(補髓膏) /  허로(虛勞)
보신양비환(補腎養脾丸) /  허로(虛勞)
보신지황원(補腎地黃元) /  신소(腎消)
보신환(補腎丸)[2] /  안목혼암(眼目昏暗)내장(內障)
보신환(補腎丸)[3] /  이명(耳鳴)
보양탕(補陽湯) /  예막(翳膜)
보영탕(補榮湯) /  실혈(失血)
보음사화탕(補陰瀉火湯) /  담수(痰嗽)음허화동(陰虛火動)도한(盜汗)조열(潮熱)
보음산(補陰散)[1] /  음허화동(陰虛火動)
보음산(補陰散)[2] /  음허화동(陰虛火動)
보음환(補陰丸)[1] /  음허화동(陰虛火動)
보음환(補陰丸)[2] /  객혈(喀血)음허화동(陰虛火動)몽설(夢泄)도한(盜汗)조열(潮熱)
보익양영탕(補益養榮湯) /  기혈양허(氣血兩虛)칠상(七傷)오로(五勞)
보중승독병(補中勝毒餠) /  나력(瘰癧)마도창(馬刀瘡)
보진탕(保眞湯) /  유정(遺精)골증(骨蒸)조열(潮熱)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  방로상(房勞傷)허로(虛勞)
보폐탕(補肺湯) /  노수(勞嗽)
보허음(補虛飮) /  담연옹성(痰涎壅盛)기훈(氣暈)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1] /  노심토혈(勞心吐血)
복령탕(茯苓湯)[3] /  자종(子腫)
복룡간산(伏龍肝散) /  오색대하(五色帶下)제복냉통(臍腹冷痛)붕루(崩漏)
본사방양간원(本事方羊肝元) /  내장(內障)청맹(靑盲)
비화탕(備化湯) /  각련(脚攣)온려(瘟癘)심복진창(心腹䐜脹)혈일(血溢)
사물고련탕(四物苦練湯) /  제복냉통(臍腹冷痛)
사물안신탕(四物安神湯) /  정충(怔忡)
사물오자원(四物五子元) /  안목혼암(眼目昏暗)
사물이련탕(四物二連湯) /  야간조열(夜間潮熱)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혈가(血瘕)
사물탕(四物湯) /  실혈(失血)
사혈탕(瀉血湯) /  야간발열(夜間發熱)
삼귀양영탕(蔘歸養榮湯)[1] /  음치(陰痔)풍담치(風痰痓)
삼귀양영탕(蔘歸養榮湯)[2] /  학질(瘧疾)
삼귀익원탕(蔘歸益元湯) /  주하(疰夏)
삼기보폐탕(蔘芪補肺湯) /  폐옹(肺癰)
삼기탕(蔘芪湯)[1] /  자한(自汗)
삼기탕(蔘芪湯)[3] /  소변불금(小便不禁)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한산(寒疝)방광병(膀胱病)
삼일신기환(三一腎氣丸) /  신허(腎虛)
삼재환(三才丸) /  망혈(亡血)탈혈(脫血)
삼출음(蔘朮飮)[1] /  전포(轉胞)
삼출음(蔘朮飮)[2] /  자림(子淋)
삼합탕(三合湯)[2] /  허로(虛勞)
삼황보혈탕(三黃補血湯) /  토혈(吐血)육혈(衄血)
생숙지황환(生熟地黃丸)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
생지황음자(生地黃飮子) /  소갈(消渴)
생진보혈탕(生津補血湯) /  소아열격(小兒熱膈)
생혈윤부음(生血潤膚飮) /  조증(燥證)
서련환(瑞蓮丸)[2] /  허로(虛勞)
성유탕(聖愈湯) /  옹저(癰疽)
소안신환(小安腎丸) /  신허요통(腎虛腰痛)이명(耳鳴)
속명자산(續命煮散) /  중풍(中風)허증(虛症)
속사단(續嗣丹) /  무사(無嗣)
숙건지황산(熟乾地黃散) /  산후허리(産後虛羸)
숙지황탕(熟地黃湯) /  산후발열(産後發熱)
숙지황환(熟地黃丸) /  안화(眼花)
승양보위탕(升陽補胃湯) /  장벽(腸澼)
승양제습화혈탕(升陽除濕和血湯) /  장벽(腸澼)
승준환(勝駿丸) /  각기(脚氣)
시제쌍보환(是齊雙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신기환(腎氣丸) /  신허(腎虛)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칠상(七傷)오로(五勞)
십사미건중탕(十四味建中湯) /  허로(虛勞)
십사우원(十四友元) /  신지불녕(神志不寧)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  자한(自汗)음양구허(陰陽俱虛)
쌍화탕(雙和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안영탕(安榮湯) /  반산(半産)
안태산(安胎散)[1] /  하혈(下血)태동불안(胎動不安)
안태음(安胎飮) /  태동불안(胎動不安)
야광육신환(夜光育神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양간환(養肝丸) /  임신목병(妊娠目病)내장(內障)
양혈사물탕(養血四物湯) /  조잡(嘈雜)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 /  양각위연(兩脚痿軟)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2] /  장벽(腸澼)
여선옹방(呂仙翁方) /  내장(內障)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수발조백(鬚髮早白)
영폐탕(寧肺湯) /  음허천급(陰虛喘急)
오금산(烏金散)[2] /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산후혈훈(産後血暈)
오미자탕(五味子湯)[1] /  청궐(淸厥)족위(足痿)
오보원(五補元) /  허로(虛勞)
옥촉산(玉燭散)[1] /  징가(癥瘕)월경불통(月經不通)
온경익원탕(溫經益元湯) /  상한망양(傷寒亡陽)
온신산(溫腎散) /  명문화쇠(命門火衰)요척통(腰脊痛)
온신환(溫腎丸) /  무사(無嗣)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1] /  허손(虛損)음위(陰痿)
올눌보천환(膃肭補天丸)[2] /  허로(虛勞)
용주환(茸珠丸) /  신허(腎虛)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 /  신허(腎虛)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  신음허(腎陰虛)
육합탕(六合湯) /  혈폐(血閉)
윤신환(潤腎丸) /  비신구허(脾腎俱虛)
윤폐활담영수탕(潤肺豁痰寧嗽湯) /  담수(痰嗽)음허천급(陰虛喘急)
응신음자(凝神飮子) /  노채(勞瘵)
이삼단(二蔘丹) /  건망(健忘)중풍(中風)
이지환(二至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익음신기환(益陰腎氣丸) /  신허내장(腎虛內障)
인삼구폐산(人參救肺散) /  토혈(吐血)
인삼당귀산(人蔘當歸散) /  산후발열(産後發熱)
인삼별갑산(人蔘鱉甲散) /  산후허리(産後虛羸)
인삼산(人蔘散)[2] /  주상(酒傷)
인삼양영탕(人蔘養榮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인삼오미자산(人蔘五味子散) /  음허천급(陰虛喘急)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허(腎虛)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2] /  잡병대맥(雜病代脈)
인숙산(仁熟散) /  담허(膽虛)
자보양영환(滋補養榮丸) /  간허(肝虛)
자석양신환(磁石羊腎丸) /  이롱(耳聾)
자신명목탕(滋腎明目湯) /  신허내장(腎虛內障)혈소신로(血少神勞)
자신백보환(滋腎百補丸) /  허로(虛勞)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1] /  음허화동(陰虛火動)신허(腎虛)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2] /  음허화동(陰虛火動)
자음강화환(滋陰降火丸) /  음허화동(陰虛火動)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자음백보환(滋陰百補丸) /  산후사한사열(産後乍寒乍熱)
자음영신탕(滋陰寧神湯) /  전간(癲癎)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 /  이롱(耳聾)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1] /  신허(腎虛)목혼(目昏)혈소신로(血少神勞)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2] /  허로(虛勞)토혈(吐血)육혈(衄血)해혈(咳血)
자음청화고(滋陰淸化膏) /  화수(火嗽)
자혈백보환(滋血百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자혈양근탕(滋血養筋湯) /  족위(足痿)
자혈탕(滋血湯) /  허로(虛勞)
전생활혈탕(全生活血湯) /  붕루(崩漏)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 /  양허(陽虛)
정향교애탕(丁香膠艾湯) /  백대(白帶)붕루(崩漏)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제음환(濟陰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  무사(無嗣)
조원산(調元散) /  행지(行遲)
종용우슬탕(蓯蓉牛膝湯) /  소복통(小腹痛)당설(溏泄)장명(腸鳴)
주경원(駐景元) /  예장(翳障)간신음허(肝腎陰虛)흑화(黑花)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1] /  혈가(血瘕)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2] /  혈적(血積)
증손낙령탕(增損樂令湯) /  양허(陽虛)
증익귀용원(增益歸茸元) /  신허(腎虛)
지지환(地芝丸) /  원시(遠視)
지황산(地黃散)[2] /  백막차정(白膜遮睛)목적종통(目赤腫痛)적예(赤翳)
지황산(地黃散)[3] /  두창입안(痘瘡入眼)
지황원(地黃元) /  독서손목(讀書損目)
지황음자(地黃飮子) /  중풍설음(中風舌瘖)
지황통경환(地黃通經丸) /  혈가(血瘕)월경불통(月經不通)
진교음자(秦艽飮子) /  여로달(女勞疸)
진주모환(眞珠母丸) /  허번불수(虛煩不睡)
천금보태환(千金保胎丸) /  반산(半産)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천지전(天地煎) /  허로(虛勞)정충(怔忡)
청간해울탕(淸肝解鬱湯) /  유방결핵(乳房結核)
청골산(淸骨散) /  골증(骨蒸)오심번열(五心煩熱)노채(勞瘵)
청리자감탕(淸離滋坎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청신보기탕(淸神補氣湯) /  소갈(消渴)
청타탕(淸唾湯) /  타혈(唾血)
청화보음탕(淸火補陰湯) /  허화상염(虛火上炎)인후종통(咽喉腫痛)
칠미총백산(七味蔥白散)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식복(食復)
침향백보환(沈香百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침향별갑산(沈香鱉甲散) /  허손(虛損)노상(勞傷)
탁리복령탕(托裏茯苓湯) /  옹저(癰疽)
탁리산(托裏散) /  옹저(癰疽)
탁리익기탕(托裏益氣湯) /  옹저허증(癰疽虛證)
태평환(太平丸) /  폐위(肺痿)허로(虛勞)
통경사물탕(通經四物湯) /  월경건기(月經愆期)
통유탕(通幽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파극환(巴戟丸)[1] /  탈정(脫精)
팔물탕(八物湯) /  기혈양허(氣血兩虛)
팔미보신환(八味補腎丸) /  신허(腎虛)
팔미환(八味丸) /  명문화쇠(命門火衰)
팔미흑신산(八味黑神散) /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혈훈(血暈)
팔보회춘탕(八寶回春湯) /  허증(虛症)중풍(中風)
평보진심단(平補鎭心丹) /  유정(遺精)백탁(白濁)경계(驚悸)
하간생지황산(河間生地黃散) /  육혈(衄血)토혈(吐血)객혈(喀血)타혈(唾血)
해울탕(解鬱湯) /  육혈(衄血)
현토고본환(玄菟固本丸)[2] /  신허(腎虛)
혈풍탕(血風湯) /  산후풍치(産後風痓)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1] /  포랭무자(胞冷無子)
호잠환(虎潛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혼원단(混元丹) /  허로이수(虛勞羸瘦)
화통탕(和痛湯) /  반산(半産)
화혈윤장탕(和血潤腸湯) /  대변비결(大便秘結)
환소단(還少丹) /  음위(陰痿)
환원추석환(還元秋石丸) /  수발조백(鬚髮早白)
환정환(還睛丸)[2] /  안화(眼花)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활혈윤조생진음(活血潤燥生津飮) /  소갈(消渴)
황기십보탕(黃芪十補湯) /  음양구허(陰陽俱虛)
황기익손탕(黃耆益損湯) /  허로(虛勞)
황토탕(黃土湯) /  선대변후하혈(先大便後下血)
후감리환(後坎離丸) /  유정(遺精)조열(潮熱)담수(痰嗽)음허화동(陰虛火動)
흑룡단(黑龍丹)[1] /  사태불하(死胎不下)난산(難産)
흑신산(黑神散)[3] /  산후발열(産後發熱)
흑지황환(黑地黃丸) /  치(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