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발(蓽撥) / 필발
라틴명 | Piperis Longi Fructus |
약재의 효능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보요각(補腰脚) (허리와 다리를 보하는 효능임) | |
개울(開鬱) (막힌 것을 열어주는 효능임) | |
해성기(解腥氣) (비린 맛과 기운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치두통비연(治頭痛鼻淵) |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위(胃) |
성미 | 신(辛) , 열(熱)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미숙과(未熟果) |
약재사용처방 | 개소산(開笑散) / 풍랭치통(風冷齒痛) |
곡래소거산(哭來笑去散) / 아치종통(牙齒腫痛) | |
묘응단(妙應丹)[1] / 징가(癥瘕) , 식적(食積) | |
세신탕(細辛湯) / 아치종통(牙齒腫痛) | |
소감원(蘇感元) / 구리(久痢) , 적리(積痢) | |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5] / 초생곡도무공(初生穀道無孔) | |
소청원(蘇靑元) / 풍담(風痰) | |
소합향원(蘇合香元)[1] / 중기(中氣) , 기통(氣痛) , 기역(氣逆) | |
소합향원(蘇合香元)[2] / 귀매(鬼魅) , 시주(尸注) | |
온풍산(溫風散) / 풍랭치통(風冷齒痛) | |
우여량환(禹餘粮丸) / 활설(滑泄) | |
우유탕(牛乳湯) / 기리(氣痢) | |
지천원(止喘元) / 냉천(冷喘) | |
찰아방(擦牙方)[1] / 치통(齒痛) | |
필발병(蓽撥餠) / 비색(鼻塞) | |
향초산(香椒散) / 치통(齒痛)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