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제주도, 남부 지방 | 채취기간 | 여름~가을(개화기) |
키 | 10~15cm | 취급요령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산과 들의 그늘진 곳 | 성미 | 차며, 맵고 쓰다. |
분류 | 상록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8~10g |
약효 | 온포기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선피막이ㆍ큰피막이ㆍ큰잎피막이의 온포기 |
잎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다. 잎몸은 쟁반처럼 둥근 원형으로서 5~9개로 얕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의 가장자리에 이빨 모양의 뭉뚝한 톱니가 있으며 잎 밑은 심장 밑 모양이다.
꽃
7~8월에 흰색 또는 자주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3~5송이씩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양성화이다. 꽃은 밑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핀다.
열매
9~10월에 동글납작한 달걀꼴의 분과가 달려 익는다.
특징 및 사용
석호유(石胡荽)ㆍ아불식초(鵝不食草)ㆍ야원유(野園荽)라고도 한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땅 위에 붙어 뻗어 나가는데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나온다. 방향성이 있다. 사방용ㆍ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줄기가 옆으로 뻗어 나가면서 계속 뿌리를 내리기 때문에 토사 유출 위험이 있는 곳에 심으면 좋다. 온포기를 지혈제로 쓰기 때문에 피의 출혈을 막는 풀이라 하여 피막이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즉, 지혈초(止血草)라는 뜻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간과 신장 질환을 다스리며, 각종 종기의 독증을 풀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