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괴불주머니

 익생양술에서만 "자주괴불주머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제주도, 남부 지방 채취기간 5∼6월
20∼50cm 취급요령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기슭의 그늘진 곳 성미 차며, 쓰다.
분류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있다.
번식 1회사용량 15∼20g
약효 뿌리ㆍ온포기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뿌리잎은 모여나며 잎자루가 길고 작은 잎이 3장씩 두 번 나오는 2회 3출 겹잎인데 작은 잎은 더 불규칙하게 갈라져 있다. 작은 잎은 길이 3~8cm인 삼각 모양의 원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뿌리잎과 비슷하지만 잎자루가 짧다.
4~5월에 길이 4~12cm의 홍자색 꽃이 원줄기 끝에서 부채 모양으로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부리의 한쪽이 입술 모양으로 넓게 퍼지고 다른 한쪽은 상투로 된다. 꽃은 좌우 대칭인 통꽃인데 4개의 꽃잎 가운데 바깥 둘레의 위쪽 꽃잎 밑 부분은 떨어져 있다. 수술은 6개가 3개씩 둘로 갈라진다.
열매
6∼7월에 길이 15mm, 나비 3~5mm인 긴 타원형의 삭과가 달려 익는데 검게 윤이 나는 씨가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만다라화(蔓陀羅華)ㆍ자주현호색ㆍ자근ㆍ자주뿔꽃ㆍ자지괴불주머니라고도 한다. 뿌리는 긴 타원형이고 잔뿌리가 많이 난다. 줄기는 모여나고 능선이 있어 모가 지며 가지가 갈라진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짓이겨 붙이거나 달여서 김을 쏘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외상 치료에 효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