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계수

 익생양술에서만 "월계수"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남부 지방 채취기간 9~10월
8~20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양지바른 곳에서 재배 성미 따뜻하며, 맵고 달다.
분류 상록 활엽 교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실생ㆍ꺾꽂이 1회사용량 1~2g(가루)
약효 열매ㆍ가지ㆍ잎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고 딱딱하며 길이 5~8cm, 나비 2~2.5cm의 긴 타원형 또는 댓잎피침형으로서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10~12개의 측맥이 있다. 잎을 비비면 독특한 향기가 난다.
4~5월에 엷은 황색으로 피는데 작은 꽃들이 잎겨드랑이에서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모여 달린다. 암수딴그루이다. 꽃부리는 4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거꿀달걀꼴이다. 꽃잎은 4개, 수술은 8~14개이다. 1개인 암술은 짧으며 암술머리는 약간 둥글다.
열매
9~10월에 타원처럼 생긴 공 모양의 장과가 달려 검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길이 약 1.5cm이며 앵두처럼 생겼다.
특징 및 사용
감람수ㆍ감람나무ㆍ월계라고도 한다. 나무껍질은 짙은 잿빛이며 가지와 잎이 무성하고 작은 가지는 녹색이다. 방향성이 있다. 옛날 올림픽에서는 승자에게 잎이 달린 가지로 만든 월계관을 씌워 명예의 상징으로 삼았다. 관상용ㆍ공업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잎은 향기가 좋아 향료로 쓰는데 카레ㆍ수프ㆍ스튜 등 각종 요리 또는 차에 넣는다. 또한 월계수 잎은 마늘의 악취를 제거한다. 열매즙을 씹으면 처음엔 칼칼하지만 오래 씹으면 차차 감미로운 맛을 느낄 수 있다 하여 충간이(忠諫耳)라 하였으며 충과(忠果) 또는 간과(諫果)라는 이름도 있다. 열매에서도 향료를 채취한다. 열매는 월계실(月桂實)이라 하며 약재로도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의 체증과 피부병증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