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8~9월(개화기) |
키 | 1m 정도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산지의 풀밭 | 성미 | 따뜻하며, 달고 떫다.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4~6g |
약효 | 온포기ㆍ뿌리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속단ㆍ산속단의 뿌리 |
잎
마주나며 길이 6~10cm, 나비 3~6cm의 달걀꼴 또는 좁은 달걀꼴로서 잎자루가 있다. 앞면은 녹색이고 누운 털이 있으며 뒷면은 회록색이고 털이 더 많다. 밑 부분의 잎은 흔히 김게 패어 들어가 갈라진 것처럼 보인다. 위쪽의 잎은 점차 작아지며 가장자리도 밋밋해진다.
꽃
8월에 길이 25~32mm의 연한 홍색 꽃이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층층으로 5~6개씩 모여 돌려나오듯이 핀다. 양성화이다. 꽃받침은 길이 10~15mm의 통 모양이고 5개로 갈라지는데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다. 꽃부리는 길이 2~3cm이고 2개로 갈라져 입술 모양을 하고 있다. 윗입술꽃잎은 뒷면에 흰 털이 촘촘히 나 있다. 아랫입술꽃잎은 다시 3개로 짧게 갈라지는데 가운데 것은 훨씬 길어 뒤로 말리고 자주색 반점이 많아 문양이 아름답다.
열매
10~11월에 길이 2.5mm 정도인 거꿀달걀꼴의 골돌과가 달려 검게 익는데 3개의 능각이 있으며 털은 없다.
특징 및 사용
대화익모초(大花益母草)ㆍ산익모초ㆍ개속단ㆍ개방아ㆍ개방앳잎ㆍ주리풀(제주도)이라고도 한다. 식물에서 송장 썩는 듯한 냄새가 난다고 하여 송장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줄기는 곧추서고 둔하게 네모지며 능각이 있는데 키가 커서 더러 비스듬히 눕기도 한다. 줄기는 녹색 또는 자주색을 띠고 가지가 없거나 위쪽에서 갈라진다. 전체에 갈색의 누운 털이 빽빽이 나 있다. 관상용ㆍ밀원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부인과 계통의 질병을 다스리며, 열증에 효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