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우난

 익생양술에서만 "새우난"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제주도, 남부 지방 채취기간 6~7월
30~5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숲 속이나 대나무밭의 음지 성미 따뜻하며, 뿌리는 맵고, 줄기잎은 약간 쓰고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주 1회사용량 4~6g
약효 뿌리줄기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잎은 두해살이인데 첫해에는 2~3개가 뿌리에서 나와 곧게 자라지만 다음해에는 옆으로 늘어진다. 잎몸은 길이 15~25cm의 거꿀달걀꼴을 닮은 긴 타원형이며 양 끝이 좁고 주름이 있다.
4~5월에 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 위쪽에 10여 개의 어두운 갈색 꽃이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피는데 꽃자루에 붙은 꽃의 밑 부분이 새우등처럼 위로 굽으며 꽃부리는 밑을 향한다. 양성화이다. 꽃줄기는 높이 30~50cm이고 짧은 털이 있으며 비늘 같은 잎이 1~2개 있다. 꽃턱잎은 길이 5~10cm의 댓잎피침형이고 마른 막질이다. 꽃받침 조각은 길이 15~20mm의 달걀을 닮은 긴 타원형이다. 꽃잎의 빛깔은 백색, 연한 자주색 또는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 등으로 변이가 심하다. 입술꽃부리는 3개로 깊게 갈라져 그중에서 가운데 조각은 끝이 오므라지는데 안쪽에 3개의 모가 난 줄이 있고 상투의 길이는 5~10mm이다.
열매
7월에 삭과를 맺는데 익으면 밑으로 처진다.
특징 및 사용
새우난초라고도 한다. 뿌리줄기에 새우등 비슷한 마디를 가지고 있어 새우난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자라는데 마디가 많고 염주 모양이며 특히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 난초과 식물 중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으며 많은 원예가들이 재배하여 개량 품종이 많이 나오고 있다. 유사종인 여름새우난은 8월에 연한 홍자색 꽃을 피우는데 한라산 숲 속에서 자란다. 또한 금새우난은 제주도ㆍ안면도ㆍ울릉도의 숲 속에서 자라며 4~5월에 황색의 꽃이 핀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이비인후과 계통의 병증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