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官桂) / 계수나무
익생양술에서
"계수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관계(官桂) / 계수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학명
Cercidiphyllum japonicum
분포 |
중부 이남 |
채취기간 |
가을~이듬해 봄 |
키 |
7m 정도 |
취급요령 |
그늘에서 말려 쓴다. |
생지 |
냇가, 양지바른 곳, 정원에 식재 |
성미 |
따뜻하며, 달고 시다. |
분류 |
낙엽 활엽 교목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꺾꽂이ㆍ분주 |
1회사용량 |
나무껍질 5~6g |
약효 |
나무껍질 |
사용범위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마주나는데 넓은 달걀꼴이며 밑부분은 심장 밑을 닮았고 끝은 다소 둔하다. 길이와 나비는 각각 3~7cm이다. 앞면은 윤기가 나며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다. 손바닥 모양의 맥이 5~7개 정도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길이 2~2.5cm인 잎자루는 붉은빛이 돈다.
꽃
5월에 원추 꽃차례로 황백색 또는 연노란색의 단성화가 잎보다 먼저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려 핀다. 꽃덮이는 없고 작은 꽃자루에 꽃턱잎이 있다. 수꽃에는 많은 수술이 있으며, 꽃밥은 길이 3~4mm로서 선형이다. 암꽃에는 3~5개의 암술이 있고, 암술머리는 실같이 가늘며 연한 홍색이다.
열매
3~5개씩 달리는 장과가 12월에 짙은 자주색으로 익는데 굽은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는 15mm 정도이다. 씨는 편평하며 한쪽에 날개가 있고 길이는 5~6.5mm이다.
특징 및 사용
계수ㆍ간과라고도 한다. 높이 25m, 지름 1.3m에 달하는 것도 있다. 곧게 자라고 굵은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잔가지가 있다. 나무껍질에 적갈색ㆍ회갈색의 무늬가 있는데 껍질이 세로로 얇게 갈라진다. 안쪽은 짙은 적갈색이다. 관상용ㆍ공업용ㆍ향료ㆍ약용으로 이용된다. 가지를 계지(桂枝), 나무껍질을 계피라고 하는데 특이한 방향(芳香)이 있어 향료의 원료로 널리 쓰인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옻나무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 질환과 통증을 다스리고, 어혈을 푸는데 효험이 있다.
관계(官桂) / 계심
라틴명 |
Cassiae Cortex Interior |
약재의 효능 |
보양(補陽)
(보법(補法)의 하나로, 양허증(陽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
|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통구규(通九竅)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이관절(利關節)
(관절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는 효능임)
|
|
난요슬(暖腰膝)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속근골(續筋骨)
(뼈나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
|
탁옹저두독(托癰疽痘毒)
(옹저와 두차의 독기를 빼내는 효능임)
|
|
생기육(生肌肉)
(기육(肌肉)을 새로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소어혈(消瘀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살삼충(殺三蟲)
(회충(蛔蟲)과 같은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보음활혈(補陰活血)
|
작용부위 |
심(心)
, 심포(心包)
|
성미 |
고신(苦辛)
|
주의사항 |
간피(幹皮)에서 주피와 내피의 얇은 층을 벗긴 것. |
독성 |
Not to be used pregnancy 1,2). Allergic reactions of skin and mucosa 2). 1) Bensky, D. and A. Gamble, Chinese Herbal Medicine, Eastland Press, Inc., 1986. 2) Blumenthal, M., ed; S. Klein, trans., Therapeutic monographs on medicinal plants for human use of the commission E Special expert committee, Fedral Health Agency, Germany, Austin;American Botanical Council, 1993. |
약재사용처방 |
귀출파징탕(歸朮破徵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 혈가(血瘕)
|
|
내색산(內塞散) /
감창(疳瘡)
, 누창(瘻瘡)
|
|
도경환(導經丸) /
복통(腹痛)
, 요통(腰痛)
, 월폐(月閉)
|
|
만응고(萬應膏)[1] /
옹저(癰疽)
, 열독종(熱毒腫)
|
|
만응고(萬應膏)[2] /
옹종(癰腫)
|
|
목단산(牧丹散) /
장옹(腸癰)
|
|
보원탕(保元湯)[3] /
두창(痘瘡)
|
|
보원탕(保元湯)[4] /
두창(痘瘡)
|
|
보원탕(保元湯)[6] /
두창(痘瘡)
|
|
부양조위탕(扶陽助胃湯) /
냉심통(冷心痛)
|
|
서금산(瑞金散) /
월경불통(月經不通)
|
|
소고탕(消蠱湯) /
고창(蠱脹)
|
|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
|
신선벽하단(神仙碧霞丹) /
학질(瘧疾)
|
|
쌍해산(雙解散)[2] /
변옹(便癰)
|
|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
|
오수유탕(吳茱萸湯)[3] /
진창(䐜脹)
|
|
온경환(溫經丸) /
감루(疳瘻)
|
|
온해산(溫解散) /
누창(瘻瘡)
, 감루(疳瘻)
|
|
육합탕(六合湯) /
혈폐(血閉)
|
|
익담탕(益膽湯) /
구고(口苦)
|
|
인진복령탕(茵蔯茯苓湯) /
음황(陰黃)
|
|
전호산(前胡散) /
육가(肉苛)
|
|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
무사(無嗣)
|
|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1] /
혈가(血瘕)
|
|
지통당귀탕(止痛當歸湯) /
옹저(癰疽)
|
|
청담순기탕(淸痰順氣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통경탕(通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
|
파극환(巴戟丸)[2] /
포비(胞痺)
|
|
현호색산(玄胡索散) /
혈결흉(血結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