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자기

 익생양술에서 "매자기"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삼릉(三稜)/매자기"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석삼릉(石三稜)/매자기"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중남부 지방, 제주도 채취기간 가을
80~150cm 취급요령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논ㆍ늪ㆍ연못가와 같은 얕은 물 성미 평온하며, 달고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근ㆍ씨 1회사용량 덩이줄기 3~6g
약효 덩이줄기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꽃줄기에 어긋나게 달리는데 꽃줄기보다 긴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4~5개의 잎이 줄기를 감싸며 잎집은 때로 갈색이 돈다. 뒷면에 1개의 능선이 있다.
7~10월에 짙은 갈색으로 피는데 1~4개의 작은 이삭이 달린 가지가 꽃줄기 끝에서 산방 꽃차례로 배열한다. 단성화이다. 작은 이삭은 길이 9~20mm의 긴 타원형이며 녹색을 띤다. 2~4개인 꽃턱잎은 잎처럼 생겼으며 작은 이삭보다 길다. 꽃턱잎 조각은 길이 6~8mm의 넓은 타원형이고 표면에 짧은 털이 있으며 2개로 갈라진 끝에서 긴 까끄라기가 자란다.
열매
10월에 세모진 긴 타원형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잿빛을 띤 갈색이고 끝이 부리처럼 뾰족하며 6개의 거센 털이 있다.
특징 및 사용
삼릉초ㆍ형삼릉이라고도 한다. 굵은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고 그 끝에 지름 3~4cm의 덩이줄기가 달린다. 세모진 꽃줄기가 땅속줄기에서 거칠고 크게 모여나와 곧게 서는데 2~4개의 마디가 있다. 덩이줄기를 형삼릉이라 하는데 맛이 약간 달며 냄새는 약하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덩이줄기를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는데, 작초(醋炒 : 술에 담갔다가 볶음)하여 쓰기도 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부인과 질환을 다스리고, 건강 생활에 효험이 있다.
삼릉(三稜) / 매자기
라틴명 Scirpi Rhizoma
약재의 효능 파혈(破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화식(化食)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통경(通經)  (월경이 막혀 나오지 않는 것[閉經]을 치료하여 통창(通暢)시키는 방법임)
타태(墮胎)  (임신 3개월 이전, 태아가 형상을 갖추기 전에 유산되는 것.)
통유(通乳)  (유즙을 소통시켜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산종(散腫)  (부종을 없애는 효능임)
파기산결(破氣散結)  (기가 정체된 것을 깨뜨려 소통시키고 뭉친것을 흩어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고(苦) , 평(平)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임신부와 진기허자(眞氣虛者)는 복용하면 안됨.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2] /  황달(黃疸)
가감향령산(加減香苓散) /  음란편추(陰卵偏墜)
가미시평탕(加味柴平湯) /  비괴(痞塊)
가미오령산(加味五苓散)[2] /  한산(寒疝)
갈환자(褐丸子) /  감창(疳脹)
감응원(感應元) /  적백리(赤白痢)적리(積痢)구리(久痢)
감적병(疳積餠) /  오장감(五臟疳)
개회산(開懷散) /  비괴(痞塊)
계령탕(桂苓湯) /  혈분증(血分證)
곡신원(穀神元) /  식상(食傷)
관중환(寬中丸) /  적취(積聚)
광출화벽환(廣朮化癖丸) /  유벽(乳癖)식징(食癥)
귀출파징탕(歸朮破徵湯) /  혈가(血瘕)월경불통(月經不通)
내소산(內消散) /  식적(食積)
노학환(老瘧丸) /  해학(痎瘧)
당관음자(撞關飮子) /  창만(脹滿)
대온중환(大溫中丸) /  곡달(穀疸)황종(黃腫)황반(黃胖)
대이향산(大異香散) /  기창(氣脹)곡창(穀脹)
대칠기탕(大七氣湯) /  육취(六聚)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오적(五積)심복창만(心腹脹滿)
도기기각환(導氣枳殼丸) /  기역(氣逆)심흉비통(心胸痞痛)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목향견현환(木香見睍丸) /  상식(傷食)
목향기각환(木香枳殼丸) /  적취(積聚)탄산(呑酸)
목향분기환(木香分氣丸) /  천급(喘急)창만(脹滿)담수(痰嗽)
목향삼릉산(木香三稜散) /  복장충(腹藏蟲)
박하단(薄荷丹) /  나력(瘰癧)
반총산(蟠蔥散) /  한산(寒疝)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백배환(百杯丸) /  상주(傷酒)징벽(癥癖)
별갑환(鱉甲丸) /  학모(瘧母)해학(痎瘧)
비방화체환(秘方化滯丸) /  징벽(癥癖)적취(積聚)
비적원(脾積元) /  대변비결(大便秘結)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  혈가(血瘕)월경불통(月經不通)
사초기각환(四炒枳殼丸) /  창만(脹滿)적취(積聚)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 /  나력(瘰癧)마도창(馬刀瘡)
삼릉(三稜)[2] /  징가(癥瘕)징벽(癥癖)
삼릉소적환(三稜消積丸) /  식적(食積)
삼릉전(三稜煎) /  기괴(氣塊)혈가(血瘕)주적(酒積)식적(食積)
삼릉전(三稜煎)[2] /  기괴(氣塊)혈가(血瘕)주적(酒積)식적(食積)
삼릉전원(三稜煎元)[1] /  육적(肉積)혈적(血積)혈고(血蠱)
삼릉전원(三稜煎元)[2] /  육적(肉積)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한산(寒疝)방광병(膀胱病)
석영산(石英散) /  석가(石瘕)
선열단(宣熱丹) /  나력(瘰癧)풍열(風熱)
소감원(蘇感元) /  적리(積痢)구리(久痢)
소감환(消疳丸) /  오감(五疳)
소고탕(消蠱湯) /  고창(蠱脹)
소식환(消食丸) /  숙식(宿食)식적(食積)유적(乳積)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  비괴(痞塊)
수풍윤장환(搜風潤腸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승홍원(勝紅元) /  혈적(血積)주적(酒積)
시향산(柴香散) /  징가(癥瘕)비괴(痞塊)
시호통경탕(柴胡通經湯) /  마도창(馬刀瘡)
식분환(息賁丸) /  폐적(肺積)
신효산(神效散)[2] /  냉심통(冷心痛)
십장군환(十將軍丸) /  구학(久瘧)학모(瘧母)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연교산견탕(連翹散堅湯) /  나력(瘰癧)마도창(馬刀瘡)
연년호명단(延年護命丹) /  적취(積聚)혈적(血積)충적(蟲積)
연라환(連蘿丸) /  비괴(痞塊)현훈(眩暈)조잡(嘈雜)
용천산(龍泉散) /  나력(瘰癧)
우선단(遇仙丹)[1] /  충적(蟲積)
육미삼릉환(六味三稜丸) /  담적(痰積)
음학환(陰瘧丸) /  야발음학(夜發陰瘧)해학(痎瘧)
이향환(二香丸) /  호산(狐疝)
입효산(立效散)[2] /  혈가(血瘕)
정향난반환(丁香爛飯丸) /  상식(傷食)
정향비적환(丁香脾積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조중순기환(調中順氣丸) /  담음협통(痰飮脇痛)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1] /  혈가(血瘕)
증미사물탕(增味四物湯)[2] /  혈적(血積)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5] /  폐적(肺積)오적(五積)
진인화철탕(眞仁化鐵湯) /  징가(癥瘕)현벽(痃癖)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  벽괴(癖塊)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반위(反胃)열격(噎膈)
초자삼릉환(醋煮三菱丸) /  혈고(血蠱)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칠성환(七聖丸)[2] /  유식적체(乳食積滯)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 /  징가(癥瘕)월경부조(月經不調)골증(骨蒸)
칠향원(七香元) /  식체(食滯)
침사환(鍼砂丸) /  주달(酒疸)곡달(穀疸)
침향강기산(沈香降氣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파담소음원(破痰消飮元) /  담음(痰飮)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향릉환(香稜丸) /  육취(六聚)오적(五積)
형봉전원(荊蓬煎元) /  적취(積聚)비괴(痞塊)
홍원자(紅圓子) /  식적(食積)주적(酒積)
화괴환(化塊丸) /  혈괴(血塊)비괴(痞塊)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희로환(晞露丸) /  장담(腸覃)징가(癥瘕)
석삼릉(石三稜) / 매자기
라틴명 Scirpi Rhizoma
약재의 효능 파혈(破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행기(行氣)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을 말함.)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화식(化食)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통경(通經)  (월경이 막혀 나오지 않는 것[閉經]을 치료하여 통창(通暢)시키는 방법임)
타태(墮胎)  (임신 3개월 이전, 태아가 형상을 갖추기 전에 유산되는 것.)
통유(通乳)  (유즙을 소통시켜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산종(散腫)  (부종을 없애는 효능임)
파기산결(破氣散結)  (기가 정체된 것을 깨뜨려 소통시키고 뭉친것을 흩어주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고(苦) , 평(平)
주의사항 진기허자(眞氣虛者)는 복용하지 말 것.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목향견현환(木香見睍丸) /  상식(傷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