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Typhonii Rhizoma |
약재의 효능 |
거풍담(祛風痰)
(풍담(風痰)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축한습(逐寒濕)
(한습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진경(鎭痙)
(경련의 증상들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
|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
활담(豁痰)
(담(痰)을 걷어 내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위(胃)
|
성미 |
대온(大溫)
, 신(辛)
, 유독(有毒)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덩이뿌리. |
약재사용처방 |
가미청주백원자(加味靑州白元子) /
구안와사(口眼喎斜)
, 탄탄(癱瘓)
, 중풍(中風)
|
|
갈부산(蝎附散) /
만비풍(慢脾風)
|
|
갈사백원자(蝎麝白元子) /
중풍(中風)
, 담연옹성(痰涎壅盛)
|
|
견정산(牽正散) /
구안와사(口眼喎斜)
, 중풍(中風)
|
|
난궁종사환(煖宮螽斯丸) /
무사(無嗣)
|
|
대고삼환(大苦蔘丸) /
염창(臁瘡)
, 면창(面瘡)
|
|
대성풍탕(大省風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대청고(大靑膏) /
급경풍(急驚風)
|
|
면상잡병우방(面上雜病又方)[1] /
분자(粉刺)
, 면상잡병(面上雜病)
|
|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
중풍(中風)
|
|
방풍천마산(防風天麻散) /
역절풍(歷節風)
|
|
백병자(白餠子) /
적취(積聚)
|
|
백부자(白附子)[1] /
면간(面䵟)
, 자반(疵瘢)
, 면상잡병(面上雜病)
|
|
백부자(白附子)[2] /
졸심통(卒心痛)
|
|
백부자산(白附子散)[1] /
궐역두통(厥逆頭痛)
|
|
백부자산(白附子散)[2] /
면상열창(面上熱瘡)
|
|
백부자환(白附子丸) /
담훈(痰暈)
|
|
백원자(白圓子) /
담수(痰嗽)
|
|
벽손정자(辟巽錠子) /
급경풍(急驚風)
, 파상풍(破傷風)
, 만경풍(慢驚風)
|
|
보명단(保命丹) /
만경풍(慢驚風)
, 급경풍(急驚風)
|
|
보생단(保生丹) /
만경풍(慢驚風)
|
|
보유화풍단(保幼化風丹) /
급경풍(急驚風)
|
|
불환금단(不換金丹) /
중풍(中風)
, 구안와사(口眼喎斜)
|
|
사생산(四生散) /
음식창(陰蝕瘡)
, 음낭습양(陰囊濕痒)
|
|
삼간단(三癎丹) /
식간(食癎)
|
|
삼생음(三生飮) /
중풍(中風)
, 담연옹성(痰涎壅盛)
|
|
삼생환(三生丸) /
담궐두통(痰厥頭痛)
|
|
상청백부자환(上淸白附子丸) /
목현(目眩)
, 담궐두통(痰厥頭痛)
|
|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1] /
면종(面腫)
|
|
서각승마탕(犀角升麻湯)[2]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서각음(犀角飮) /
황액상충(黃液上衝)
|
|
성부산(星附散) /
중풍(中風)
, 탄탄(癱瘓)
|
|
성비산(醒脾散) /
만경풍(慢驚風)
|
|
소청원(蘇靑元) /
풍담(風痰)
|
|
소풍화담탕(疏風化痰湯) /
나력(瘰癧)
|
|
소해산(消解散) /
후류(喉瘤)
, 후균(喉菌)
|
|
쌍금환(雙金丸) /
만경풍(慢驚風)
|
|
엽씨웅주환(葉氏雄朱丸) /
전광(癲狂)
|
|
오간환(五癎丸) /
전간(癲癎)
|
|
오룡환(烏龍丸) /
음낭습양(陰囊濕痒)
|
|
오사산(烏蛇散) /
파상풍(破傷風)
|
|
오생환(五生丸) /
전간(癲癎)
|
|
옥용서시산(玉容西施散) /
흑염정(黑靨疔)
, 풍자(風刺)
|
|
온백환(溫白丸) /
만경풍(慢驚風)
|
|
우황정지환(牛黃定志丸) /
혼모(昏冒)
, 중풍(中風)
|
|
원지환(遠志丸) /
대경불어(大驚不語)
|
|
유향진통산(乳香趂痛散) /
좌섬요통(挫閃腰痛)
|
|
육혼단(育魂丹) /
전간(癲癎)
, 정충(怔忡)
|
|
은백산(銀白散) /
만경풍(慢驚風)
|
|
일립금단(一粒金丹)[2] /
일체풍(一切風)
|
|
자초고(紫草膏)[2]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
|
|
절풍환(截風丸) /
급경풍(急驚風)
|
|
정통산(定痛散)[2] /
역절풍(歷節風)
|
|
정풍병자(定風餠子)[1] /
담궐두통(痰厥頭痛)
|
|
조장환(釣腸丸) /
치(痔)
, 탈항(脫肛)
|
|
지성보명단(至聖保命丹) /
급경풍(急驚風)
, 만경풍(慢驚風)
|
|
질려산(蒺藜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
|
철분산(鐵粉散) /
전광(癲狂)
|
|
청심도담환(淸心導痰丸) /
유연(流涎)
|
|
청주백원자(靑州白元子) /
중풍(中風)
, 혈풍(血風)
, 경풍(驚風)
, 탄탄(癱瘓)
, 담연옹성(痰涎壅盛)
|
|
청주백원자(靑州白圓子) /
풍담옹색(風痰壅塞)
|
|
추풍거담환(追風祛痰丸) /
전간(癲癎)
|
|
추풍산(追風散)[1] /
정두풍(正頭風)
, 편두풍(偏頭風)
|
|
치분자우방(治粉刺又方)[1] /
분자(粉刺)
|
|
치적백한반방(治赤白汗斑方) /
한진(汗疹)
|
|
탈명단(奪命丹)[3] /
효천(哮喘)
|
|
태을산(太乙散) /
태경(胎驚)
|
|
팔선산(八仙散) /
만경풍(慢驚風)
|
|
해어환(解語丸) /
중풍(中風)
, 어삽(語澁)
|
|
향백원(香白元) /
담연옹성(痰涎壅盛)
, 구토(嘔吐)
|
|
호골산(虎骨散)[2] /
역절풍(歷節風)
|
|
흑부탕(黑附湯) /
만비풍(慢脾風)
|